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러시아혁명의 경험: 레닌의 정당론
2. 중국혁명과 공산당
① 중국혁명의 전개와 중국공산당의 역할인식
가. 창당 ~ 제1국공합작
나. 마오(毛澤東)의 부상: 중화인민공화국의 성립까지
② 사회주의 건설기의 중국공산당
③ 문화혁명(文化革命)과 중국공산당의 역할에 대한 평가
④ 문화혁명 이후 실용파(實用波)의 부상과 중국공산당의 변화
2. 중국혁명과 공산당
① 중국혁명의 전개와 중국공산당의 역할인식
가. 창당 ~ 제1국공합작
나. 마오(毛澤東)의 부상: 중화인민공화국의 성립까지
② 사회주의 건설기의 중국공산당
③ 문화혁명(文化革命)과 중국공산당의 역할에 대한 평가
④ 문화혁명 이후 실용파(實用波)의 부상과 중국공산당의 변화
본문내용
을 갖게 되었다. 이 과정에서 격렬한 반우파운동이 벌어지게 되었고, 마오는 지식인과 전문관료를 배제하고 ‘대약진운동’을 펼치게 된다.
그러나 이 ‘대약진운동’은 크게 실패하게 되었고, 덩샤오핑, 류샤오치와 같은 실용파가 등장하게 되었다. 이들은 중국사회에 계급투쟁은 이제 존재하지 않고, 그렇기에 인민생활에 기여하기 위해 당이 복무해야 함을 주장하였고, 더불어 지식인/관료계층을 중용하고 자본주의적 성향을 더욱 자극시켜 경제성장을 추진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는 곧 충돌로 나타나게 되었는데, 대대적으로 문화혁명이 발발하기 시작한 것이었다.
마오는 중국사회에 만연하는 부르주아적 기풍을 쇄신하기 위해 중국공산당 내에 노선투쟁을 전개하게 되었다. 그는 자본주의의 길을 걷는 실용파에 대한 투쟁과 당의 변화를 추동하려 했다. 그는 거대하게 일어난 혁명대중들 -홍위병, 혁명적 대중, 군- 을 통해 당의 실용파를 제거했고, 당조직을 개편하고자 했다. 그러나, 이러한 혁명대중의 움직임은 마오로서도 겉잡을 수 없는 것이었다. 급기야 마오는 군의 개입을 통해 대중의 혁명적 열기를 정리했으며, 혁명위원회를 설치하여 당 기구의 복원을 천명하였다. 이로서 문화혁명은 실질적으로 종료되었던 것이다.
④ 문화혁명 이후 실용파(實用波)의 부상과 중국공산당의 변화
이후, 마오주의는 중국공산당의 지도이념으로 부상하게 된다. 그러나 문화혁명의 종료로 그 실천성은 사라지게 되었는데, 문혁 이후 중국공산당은 마오주의로의 교조화라는 편향을 겪게 된다. 이러한 상황에서 마오가 서거하자, 문화혁명기에 숙청되었던 실용파는 중국공산당을 장악하였다. 이전에 부르주아적 사상에 오염되어 있다고 비판된 지식인, 전문기술자 계층은 대거 복귀 하였고, 새로운 반좌파세력이 되었다. 이들은 문혁 이후의 경제침체를 빌미로 노선의 변경을 추진하게 된다.
이들은 중국사회에서 대규모의 계급투쟁은 종료된 것이라고 주장했고, 경제발전과 현대화, 인민생활의 개선의 당의 목표임을 천명하였다. 또한 이를 위해서 사상해방과 경제제도의 개편이 추진되었다. 이후 80년대에 들어서실용파는 는 문화혁명으로 파괴된 당의 제도, 기능을 복구하고, 사회주의 단계에서의 계급투쟁과 계속혁명이론을 전면적으로 부정한다. 이제는 경제발전과 사회주의의 현대화가 제 1의 목표가 된 것이다. 또한, 중국공산당은 무산계급의 정당이라는 원칙마저 부정되면서, 이제는 ‘전 인민과 민족의 대표’로 치환되기까지 하였다.
그러나 이 ‘대약진운동’은 크게 실패하게 되었고, 덩샤오핑, 류샤오치와 같은 실용파가 등장하게 되었다. 이들은 중국사회에 계급투쟁은 이제 존재하지 않고, 그렇기에 인민생활에 기여하기 위해 당이 복무해야 함을 주장하였고, 더불어 지식인/관료계층을 중용하고 자본주의적 성향을 더욱 자극시켜 경제성장을 추진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는 곧 충돌로 나타나게 되었는데, 대대적으로 문화혁명이 발발하기 시작한 것이었다.
마오는 중국사회에 만연하는 부르주아적 기풍을 쇄신하기 위해 중국공산당 내에 노선투쟁을 전개하게 되었다. 그는 자본주의의 길을 걷는 실용파에 대한 투쟁과 당의 변화를 추동하려 했다. 그는 거대하게 일어난 혁명대중들 -홍위병, 혁명적 대중, 군- 을 통해 당의 실용파를 제거했고, 당조직을 개편하고자 했다. 그러나, 이러한 혁명대중의 움직임은 마오로서도 겉잡을 수 없는 것이었다. 급기야 마오는 군의 개입을 통해 대중의 혁명적 열기를 정리했으며, 혁명위원회를 설치하여 당 기구의 복원을 천명하였다. 이로서 문화혁명은 실질적으로 종료되었던 것이다.
④ 문화혁명 이후 실용파(實用波)의 부상과 중국공산당의 변화
이후, 마오주의는 중국공산당의 지도이념으로 부상하게 된다. 그러나 문화혁명의 종료로 그 실천성은 사라지게 되었는데, 문혁 이후 중국공산당은 마오주의로의 교조화라는 편향을 겪게 된다. 이러한 상황에서 마오가 서거하자, 문화혁명기에 숙청되었던 실용파는 중국공산당을 장악하였다. 이전에 부르주아적 사상에 오염되어 있다고 비판된 지식인, 전문기술자 계층은 대거 복귀 하였고, 새로운 반좌파세력이 되었다. 이들은 문혁 이후의 경제침체를 빌미로 노선의 변경을 추진하게 된다.
이들은 중국사회에서 대규모의 계급투쟁은 종료된 것이라고 주장했고, 경제발전과 현대화, 인민생활의 개선의 당의 목표임을 천명하였다. 또한 이를 위해서 사상해방과 경제제도의 개편이 추진되었다. 이후 80년대에 들어서실용파는 는 문화혁명으로 파괴된 당의 제도, 기능을 복구하고, 사회주의 단계에서의 계급투쟁과 계속혁명이론을 전면적으로 부정한다. 이제는 경제발전과 사회주의의 현대화가 제 1의 목표가 된 것이다. 또한, 중국공산당은 무산계급의 정당이라는 원칙마저 부정되면서, 이제는 ‘전 인민과 민족의 대표’로 치환되기까지 하였다.
키워드
추천자료
중국의 세계무역기구 가입에 따른 한중 변화의 추이
직장내 성차별에 대한 인식의 변화
중국경제의 변화와 지역 경제협력 정책
중국 농촌 경제구조의 변화
중국의 정치적인 변화와 전망
중국 소수민족정책의 변화과정과 문제점
식민지시대 조선경제의 변화와 조선인 자본가의 중국침략 실상
동북아와 중국의 인권현황과 미국의 역할, 동북아 인권을 위한 지역공동체 마련방안
중국문화산업정책변화에 따른 한국문화산업의 진출에 관한 연구
중국 경제 60년 평가와 전망 : 변화와 지속성장 가능성
[공산주의] 중국의 공산주의 변화 과정, 마르크스,모택동의 사상, 중국의 공산주의 이념과 그...
논문요약-아편전쟁과문호개방에대한중국의역사교육과역사인식
일상적으로 경험하는 계절변화에 대해서 유아들이 관심을 가지고 파악해볼 수 있도록 우리나...
[가족상담및치료] 경험적 가족치료의 치료목표 과정과 치료자 역할에 대해 설명하고 경험적 ...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