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제 4장 구조주의(Structuralism)패러다임
제1절 일반적 특징과 등장배경
제2절 이론적 가정
제3절 구조주의의 국제정치관
제4절 전통적 마르크스주의(Classical Marxism)와의 차이
제5절 각종 구조주의 이론들
제6절 타 패러다임의 국가간 불평등 문제의 해결방법
제7절 구조주의 이론에 대한 비판
제8절 주요 문제에 대한 구조주의의 관점
제5장 성찰주의(省察主義)
제1절 성찰주의의 등장배경
제2절 성찰주의 이론들
제3절 성찰주의의 평가
제1절 일반적 특징과 등장배경
제2절 이론적 가정
제3절 구조주의의 국제정치관
제4절 전통적 마르크스주의(Classical Marxism)와의 차이
제5절 각종 구조주의 이론들
제6절 타 패러다임의 국가간 불평등 문제의 해결방법
제7절 구조주의 이론에 대한 비판
제8절 주요 문제에 대한 구조주의의 관점
제5장 성찰주의(省察主義)
제1절 성찰주의의 등장배경
제2절 성찰주의 이론들
제3절 성찰주의의 평가
본문내용
ial resources)과 공유된 지식(shared knowledge) 그리고 관례화된 행위(practies)로 구성되어 있다고 본다. 이러한 구성요소 중 구성주의가 가장 중요하게 간주하는 요소가 다름 아닌 공유된 지식이라는 요소이다.
웬트는 신현실주의와는 달리 국제구조란 물질적인 구조가 아니라 사회적 구조로 본다.
그는 공유된 지식이라는 집단적 의미(collective meaning)가 우리의 행동을 조직화하는 구조(structure)를 정의하며 행위자들은 이러한 집단적 의미에 참여함으로써 이익과 정체성을 획득하게 된다고 본다.
또한 국제제도란 비교적 안정적인 일단의 이러한 정체성과 이익의 구현물로 보며 이러한 국제제도의 하나로서의 '자력구제(self-help)'란 상호작용으로부터 나온 것으로서 무정부하에서의 정체성과 이익의 유일한 표출물은 아니라고 본다.
웬트에게 있어서 국제관계에 있어서 연구의 의제는 다름 아닌 국가라는 행위자가 국제체제와 같은 사회적 구조를 정의하는 방식이다.
국제체제의 구조는 물적인 힘보다 관념적인 힘에 의해 결정되고, 행위자들의 정체성과 이익이라는 것은 선험적으로 주어지는 것이 아니라 공유된 관념에 의해 사회적으로 구성되며, 구조와 행위자는 상호작용의 과정을 통해 서로를 동시에 구성한다는 것이다.
이러한 맥락에서 구성주의는 사회적인 변화란 구성원들이 상호 끊임없이 담론(discourse)을 통해 자신들의 역할과 가치를 변화시켜나감으로써 사회법칙이 바뀌기 때문에 발생한다고 본다. 따라서 영원히 변화하지 않는 법칙이란 존재하지 않으며 대화를 통해 이들은 변화하고 새로운 법칙에 의해 대체되는 등 부단한 변화를 겪는다고 본다.
4)신현실주의 및 신자유주의와의 비교
구성주의 논의를 신현실주의와 관련하여 정리하면 신현실주의는 구조를 단순히 물질적인 구조로만 바라보나 구성주의는 이것 이외에 규범적인 요소를 첨부하여 이러한 규범적인 구조가 국가행동에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강조한다. 구성주의는 사회구조로서의 국제체제의 구조는 신현실주의가 강조하는 힘의 배분과 같은 물질적인 면도 가지고 있으며 신자유주의가 강조하는 제도와 같은 규범적인 면도 가지고 있다고 본다. 구성주의는 이러한 사회구조가 국가행동에 영향을 주며 동시에 이러한 사회구조는 국가들에 의해 만들어지는 쌍방향적인 것으로 본다.
그러나 구성주의는 사회구조의 물질적인 측면과 규범적인 측면 중에서 규범적인 측면을 강조하며 동일한 물질적 구조하에서도 상이한 규범구조(예컨대 자력구제라는 행동논리와 다른 행동논리)가 가능하다고 본다.
이러한 관점에서 힘의 논리에 의해 국가의 행동을 설명하는 신현실주의에 대해 구성주의는 국가간에 공유할 수 있는 문화와 규범적인 기반을 확장하여 집합적인 정체성(collective identity)을 만들어 가면 갈등은 어느 정도 줄일 수 있다고 판단한다.
비판이론이나 구성주의 이론 모두 구조를 힘의 배분과 같은 물질적인 요소로서 정의한 신현실주의와는 달리 구조의 비물질적인 요소를 강조한다. 그러나 이들 역시 물질적인 요소가 구조의 한 요소를 부인하는 것은 결코 아니라는 것을 기억하여야 할 것이다.
5) 구성주의의 현실에의 적용
구성주의는 초국가적인 통합을 설명하는 데 있어서 이를 전통적인 홉스적인 무정부적 질서(anarchic order)의 붕괴로 인한 결과물로 바라볼 뿐 아니라 상호간에 인정하는 주권의 권리라는 로크적인 아이디어의 결과물로도 바라본다. 이처럼 구성주의는 유럽연합을 분석하는 데 있어서 국가 정체성과 기대(national identities and expectations)의 변화와 새로운 집단적인 유럽의 정체성(a new collective European identity)의 진화라는 관점으로 접근하고 한다.
6) 구성주의의 평가
⑴ 긍정적인 평가
구성주의는 국가이익과 국가 정체성이란 합리적으로 주어진 것이라고 바라보는 합리주의에 비판을 가하고 여러 비합리적일 수 있는 요인들을 가지고 국가이익과 정체성이 어떻게 형성되는가에 관심을 보임으로쏀 국제정치 이론보다 풍부한 설명을 가할 수 있는 여지를 만들었다.
또 다른 한편 합리주의 이론들은 국가의 합리성을 선험적으로 가정함으로써 국제제도가 실질적으로 어떻게 국가의 정체성과 국가이익에 영향을 미쳐 행동에 변화를 가져오는가의 과정을 암상자(black box)에 넣었으나 이것을 암상자로부터 꺼내 살펴보고자 한다는 점에서 보다 풍부한 설명을 제공할 수 있는 여지를 가지고 있다.
구성주의 논의는 서구적인 시각과 개념으로 국제정치 현상을 바라보는 데에 익숙해져 있는 우리들에게 서구적인 국제사회의 확장으로만 설명하기 어려운 나름의 독자성을 지니고 있다고 판단되는 지역 내의 국제정치 질서가 어떻게 형성되었고 어떻게 변화할 것인가에 대한 통찰력을 제공할 수 있다.
⑵ 부정적인 평가
구성주의가 행위자들이 규칙을 쫓아 행동을 한다고 하나 이것을 행동에 대한 강력한 설명이 되지 않을 수도 있다는 비판이 제기된다.
또 다른 문제점은 신현실주의가 제도(institutions)와 공유된 규범(norms)의 이론적 중요성을 지나치게 부인하는 데 반해 이들은 행위자들의 선호를 규정하는 규범들을 지나치게 강조하며 공동의 구성적 규칙을 찾아낼 수 있다는 강력한 가정을 갖고 있으나 이의 현실성이 문제가 되다 또한 구성주의의 집합적인 정체성(collective identity)이라는 것이 상대적인 권력에 있어서 큰 차이를 가지고 있는 국가들로 구성된 국제사회에서 민주적으로 구성될 수 있는 것인가에 대해서는 회의적이지 않을 수 없다.
제3절 성찰주의의 평가
다양한 성찰주의 관점들이 합리주의의 문제점을 여러 측면에서 제기하고 있는 것은 사실이나 합리주의 이론들이 제공하는 것과 같은 방식의 이론적인 입장과 검증할 수 있는 가설(hypothesis)과 같은 것을 제대로 제공하지 못하고 있다는 지적을 받는다.
이런 점에서 볼 때 성찰주의는 아직 기존 국제정치 패러다임의 내용에 대해 제대로 도전을 하고 있지 않아 보인다. 따라서 아직 판단을 내리기는 이르나 1960년대 행태주의가 전통주의에 가한 것과 같은 방법론상의 도전에 그칠 가능성 역시 크다고 본다.
웬트는 신현실주의와는 달리 국제구조란 물질적인 구조가 아니라 사회적 구조로 본다.
그는 공유된 지식이라는 집단적 의미(collective meaning)가 우리의 행동을 조직화하는 구조(structure)를 정의하며 행위자들은 이러한 집단적 의미에 참여함으로써 이익과 정체성을 획득하게 된다고 본다.
또한 국제제도란 비교적 안정적인 일단의 이러한 정체성과 이익의 구현물로 보며 이러한 국제제도의 하나로서의 '자력구제(self-help)'란 상호작용으로부터 나온 것으로서 무정부하에서의 정체성과 이익의 유일한 표출물은 아니라고 본다.
웬트에게 있어서 국제관계에 있어서 연구의 의제는 다름 아닌 국가라는 행위자가 국제체제와 같은 사회적 구조를 정의하는 방식이다.
국제체제의 구조는 물적인 힘보다 관념적인 힘에 의해 결정되고, 행위자들의 정체성과 이익이라는 것은 선험적으로 주어지는 것이 아니라 공유된 관념에 의해 사회적으로 구성되며, 구조와 행위자는 상호작용의 과정을 통해 서로를 동시에 구성한다는 것이다.
이러한 맥락에서 구성주의는 사회적인 변화란 구성원들이 상호 끊임없이 담론(discourse)을 통해 자신들의 역할과 가치를 변화시켜나감으로써 사회법칙이 바뀌기 때문에 발생한다고 본다. 따라서 영원히 변화하지 않는 법칙이란 존재하지 않으며 대화를 통해 이들은 변화하고 새로운 법칙에 의해 대체되는 등 부단한 변화를 겪는다고 본다.
4)신현실주의 및 신자유주의와의 비교
구성주의 논의를 신현실주의와 관련하여 정리하면 신현실주의는 구조를 단순히 물질적인 구조로만 바라보나 구성주의는 이것 이외에 규범적인 요소를 첨부하여 이러한 규범적인 구조가 국가행동에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강조한다. 구성주의는 사회구조로서의 국제체제의 구조는 신현실주의가 강조하는 힘의 배분과 같은 물질적인 면도 가지고 있으며 신자유주의가 강조하는 제도와 같은 규범적인 면도 가지고 있다고 본다. 구성주의는 이러한 사회구조가 국가행동에 영향을 주며 동시에 이러한 사회구조는 국가들에 의해 만들어지는 쌍방향적인 것으로 본다.
그러나 구성주의는 사회구조의 물질적인 측면과 규범적인 측면 중에서 규범적인 측면을 강조하며 동일한 물질적 구조하에서도 상이한 규범구조(예컨대 자력구제라는 행동논리와 다른 행동논리)가 가능하다고 본다.
이러한 관점에서 힘의 논리에 의해 국가의 행동을 설명하는 신현실주의에 대해 구성주의는 국가간에 공유할 수 있는 문화와 규범적인 기반을 확장하여 집합적인 정체성(collective identity)을 만들어 가면 갈등은 어느 정도 줄일 수 있다고 판단한다.
비판이론이나 구성주의 이론 모두 구조를 힘의 배분과 같은 물질적인 요소로서 정의한 신현실주의와는 달리 구조의 비물질적인 요소를 강조한다. 그러나 이들 역시 물질적인 요소가 구조의 한 요소를 부인하는 것은 결코 아니라는 것을 기억하여야 할 것이다.
5) 구성주의의 현실에의 적용
구성주의는 초국가적인 통합을 설명하는 데 있어서 이를 전통적인 홉스적인 무정부적 질서(anarchic order)의 붕괴로 인한 결과물로 바라볼 뿐 아니라 상호간에 인정하는 주권의 권리라는 로크적인 아이디어의 결과물로도 바라본다. 이처럼 구성주의는 유럽연합을 분석하는 데 있어서 국가 정체성과 기대(national identities and expectations)의 변화와 새로운 집단적인 유럽의 정체성(a new collective European identity)의 진화라는 관점으로 접근하고 한다.
6) 구성주의의 평가
⑴ 긍정적인 평가
구성주의는 국가이익과 국가 정체성이란 합리적으로 주어진 것이라고 바라보는 합리주의에 비판을 가하고 여러 비합리적일 수 있는 요인들을 가지고 국가이익과 정체성이 어떻게 형성되는가에 관심을 보임으로쏀 국제정치 이론보다 풍부한 설명을 가할 수 있는 여지를 만들었다.
또 다른 한편 합리주의 이론들은 국가의 합리성을 선험적으로 가정함으로써 국제제도가 실질적으로 어떻게 국가의 정체성과 국가이익에 영향을 미쳐 행동에 변화를 가져오는가의 과정을 암상자(black box)에 넣었으나 이것을 암상자로부터 꺼내 살펴보고자 한다는 점에서 보다 풍부한 설명을 제공할 수 있는 여지를 가지고 있다.
구성주의 논의는 서구적인 시각과 개념으로 국제정치 현상을 바라보는 데에 익숙해져 있는 우리들에게 서구적인 국제사회의 확장으로만 설명하기 어려운 나름의 독자성을 지니고 있다고 판단되는 지역 내의 국제정치 질서가 어떻게 형성되었고 어떻게 변화할 것인가에 대한 통찰력을 제공할 수 있다.
⑵ 부정적인 평가
구성주의가 행위자들이 규칙을 쫓아 행동을 한다고 하나 이것을 행동에 대한 강력한 설명이 되지 않을 수도 있다는 비판이 제기된다.
또 다른 문제점은 신현실주의가 제도(institutions)와 공유된 규범(norms)의 이론적 중요성을 지나치게 부인하는 데 반해 이들은 행위자들의 선호를 규정하는 규범들을 지나치게 강조하며 공동의 구성적 규칙을 찾아낼 수 있다는 강력한 가정을 갖고 있으나 이의 현실성이 문제가 되다 또한 구성주의의 집합적인 정체성(collective identity)이라는 것이 상대적인 권력에 있어서 큰 차이를 가지고 있는 국가들로 구성된 국제사회에서 민주적으로 구성될 수 있는 것인가에 대해서는 회의적이지 않을 수 없다.
제3절 성찰주의의 평가
다양한 성찰주의 관점들이 합리주의의 문제점을 여러 측면에서 제기하고 있는 것은 사실이나 합리주의 이론들이 제공하는 것과 같은 방식의 이론적인 입장과 검증할 수 있는 가설(hypothesis)과 같은 것을 제대로 제공하지 못하고 있다는 지적을 받는다.
이런 점에서 볼 때 성찰주의는 아직 기존 국제정치 패러다임의 내용에 대해 제대로 도전을 하고 있지 않아 보인다. 따라서 아직 판단을 내리기는 이르나 1960년대 행태주의가 전통주의에 가한 것과 같은 방법론상의 도전에 그칠 가능성 역시 크다고 본다.
추천자료
신앙과 기독교교육
가부장제와 가족제도
신앙과 기독교 교육
에번스 프리처드와 클리퍼드 기어츠의 인류학의 해석학적 흐름
현상학의종류와 개념
학교 사회복지 문제와 교육문제의 원인분석 및 해결방안 (A+레포트)★★★★★
악의 관점에서 본 인간에 대한 이해
[교육문제] 학교가 가진 여러가지 의미와 교육 문제의 구조적 원인과 해결 방안 제언
[음][음운론][음절구조][음소배열 제약][억양음운론][지배음운론][자연음운론]음의 분류, 음...
[현대의서양문화] 철학분야에서 포스트모던적 사유가 근대성에 대해 가하는 비판양상에 대해 ...
[포스트모던적사유]철학분야에서 포스트모던적사유가 근대성에 대해 가하는 비판양상에 대해 ...
[사이버거버넌스][사이버문학][사이버교육][사이버가정학습]사이버거버넌스, 사이버문학, 사...
권력이란 무엇인가 (권력의 개념과 차원, 권력 개념 속에 공통된 본질, 권력 행사 메카니즘)
사회학개론-인구고령화의 현황 및 문제점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