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없음
본문내용
각의 가치를 느낄 수 있었으리라 생각합니다.
T: 고유어에 대해 달라진 생각에 대해 이야기 하여 봅시다.
Ss: 얼음 보숭이요.
Ss: 오솔길이요.
Ss: 얼음 보숭이요.
Ss: 오솔길이요.
Ss: 편하고 친근한 느낌이 들었습니다.
S1: 고유어에 대한 이미지가 ‘촌스럽다’에서 ‘좋다’로 바뀌었습니다.
S2: 평소에 생각없이 외래어, 한자어를 사용했었는데, 고유어를 사용하는 것이 의미있다는 생각이 듭니다.
☞단어 카드 또는 ppt 자료
가치 일반화
가치의 적용
가치의 재평가
한자어, 외래어, 외국어에 해당하는 고유어 찾기
T: 이번에는 제시되는 한자어 외래어, 외국어에 해당하는 알맞은 고유어를 선택해 봅시다.
한자어, 외래어, 외국어와 고유어를 비교, 재평가하기
T: 다음은 이번시간에 배운 한자어, 외래어, 외국어와 그에 해당하는 고유어입니다. 둘을 비교해 보니 어떤 느낌이 드나요?
Ss: 고유어로 바꾸어 보니 느낌이 달라졌습니다.
Ss: 친근한 느낌이 차이가 납니다.
Ss: 고유어로 바꿀 수 있는 외래어가 참 많다는 느낌이 들었습니다.
☞장딥 확인 시 한컴사전 활용가능
※주의점: 학생들이 고유어로 바꾼 말에는 한자어, 외래어, 외국어 등이 들어가면 안 됨을 미리 인지시킨다. 왜 그렇게 바꾸었는지, 왜 고유어가 더 좋다고 생각했는지 이유를 말해야 한다 등)
정리
정리 및 다음 차시 예고
정리 및 다음 차시 예고
T: 이번 시간엔 고유어, 한자어, 외래어, 외국어에 대하여 알아보았습니다.
T: 다음 주변의 말에서 고유어, 한자어, 외래어, 외국어를 구별해보는 활동을 하도록 하겠습니다.
판서계획
<과목> 국어(말하기·듣기·쓰기)
<단원> [다섯째 마당] 마음을 나누며
<학습활동> 1.고유어, 한자어, 외래어, 외국어 알아보기
2. 고유어, 한자어, 외래어, 외국어 구분하기
※ 본 차시 학습 평가
평 가 내 용
평 가 기 준
평 가 시 기
평 가 방 법
고유어, 한자어, 외래어, 외국어를 알고 구분할 수 있다.
상
고유어, 한자어, 외래어, 외국어를 알고 구분할 수 있다.
수업 중
관찰법
중
고유어, 한자어, 외래어, 외국어 중 두 가지 이상을 알고 구분할 수 있다.
하
고유어, 한자어, 외래어, 외국어중 두 가지 미만을 알고 구분할 수 있다.
※ 꼭 필요한 간단한 학습지(평가지)가 있을 경우 첨부
(될 수 있는 대로 부득이 필요한 경우를 제외하고는 학습지는 만들지 마시고 다양한 수업자료를 활용하도록 하세요)
T: 고유어에 대해 달라진 생각에 대해 이야기 하여 봅시다.
Ss: 얼음 보숭이요.
Ss: 오솔길이요.
Ss: 얼음 보숭이요.
Ss: 오솔길이요.
Ss: 편하고 친근한 느낌이 들었습니다.
S1: 고유어에 대한 이미지가 ‘촌스럽다’에서 ‘좋다’로 바뀌었습니다.
S2: 평소에 생각없이 외래어, 한자어를 사용했었는데, 고유어를 사용하는 것이 의미있다는 생각이 듭니다.
☞단어 카드 또는 ppt 자료
가치 일반화
가치의 적용
가치의 재평가
한자어, 외래어, 외국어에 해당하는 고유어 찾기
T: 이번에는 제시되는 한자어 외래어, 외국어에 해당하는 알맞은 고유어를 선택해 봅시다.
한자어, 외래어, 외국어와 고유어를 비교, 재평가하기
T: 다음은 이번시간에 배운 한자어, 외래어, 외국어와 그에 해당하는 고유어입니다. 둘을 비교해 보니 어떤 느낌이 드나요?
Ss: 고유어로 바꾸어 보니 느낌이 달라졌습니다.
Ss: 친근한 느낌이 차이가 납니다.
Ss: 고유어로 바꿀 수 있는 외래어가 참 많다는 느낌이 들었습니다.
☞장딥 확인 시 한컴사전 활용가능
※주의점: 학생들이 고유어로 바꾼 말에는 한자어, 외래어, 외국어 등이 들어가면 안 됨을 미리 인지시킨다. 왜 그렇게 바꾸었는지, 왜 고유어가 더 좋다고 생각했는지 이유를 말해야 한다 등)
정리
정리 및 다음 차시 예고
정리 및 다음 차시 예고
T: 이번 시간엔 고유어, 한자어, 외래어, 외국어에 대하여 알아보았습니다.
T: 다음 주변의 말에서 고유어, 한자어, 외래어, 외국어를 구별해보는 활동을 하도록 하겠습니다.
판서계획
<과목> 국어(말하기·듣기·쓰기)
<단원> [다섯째 마당] 마음을 나누며
<학습활동> 1.고유어, 한자어, 외래어, 외국어 알아보기
2. 고유어, 한자어, 외래어, 외국어 구분하기
※ 본 차시 학습 평가
평 가 내 용
평 가 기 준
평 가 시 기
평 가 방 법
고유어, 한자어, 외래어, 외국어를 알고 구분할 수 있다.
상
고유어, 한자어, 외래어, 외국어를 알고 구분할 수 있다.
수업 중
관찰법
중
고유어, 한자어, 외래어, 외국어 중 두 가지 이상을 알고 구분할 수 있다.
하
고유어, 한자어, 외래어, 외국어중 두 가지 미만을 알고 구분할 수 있다.
※ 꼭 필요한 간단한 학습지(평가지)가 있을 경우 첨부
(될 수 있는 대로 부득이 필요한 경우를 제외하고는 학습지는 만들지 마시고 다양한 수업자료를 활용하도록 하세요)
추천자료
글쓰기에 성공하는 책
국어의 모음충돌 회피현상
기사문의 문체와 표현
남북한 어문 규정의 차이.
80,90년대 현대 국어 연구의 개황
동음어와 다의어의 분류 기준에 관해 약술하고, 여러 국어사전을 검토하여 표제어에서 이들을...
7차 현대 국어 문법 총정리.
광고 언어에 대한 고찰
재정국어 서브노트(2007)
[방송언어][방송언어오용][방송][언어][언어파괴][방송용어]방송언어의 개념, 방송언어의 특...
[한글맞춤법][한글][맞춤법][표준어]한글맞춤법의 원리, 한글맞춤법의 역사, 한글맞춤법의 총...
2013년 1학기 일본어기초1 출석대체시험 핵심체크
일본문화이해 시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