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INTRODUCTION : 서론
Ⅱ. Conical Volume-Delay Function : 새로운 함수 제안
Ⅲ. Conclusion : 사례분석 및 결론
Ⅱ. Conical Volume-Delay Function : 새로운 함수 제안
Ⅲ. Conclusion : 사례분석 및 결론
본문내용
및 지방도 모두 BPR함수를 사용하는 전국권 함수식에서는 교통량 증가에 따른 속도변화가 큰 것으로 나타났고, Conical함수의 경우 교통량 변화에 따른 속도변화가 상대적으로 작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림 5] BPR함수와 Conical함수의 비교(국내 국도중심)
[그림 5] BPR함수와 Conical함수의 비교(국내 지방도중심)
이와 같은 결과는 전국권과 수도권의 도로특성이 상이하여 전국권의 경우 BPR함수가 적용되어 교통량증가에 따른 속도변화가 수도권보다 큰 것을 의미하고 수도권의 경우 교차로 지체분 등의 영향과 교통량이 많은 지역적 특성을 고려하여 Conical함수 형태가 적용되는 것이 옳다고 판단되었기 때문이다.
본 논문을 통해 국내에서도 적용할 때, 지역적 특성 또는 도로의 유형(연속류, 단속류)에 대한 유형별 연구가 필요한 것을 알 수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내용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고 판단된다.
교통량-지체함수의 분석을 통해 현재 도로분류체계의 문제점을 파악하고 도로여건, 교통특성에 맞도록 조정하는 것이 필요하며, 특히 간선도로와 같이 연속류, 단속류가 혼재되어 있는 경우 신호등 설치밀도(개/Km)를 중심으로 등급 분류 Link Performance Function 과제물 중 영국의 COBA사례 참조.
하여 유형화하는 연구가 필요하다 판단된다.
또한 유형별로 교통량 대 용량비에 따른 면밀한 검토를 토대로 안정화된 교통량-지체함수를 고안한다면 현재 통행배정모형의 문제점을 보안하고 모형의 정밀성을 향상시켜 보다 정확한 교통수요예측 결과를 도출할 수 있을 것이다.
[그림 5] BPR함수와 Conical함수의 비교(국내 국도중심)
[그림 5] BPR함수와 Conical함수의 비교(국내 지방도중심)
이와 같은 결과는 전국권과 수도권의 도로특성이 상이하여 전국권의 경우 BPR함수가 적용되어 교통량증가에 따른 속도변화가 수도권보다 큰 것을 의미하고 수도권의 경우 교차로 지체분 등의 영향과 교통량이 많은 지역적 특성을 고려하여 Conical함수 형태가 적용되는 것이 옳다고 판단되었기 때문이다.
본 논문을 통해 국내에서도 적용할 때, 지역적 특성 또는 도로의 유형(연속류, 단속류)에 대한 유형별 연구가 필요한 것을 알 수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내용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고 판단된다.
교통량-지체함수의 분석을 통해 현재 도로분류체계의 문제점을 파악하고 도로여건, 교통특성에 맞도록 조정하는 것이 필요하며, 특히 간선도로와 같이 연속류, 단속류가 혼재되어 있는 경우 신호등 설치밀도(개/Km)를 중심으로 등급 분류 Link Performance Function 과제물 중 영국의 COBA사례 참조.
하여 유형화하는 연구가 필요하다 판단된다.
또한 유형별로 교통량 대 용량비에 따른 면밀한 검토를 토대로 안정화된 교통량-지체함수를 고안한다면 현재 통행배정모형의 문제점을 보안하고 모형의 정밀성을 향상시켜 보다 정확한 교통수요예측 결과를 도출할 수 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