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 3장 수요· 공급의 이론
본 자료는 6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해당 자료는 6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6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제 3장 수요· 공급의 이론

제 1절 가격의 기능

제 2절 수요
1. 수요의 개념
2. 수요의 결정요인
3. 수요함수와 수요곡선의 도출

제 3절 공급
1. 공급의 개념
2. 공급의 결정요인
3. 공급함수와 공급곡선의 도출
3. 시장가격과 수량의 결정

본문내용

공급으로 구분된다. 개별공급은 개별기업의 공급을 말하며, 시장공급은 시장에 참가한 개별기업의 총공급량으로 개별기업의 공급량을 모두 합계한 것을 말한다.
또한 시장공급은 국내시장공급과 해외시장공급으로 나누어진다.
2. 공급의 결정요인
어떤 상품의 공급에 영향을 주는 요인은 무수히 많다. 그러한 요인중 주요 요인들로는 → 해당상품의 가격, 기술수준, 관련상품의 가격, 생산요소의 가 격, 공급자의 수, 공급자의 목표, 그리고 여타 요인 들을 들 수 있다.
공급결정 요인을 살펴보면
첫째, 다른 조건이 일정할 때 생산자는 해당상품의 가격이 상승(하락)하면 상품의 공급량은 증가(감소)시키는 것이 일반적이다. 즉 어떤 상품의 공급량은 그 상품의 가격과 정의 상관관계가 있다. 이를 공급의 법칙(law of supply)이라고 한다.
공급량은 다른 조건이 일정할 때 일정한 가격수준하에서 생산자들이 판매하고자 하는 최대수량을 나타내 주므로 공급곡선은 주어진 각각의 가격에서 최대공급량을 나타내주는 것이라고 볼 수 있다.
둘째, 일반적으로 생산기술의 향상은 단위당 생산비용을 절감시키기 때문에 종전과 동일한 생산비용으로 더 많은 상품을 공급할 수 있게 해 준다.
반면 생산기술의 퇴보는 상품의 공급을 감소시킨다.
셋째, 다른 조건이 일정할 때
→ X 재와 Y 재가 대체재(substitutes in production)인 경우에 Y 재의 가 격수준이 상승(하락)하면 X 재의 공급은 감소(증가)하고,
→ X 재와 Y 재가 보완재(complements in production)인 경우에는 Y 재의 가격수준이 상승(하락)하면 X 재의 공급량은 증가(감소)한다.
넷째, 생산요소(토지, 노동, 자본, 경영)의 가격이 하락하면 동일한 생산비용으로 종전보다 더 많은 생산요소를 구입하여 생산에 투입할 수 있기 때문에 더 많은 상품을 공급할 수 있다.
다섯째, 어떤 상품에 대한 공급은 다른 조건이 일정할 때 시장에 공급자의 수가 증가(감소)하면 공급이 증가(감소)한다.
여섯째, 기업(공급자)의 목표는 전통경제학에서는 이윤극대화를 전제로 하고 있는데, 이윤극대화뿐만 아니라 판매량의 극대화, 시장점유율의 극대화, 만족할 만한 성장과 이윤 그리고 진입저지가격설정 등을 들 수 있다.
따라서 공급자의 목표가 이윤극대화에 있는 것이 아니라 판매량의 극대화에 있다면 공급은 이윤극대화의 경우보다 판매량극대화의 경우에 보다 많이 증가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앞에서 설명한 요인들 이외에도 장래가격에 대한 기대, 국내외 정세, 경기전망 그리고 전쟁 등의 많은 요인들이 공급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3. 공급함수와 공급곡선의 도출
공급함수란 → 어떤 상품의 공급량과 공급의 결정요인들간의 함수관계를 말 한다.
어떤 상품 X 에 대한 공급량을 → Sx
가격을 → Px
기술수준을 → T
관련상품의 가격을 → Py
생산요소의 가격을 → Pf
생산자의 수를 → N
생산자의 목표를 → G
공급에 영향을 주는 여타요인을 → O 로 표시 한다면
다음과 같이 공급함수로 표시할 수 있다.
( 두 생산자의 공급표 )
사과가격(원)
1개월간 사과공급량(개)
갑의 공급량
을의 공급량
시장공급량
400
420
520
940
350
390
490
880
300
350
450
800
250
300
400
700
200
240
340
580
150
170
270
440
공급표를 가격을 종축, 공급량을 횡축으로 하는 평면에 그림으로 표시한 것을 공급곡선(supply curb)이라고 한다.
한 상품의 공급곡선이란 일정기간에 있을 수 있는 그 상품의 여러 가지 가격과 공급량의 조합들을 나타내는 곡선이다.
공급자가 받고자 하는 최소한의 가격을 공급가격(supply price)이라고 한다.
( 생산기술진보와 사과의 공급표 )
사과가격(원)
1개월간 사과공급량(개)
생산기술진보 이전
생산기술진보 이후
A
400
420
520
B
350
390
490
C
300
350
450
D
250
300
400
E
200
240
340
F
150
170
270
다른 모든 조건이 일정할 때 한 상품의 가격이 상승하면 그 상품의 공급량은 증가하고 가격이 하락하면 공급량은 감소한다.
이와 같이 가격과 공급량 사이에 존재하는 양의 관계, 즉 가격과 공급량이 같은 방향으로 변하는 것을 공급의 법칙이라 한다.
공급의 변화란 공급곡선 자체가 이동하는 것을 의미하고 공급량의 변화는 어느 한 공급곡선상에서의 이동을 뜻한다.
3. 시장가격과 수량의 결정
1) 시장균형의 개념
시장균형(market equilibrium)이란
→ 어떤 상품의 수요량과 공급량이 일치하여 더 이상 다른 상태로 변화하지 않는 상태를 시장균형이라 한다.
→ 이는 수요곡선과 공급곡선이 교차하는 점에서 달성된다.
균형가격(equilibrium)이란
→ 어떤 상품의 수요량과 공급량이 일치할 때 결정되는 가격을 균형가격이 라 한다.
→ 이 균형가격에 대응하는 수요량을 균형수요량, 공급량을 균형공급량이라 한다. 균형수요량과 균형공급량을 합쳐 균형 수급량이라 한다.
초과공급량이란
→ 어떤 가격수준에서 소비자들의 수요량보다 생산자들의 공급량이 많아서 상품이 남아돌 때 이 잉여분을 초과공급량이라 한다.
초과수요량이란
→ 어떤 가격수준에서 소비자들의 수요량이 생산자들의 공급량보다 많아서 상품의 부족현상이 발생할 때 이 부족분을 초과수요량이라고 한다.
( 사과와 시장수요· 공급표 )
가격(원)
사과의 시장수요 ·공급량(만 Box)
수요량
공급량
초과공급량
초과수요량
40,000
46
94
48
35,000
50
88
38
30,000
58
80
22
25,000
70
70
0
0
20,000
86
58
28
15,000
110
44
66
2) 시장균형의 변동
(1) 수요의 변화와 시장균형의 변동
(2) 공급의 변화와 시장균형의 변동
수요·공급의 4대 법칙
① 공급이 일정하고 수요가 증가 할 때 → 가격이 상승하고 거래량이 증가
② 공급이 일정하고 수요가 감소할 때 → 가격이 하락하고 거래량이 감소
③ 수요가 일정하고 공급이 증가할 때 → 가격이 하락하고 거래량이 증가
④ 수요가 일정하고 공급이 감소할 때 → 가격이 상승하고 거래량이 감소
  • 가격2,500
  • 페이지수18페이지
  • 등록일2012.02.29
  • 저작시기2012.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73061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