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환의 개념과 종류, 외환포지션과 외환시장의 구조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외환의 개념과 외환시장의 구조

Ⅰ. 외환의 개념과 종류

1. 외환의 개념
2. 외환의 종류

Ⅱ. 외환포지션과 외환시장의 구조

1. 외환포지션
2. 외환거래의 형태
3. 외환시장의 참가자
4. 외환시장의 종류
5. 역외선물환
6. 서울 외환시장

본문내용

메커니즘은 일정기간 후 원화가치를 예상하여 원화매도나 매수포지션을 취하되 결제는 달러로 하게 되므로 굳이 한국시장을 이용할 필요가 없게 만든 것이다. 예컨대 외국인이 한국에 주식투자를 하는 경우 우선 달러를 팔아 원화부터 사들이고 이 원화를 가지고 한국 주식시장에 투자하게 된다.
이 경우 외국인 투자자는 주식을 팔아서 번 원화를 다시 달러로 교환해 나가게 된다. 결국 한국에 투자를 하고 투자수익을 챙길 때 원화의 가치변동에 따른 위험이 생긴다. 이러한 원화포지션을 헤지하려면 선물환거래를 하여야 하는데 이때 외국에 있는 은행을 통해 포지션을 취하고 결제를 함으로써 거래의 편의를 도모할 수 있게 된다.
6) 시울 외환시장
서울소매 국내은행 및 외국계은행 서울지점의 각 밀링룸과 증개기관인 서울외국환중개(주) 및 한국자금중배(주)를 사이에 두고 전산망과 전화상으로만 이루어지는 눈에 보이지 않는 시장이다. 밀러(dealer)들이 활동하며 이들의 매도 수거래가 달러환율을 결정한다. 한편 서울외환시장이 아닌 곳에서 원화가 거래되는 홍콩, 싱가포르, 뉴욕, 런던 등의 역외시장을 역외선물환(Non Deliberable forward)시장이라고 한다.
2005년 2월부터 서울외환시장의 외환거래 방식이 변경되어 외환시장이 이원화되어 있다. 외환시장에 참가하는 각 은행들은 개인과의 거래에서는 종전과 같이 대 고객 환율을 제시하고 외화를 대매하면 된다. 한편 기업 및 역외거래자는 종전에는 기업 및 역외거래자들이 은행에 매수 매도 주문을 일방적으로 내었지만 2005년 2월부터는 각 은행이 제시하는 매수 매도 호가를 토대로 은행과 협상해 사자 또는 팔자 주문을 내어야 하고 개인과 기업 및 역외거래자는 종전과는 달리 실시간으로 외환시장의 환율정보를 볼 수 없게 되었다. 그 동안 역외거래자들이 은행간 시장의 환을 정보를 실시간으로 보면서 외환시장을 흔들어 왔던 것이 문제가 되어 외환거래 방식의 변경 필요성이 존재하였다.
정부는 1997년 이후 10년만에 다시 추진하던 원-엔 직거래시장 재실을 취소하기로 결정하였다.(2007.4) 원-엔 직거래시장은 일본과 교역할 때 미국 달러화를 거치지 않고 직접 엔화로 결제하는 시스템으로 2007년 초 정부가 발표한 경제운용 방향에서 다시 개설할지를 검토하겠다고 밝힌 바 있었다.
원-엔 직거래시장 개설의 필요성이 낮은 이유는 일본과의 무역규모에 비해 엔화 결제비율이 절반 수준에 그치는 데다 무역과 관계없는 투기적지래 가능성도 희박해 원-엔 직거래가 지속적으로 유지될 수요와 공금이 부족하기 때문이라는 것이다
이론적으로 원-엔 직거래로 수수료를 절약할 수 있겠지만 실제로는 원-달러, 다시 달러-엔 거래를 하면 수수료가 더 낮다는 점도 거론되었다. 원-엔 적거래 시장은 1996년 10및 개설된 지 4개월 만에 유동성 부록으로 거래가 중단된 바 있다. 따라서 국내 외환시장에서의 원화와 친화의 환율은 직정 결정되지 않고 원-달러 환율이 결정되면 달러-엔화의 크로스 환율을 이용하여 재정환율(arbitrage rate)로 결정된다.
  • 가격1,5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12.02.27
  • 저작시기2012.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73037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