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라이제이션의 진행과 역할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I. 글로벌라이제이션의 세계적 진행

II. 한국에서의 글로벌라이제이션

III. 글로벌라이제이션의 수혜자와 비수혜자

본문내용

결정된 행동의 부작용 탓으로 돌리기도 하였다.
IMF 보고서(2007.10)는 지난 20년간 글로벌라이제이션이 총체적 부(wealth)는 증대시켰지만 빈부격차는 확대시켰다고 주장하였다. 빈부격차는 선진국과 개도국간 뿐 아니라 선진국 내와 저개발국내의 계층 간에도 발생하였다. 이는 1980년대부터 세계화 지향에 목소리를 높였던 IMF가 세계화의 폐해를 인정하는 것은 이례적이다.
글로벌라이제이션의 3대 요소로 무역, 기술, 외국자본을 들수 있다. 무역은 선진국과 개도국의 소득격차 해소에 기여한 반면 기술이전과 외국자본은 빈부격차 확대요인으로 작용하였다는 것이다. 기술이전의 경우 저개발국의 부를 상승시키는 효과를 가져왔지만 비숙련노동자 보다는 숙련노동자를 더 필요로 하다 보니 결과적으로 선진국과 개도국 간 뿐만 아니라 동일그룹 국가내의 계층 간에도 빈부격차가 확대되었다는 것이다. 한편 외국인투자도 주로 기술집약적 고부가가치 산업에 집중되다 보니 비숙련노동자의 임금도 상승하였지만 상대적으로 고임금의 높은 숙련노동자에게 보다 유리하게 작용한다는 것이다. 중남미와 아프리카 국가들은 IMF처방을 따랐지만 기대만큼 경제발전을 이루지 못하였다. IMF의 이 같은 분석은 무역과 투자의 증가가 개도국에 더 많은 비숙련노동자를 위한 일자리를 만들어내 빈부격차가 해소될 것이라는 기존의 주장과 달리 글로벌라이제이션 논쟁이 가속화 될 가능성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해 비숙련노동자들과 저임금 계층에 교육의 기회를 대폭 확충하고 정보격차를 줄이고 글로벌라이제이션과 기술발전의 수혜를 누릴 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고 주장한다.
  • 가격1,200
  • 페이지수5페이지
  • 등록일2012.02.27
  • 저작시기2012.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73027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