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유럽 노동운동의 발전
2. 제1 인터내셔날의 창립과 활동
3. 파리코뮨의 경험과 인터내셔날의 발전적 해체
2. 제1 인터내셔날의 창립과 활동
3. 파리코뮨의 경험과 인터내셔날의 발전적 해체
본문내용
요를 더욱 확신하게 되었다. 이러한 인식하에 맑스는 1892년 9월 헤이그에서 개최된 5차대회에서는 무정부주의, 블랑키주의와 결정적으로 대결하면서 전력을 다해 바쿠닌의 세력을 배제했다. 그러한 의미에서 헤이그 대회는 제1 인터내셔날의 기본적 노선을 맑스주의자들이 장악하는 계기였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그 결과 배제된 바쿠닌주의자와 영국의 계몽주의자가 반맑스주의라는 전술상의 입장에서 연합하게 되어 파리코뮌 후의 국제노동운동은 분열상을 심화되게 되었다. 한편으로는 반동세력의 공세에 의하여 인터내셔날의 유럽 내 입지가 축소되고 다른 한편으로는 인터내셔날이 바쿠닌주의자에 장악되어 그들의 분파적 사업에 이용되고, 총평의회마저 블랑키주의자들에게 장악될 가능성이 고조됨으로써 엥겔스가 인터내셔날의 새로운 전기를 맞이하기 위해 본부를 뉴욕으로 옮길 것을 주장하게 되었다. 이러한 주장이 받아들여져서 총평의회가 뉴욕으로 옮겨졌는데 그전에 이미 바크닌주의자들은 인터내셔날로부터 제명되어 독자적 활동을 전개하고 있었다. 미국으로 옮겨진 인터내셔날은 미국의 노동운동과 결합함으로써 일시 흥기하는 듯 하였으나 미국 노동자의 정치적 미성숙과 라살레주의자들의 인터내셔날 침투에 의한 내부분열의 격화로 인해 1876년 필라델피아에서 해산을 결의하게 되었다.
그러나 제1 인터내셔날의 해산은 내부의 분파투쟁에 의한 결과물만은 아니다. 그것은 제1 인터내셔날의 적극적인 활동의 결과로 국제 프롤레타리아 혁명운동이 획기적으로 발전하였고 노동자의 국제적 연대 또한 새로운 형태로 나아가야 할 필요성이 제기됨으로써 발전적 해체를 모색하게 되었던 것이다.
그러나 제1 인터내셔날의 해산은 내부의 분파투쟁에 의한 결과물만은 아니다. 그것은 제1 인터내셔날의 적극적인 활동의 결과로 국제 프롤레타리아 혁명운동이 획기적으로 발전하였고 노동자의 국제적 연대 또한 새로운 형태로 나아가야 할 필요성이 제기됨으로써 발전적 해체를 모색하게 되었던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