목차
I. Objectives
II. Background
III. Materials
IV. Procedure
V. Result
VI. Further study
VII. References
II. Background
III. Materials
IV. Procedure
V. Result
VI. Further study
VII. References
본문내용
I. Objectives
인간 유전학과 관련하여 혈액형에 대하여 생각해보고, 혈액형을 결정하는 방법에 대하여 배운다.
II. Background
혈액형은 유전에 의해 결정된다. ABO 혈액형을 결정하는 유전자는 9번 염색체(9q34)에 위치하고 있다. ABO 혈액형은 ABO, Hh, Se 유전자 등에 의해 적혈구를 비롯한 우리 몸의 각 장기와 조직 그리고 타액 등에서 표현되는데, 많은 사람들이 적혈구에만 존재하는 것으로 알고 있는 것과는 달리, 적혈구뿐만 아니라 혈관 내피세포(endothelial cell), 상피세포(epithelial cell) 등에도 존재하여 우리 몸의 거의 모든 장기들이 ABO 혈액형 항원을 가지고 있다고 할 수 있다. 그러한 이유로 수혈을 할 때도 반드시 ABO 혈액형이 적합한 혈액을 수혈하여야 하고 장기이식을 할 때도 반드시 ABO 혈액형이 적합한 장기를 이식하여야 한다.
A 유전자와 B 유전자는 우열이 없이 각각 co-dominant하게 ABO 혈액형을 표현하는데, 즉, A 유전자와 B 유전자를 동시에 가지고 있는 사람은 A형과 B형의 혈액형이 동시에 표현되어 AB형이 된다. A 유전자는 N-acetylgalactosaminyl transferase라는 효소를 만들어 glucose-galactose-N-acetyl glucosamine-galactose-fucose의 구조를 가지는 H chain 끝에 N-acetylgalactosamine을 붙여주어 A형 항원을 만들어 낸다. 그리고 B 유전자는 H chain 끝에 D-galactose를 붙여주는 galactosyl transferase라는 효소를 만들어 B형 항원을 만든다. 그런데 O 유전자는 이런 당전이효소(glycosyl transferase)를 만들 수 없으므로 H chain만을 표현한다. Hh 유전자는 H chain을 만드는 fucosyl transferase라는 효소를 만들고 Se 유전자는 타액 내 단백질에 ABO 혈액형을 표현하는데 필요하다. 약 80%의 사람들은 타액 내에 ABO 혈액형 물질을 분비한다. 혈액형은 수혈 이외에도 장기이식, 친자감별검사, 범죄수사 등에도 이용되고 있다.
인간 유전학과 관련하여 혈액형에 대하여 생각해보고, 혈액형을 결정하는 방법에 대하여 배운다.
II. Background
혈액형은 유전에 의해 결정된다. ABO 혈액형을 결정하는 유전자는 9번 염색체(9q34)에 위치하고 있다. ABO 혈액형은 ABO, Hh, Se 유전자 등에 의해 적혈구를 비롯한 우리 몸의 각 장기와 조직 그리고 타액 등에서 표현되는데, 많은 사람들이 적혈구에만 존재하는 것으로 알고 있는 것과는 달리, 적혈구뿐만 아니라 혈관 내피세포(endothelial cell), 상피세포(epithelial cell) 등에도 존재하여 우리 몸의 거의 모든 장기들이 ABO 혈액형 항원을 가지고 있다고 할 수 있다. 그러한 이유로 수혈을 할 때도 반드시 ABO 혈액형이 적합한 혈액을 수혈하여야 하고 장기이식을 할 때도 반드시 ABO 혈액형이 적합한 장기를 이식하여야 한다.
A 유전자와 B 유전자는 우열이 없이 각각 co-dominant하게 ABO 혈액형을 표현하는데, 즉, A 유전자와 B 유전자를 동시에 가지고 있는 사람은 A형과 B형의 혈액형이 동시에 표현되어 AB형이 된다. A 유전자는 N-acetylgalactosaminyl transferase라는 효소를 만들어 glucose-galactose-N-acetyl glucosamine-galactose-fucose의 구조를 가지는 H chain 끝에 N-acetylgalactosamine을 붙여주어 A형 항원을 만들어 낸다. 그리고 B 유전자는 H chain 끝에 D-galactose를 붙여주는 galactosyl transferase라는 효소를 만들어 B형 항원을 만든다. 그런데 O 유전자는 이런 당전이효소(glycosyl transferase)를 만들 수 없으므로 H chain만을 표현한다. Hh 유전자는 H chain을 만드는 fucosyl transferase라는 효소를 만들고 Se 유전자는 타액 내 단백질에 ABO 혈액형을 표현하는데 필요하다. 약 80%의 사람들은 타액 내에 ABO 혈액형 물질을 분비한다. 혈액형은 수혈 이외에도 장기이식, 친자감별검사, 범죄수사 등에도 이용되고 있다.
키워드
추천자료
[신소재] 의료용 고분자 신소재의 종류 및 응용
[담배][흡연][금연대책]담배, 흡연의 해악과 영향 및 금연대책 분석(담배 성분과 흡연 해악, ...
뇌경색(Crebral infarction)케이스 스터디
생리학요점정리
노인병원 케이스: ICH
백혈병
성인간호학 - 신경과 병동 실습 레포트, CASE STUDY
생활과건강- 뇌졸중을 예방하기 위한 환자 교육내용,편마비 환자의 재활방안 제시,중증뇌졸중...
[빈혈] 빈혈의 정의와 종류(유형) 및 진단, 철 결핍성 빈혈과 거대적아구성 빈혈, 빈혈의 원...
[노화와 장수] 노화의 정의와 학설, 노화현상의 특징, 노화방지, 노년기 생리상태의 변화, 노...
간경화 케이스[A+]
여성건강간호학) 다태임신(multiple pregnancy)
지역사회간호학)보건사업의 전략개발과 시나리오의 산업장 금연 사업진행을 위한 전략개발
ICU) 중환자실) 강추) CRF(Chronic renal failure) _ CASE STUDY , 케이스, 만성신부전, 신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