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없음
본문내용
몸쪽으로 끌어 당기며 받는 다.
◈ 교사는 질책과 칭찬은 하나 하나를 세분화하여 동기유발을 유도
예)
* 동작이 맞다고 생각을 하나요?
* 다시 한번 해봅시다.
* 동작이 많이 좋아졌군요.
* 동작이 많이 좋아졌다고 했지요. 언제나 좋았던 생각을 계속하며 실시 하세요. 그런 것을 이미지 트레이닝이라고 하지요
⊙ 우수자 시범 및 교사의 요점 설명
- 정확하고 유연한 몸 동작으로 실시
정 리
정리 운동 (정적 운동, 스트레칭)
차시 예고 (난이도) 및 개별연습 과제부여
- 스트레칭(20초씩
5종류 이상)
형성평가
패스의 종류 중 푸시 패스라고도 하는 기본적인 패스는? (체스트 패스)
자신과 자기편 사이에 디펜서가 있고 아래쪽에 빈틈이 있을 때 하는 패스는? (바운드 패스)
체육과 교수 - 학습 지도안
대단원
단체운동
소단원
농 구
본시의 주제
기초기능 (슛)
차 시
4
학습
목표
이동하면서 슛을 정확하게 할 수 있다.
슛를 통해서 순발력, 자신감을 기른다.
학습단계
학습 요소
교 수 - 학 습 활 동 ( 실 기 편 )
지도상 유의점
도입
출서 확인
준비 운동
학습 목표
제시
출석 확인과 복장 및 환자 확인
준비 운동 및 보강 운동 실시 (손목관절, 주관절, 견관절 , 슬관절부위 유연성 운동)
전시 학습 상기
학습 목표 제시
본시 학습의 전체적인 흐름 안내
▣ 슛의 기초기능 (점프 슛, 오버핸드레이업 슛, 언더핸드레이업 슛)
- 환자는 견학
지도
- 스트레칭,
보강체조 실시
전개
선수 학습
운동 내용
및 방법
점프 슛을 하기 위한 체력 요소는?(도약력)
일반적으로 많이 사용하는 점프슛은?(원헨드 점프슛)
먼저 골 밑에서 양쪽으로 정렬하여 점프슛 및 레이업슛을 자유스럽게 실시함(교사는 관찰 및 보조)
1) 운동 내용과 방법
슛의 요령
- 머리에 심상화
- 안전에 유의
- 점프시 몸의 균형 유지
- 성취감 고취
- 칭찬 및 격려
- 타 학생들의
동기유발
◈ 점프 슛
·손가락을 벌리고 시선은 목표를 향한 다
·팔꿈치로 볼을 리드하고 바스켓 방향 으로 향한다.
·신체는 쭉 뻗고, 신체의 균형을 유지 한다.
·점프한 뒤에 몸을 끌어 당기지 않는 다.
◈오버헨드 레이업슛
. 낮은자세로 바스켓에 다가가 오른발
이 바닥에 닿았을 때 볼을 잡고 그 볼을 가슴에 대고 왼발을 내디디며 높게 점프함과 동시에 볼을 위로 올려 손목을 세우고 손바닥은 바스켓 을 향한다
◈ 언더핸드 네이업슛
. 볼을 캐치해서 한쪽 발을 착지하고 다음 발로 앞으로 나가면서 몸을 쭉 뻗고 볼을 바스켓에 가지고 직접 또는 백보드에 맞춰 슛한다.
학습단계
학습 요소
교 수 - 학 습 활 동 ( 실 기 편 )
지도상 유의점
전개
수준별학습 편성
심화반
보통반
우수자시범
♠ 수준별 학습 편성
- 스텝에 유의
- 칭찬 및 격려
- 타 학생들의
동기유발
심화반 학습
◈ 레이업 슛(1조를 4명 2개조로 편성)
- 1조는 사이드라인에서 1열로 2조는 프리드로우서클에서 선다.
- 2조가 바운드, 체스트 패스로 1조 앞으로 던지면 1조는 앞으로 달려 나오면서 받아 슛을 시도한다. 패스 한 학생은 1조 뒤로 슛한 학생은 2 조 뒤로가 대기한다.
보통반 : (1개조를 5명 2개로 편성)
- 골을 향해 양쪽으로 일렬로 서서 드리블 후 슛을 시도한다.
⊙ 집단간 협동심과 성취감 고취)
⊙ 이미지 트레이닝 실시
⊙ 우수자 시범 및 교사의 요점 설명
- 정확하고 유연한 몸 동작으로 실시
정 리
정리 운동 (정적 운동, 스트레칭)
차시 예고 (난이도) 및 개별연습 과제부여
- 스트레칭(20초 씩 5종류 이상)
형성평가
슛을 통해서 향상되는 체력 요소는? (도약력, 순발력)
일반적으로 많이 사용되는 점프 슛은? ( 원 핸드 점프 슛)
◈ 교사는 질책과 칭찬은 하나 하나를 세분화하여 동기유발을 유도
예)
* 동작이 맞다고 생각을 하나요?
* 다시 한번 해봅시다.
* 동작이 많이 좋아졌군요.
* 동작이 많이 좋아졌다고 했지요. 언제나 좋았던 생각을 계속하며 실시 하세요. 그런 것을 이미지 트레이닝이라고 하지요
⊙ 우수자 시범 및 교사의 요점 설명
- 정확하고 유연한 몸 동작으로 실시
정 리
정리 운동 (정적 운동, 스트레칭)
차시 예고 (난이도) 및 개별연습 과제부여
- 스트레칭(20초씩
5종류 이상)
형성평가
패스의 종류 중 푸시 패스라고도 하는 기본적인 패스는? (체스트 패스)
자신과 자기편 사이에 디펜서가 있고 아래쪽에 빈틈이 있을 때 하는 패스는? (바운드 패스)
체육과 교수 - 학습 지도안
대단원
단체운동
소단원
농 구
본시의 주제
기초기능 (슛)
차 시
4
학습
목표
이동하면서 슛을 정확하게 할 수 있다.
슛를 통해서 순발력, 자신감을 기른다.
학습단계
학습 요소
교 수 - 학 습 활 동 ( 실 기 편 )
지도상 유의점
도입
출서 확인
준비 운동
학습 목표
제시
출석 확인과 복장 및 환자 확인
준비 운동 및 보강 운동 실시 (손목관절, 주관절, 견관절 , 슬관절부위 유연성 운동)
전시 학습 상기
학습 목표 제시
본시 학습의 전체적인 흐름 안내
▣ 슛의 기초기능 (점프 슛, 오버핸드레이업 슛, 언더핸드레이업 슛)
- 환자는 견학
지도
- 스트레칭,
보강체조 실시
전개
선수 학습
운동 내용
및 방법
점프 슛을 하기 위한 체력 요소는?(도약력)
일반적으로 많이 사용하는 점프슛은?(원헨드 점프슛)
먼저 골 밑에서 양쪽으로 정렬하여 점프슛 및 레이업슛을 자유스럽게 실시함(교사는 관찰 및 보조)
1) 운동 내용과 방법
슛의 요령
- 머리에 심상화
- 안전에 유의
- 점프시 몸의 균형 유지
- 성취감 고취
- 칭찬 및 격려
- 타 학생들의
동기유발
◈ 점프 슛
·손가락을 벌리고 시선은 목표를 향한 다
·팔꿈치로 볼을 리드하고 바스켓 방향 으로 향한다.
·신체는 쭉 뻗고, 신체의 균형을 유지 한다.
·점프한 뒤에 몸을 끌어 당기지 않는 다.
◈오버헨드 레이업슛
. 낮은자세로 바스켓에 다가가 오른발
이 바닥에 닿았을 때 볼을 잡고 그 볼을 가슴에 대고 왼발을 내디디며 높게 점프함과 동시에 볼을 위로 올려 손목을 세우고 손바닥은 바스켓 을 향한다
◈ 언더핸드 네이업슛
. 볼을 캐치해서 한쪽 발을 착지하고 다음 발로 앞으로 나가면서 몸을 쭉 뻗고 볼을 바스켓에 가지고 직접 또는 백보드에 맞춰 슛한다.
학습단계
학습 요소
교 수 - 학 습 활 동 ( 실 기 편 )
지도상 유의점
전개
수준별학습 편성
심화반
보통반
우수자시범
♠ 수준별 학습 편성
- 스텝에 유의
- 칭찬 및 격려
- 타 학생들의
동기유발
심화반 학습
◈ 레이업 슛(1조를 4명 2개조로 편성)
- 1조는 사이드라인에서 1열로 2조는 프리드로우서클에서 선다.
- 2조가 바운드, 체스트 패스로 1조 앞으로 던지면 1조는 앞으로 달려 나오면서 받아 슛을 시도한다. 패스 한 학생은 1조 뒤로 슛한 학생은 2 조 뒤로가 대기한다.
보통반 : (1개조를 5명 2개로 편성)
- 골을 향해 양쪽으로 일렬로 서서 드리블 후 슛을 시도한다.
⊙ 집단간 협동심과 성취감 고취)
⊙ 이미지 트레이닝 실시
⊙ 우수자 시범 및 교사의 요점 설명
- 정확하고 유연한 몸 동작으로 실시
정 리
정리 운동 (정적 운동, 스트레칭)
차시 예고 (난이도) 및 개별연습 과제부여
- 스트레칭(20초 씩 5종류 이상)
형성평가
슛을 통해서 향상되는 체력 요소는? (도약력, 순발력)
일반적으로 많이 사용되는 점프 슛은? ( 원 핸드 점프 슛)
추천자료
브루너(Bruner)의 교수이론
브루너Bruner의 발견학습
교육실습 목적과 과정
방과후활동지도계획(교육계획), 신문활용지도계획(교육계획), 주5일제지도계획(교육계획), TV...
도덕과(도덕수업, 도덕교육)의 성격과 목적, 도덕과(도덕수업, 도덕교육)의 동향, 도덕과(도...
초등학교 체육과(체육교육) 특성과 목표, 초등학교 체육과(체육교육) 내용, 초등학교 체육과(...
[2015교육공학] 교육공학에 대한 교육공학자들의 정의 참고- 자기 자신 나름대로의 교육공학...
교육학교재연구 및 수업시연(3-2. 나, 미래의 부모)
교육공학의 정의 및 주요내용 유아교육현장에서의 적용
교육공학에 대한 교육공학자들의 정의를 참고하여 자기 자신 나름대로 교육공학에 대한 정의,...
교육공학 다섯가지 주요 영역
체육과 교재연구 및 지도법 - 체육과 교재연구의 이해
교육공학 교재 1장부터 4장까지(교재 3쪽 ~ 96쪽) 각각의 장에서 자신에게 가장 흥미로웠던 ...
교직실무)유아교사의 전문성 발달에 대해 설명하고 유아교사의 역량강화를 위해 필요한 부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