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국문 가사 및 한문 가사
2. 전고(典考)
3. 작품 분석
4. 현대어 풀이 및 정리
2. 전고(典考)
3. 작품 분석
4. 현대어 풀이 및 정리
본문내용
인할 수 있다. 셋째, ‘고티시니’와 ‘‘力排議샤’에서는 주체 높임의 선어말 어미 ‘-시-’와 ‘-샤-’를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여리니’에서는 현재 시제 선어말 어미 ‘--’를 확인할 숭 다. 넷째, ‘고티시니’에서 반말의 평서형 종결 어미 ‘-니’를 확인할 수 있고, ‘닛디 :마쇼셔’에서 ‘쇼셔체’의 명령형 종결 어미를 확인할 수 있다.
<참고 문헌>
고영근, “표준중세국어문법론”, 2011, 집문당
교육과학기술부 “고등학교 문법”, 2010, 두산동아
김상억, “용비어천가”, 1993, 을유문화사
나찬연, “중세 국어 문법의 이해-이론편”, 2010, 교학연구사
조규태, “용비어천가”, 2010, 한국문화사
허웅, “우리 옛말본”, 1975, 샘문화사
허웅, “용비어천가”, 1955, 정음사
<참고 문헌>
고영근, “표준중세국어문법론”, 2011, 집문당
교육과학기술부 “고등학교 문법”, 2010, 두산동아
김상억, “용비어천가”, 1993, 을유문화사
나찬연, “중세 국어 문법의 이해-이론편”, 2010, 교학연구사
조규태, “용비어천가”, 2010, 한국문화사
허웅, “우리 옛말본”, 1975, 샘문화사
허웅, “용비어천가”, 1955, 정음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