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 론
Ⅱ. 북한 전력현황
Ⅲ. 북한의 경제와 전력공급 추이
Ⅳ. 전력공급이 북한경제에 미치는 영향
Ⅴ. 결 론
Ⅱ. 북한 전력현황
Ⅲ. 북한의 경제와 전력공급 추이
Ⅳ. 전력공급이 북한경제에 미치는 영향
Ⅴ. 결 론
본문내용
탄을 이용. 종업원수 2만명. 평양시내 공장과 주택에 전력공급, 평양시내 중앙난방 공급
○ 웅기화력발전소
- 소재 : 함북 선봉
- 용량 : 20만㎾
- 연혁 : 구소련의 지원으로 1972년초에 착공하여 1974년 10만㎾ 급으로 조업을 개시함. 1977년 12월 10만㎾의 설비를 추가함
- 기타 : 북한 유일의 중유화력발전소. 연료는 승리화학공장에서 생산되는 중유를 이용. 승리화학공장에 소요되는 전력을 공급
○ 청천강화력발전소
- 소재 : 평남 안주
- 용량 : 20만㎾
- 연혁 : 중국의 기술지원으로 1970년 초반에 착공하여 1976년 12월에 1호 발전기, 1977년에 2-4호 발전기를 완공함
- 기타 : 개천지구의 무연탄 이용. 봉화화학 및 청년화화공장에 전력공급
○ 동평양화력발전소
- 소재 : 평양시 낙랑구역 토성동
- 용량 : 50만㎾
- 연혁 : 평양시내에 통일거리, 문수거리 등 주택에 크게 늘어남에 따라 평양화력발전소의 능력이 한계에 도달하게 되자 1992년 이 발전소를 완공함
- 기타 : 증기와 온수를 포함하여 평양지역에 공급
<부록 2>
연도
GNP
(억달러)
수출
(억달러)
발전량*
(억kwh)
발전량*
(억kwh)
전략소비
(천 TOE)
1965
1966
1967
1968
1969
1970
1971
1972
1973
1974
1975
1976
1977
1978
1979
1980
1981
1982
1983
1984
1985
1986
1987
1988
1989
1990
1991
1992
1993
1994
1995
1996
19
21
23
26
29
32
37
42
49
56
65
75
87
101
116
135
138
141
145
148
151
164
179
195
212
231
229
211
205
212
223
214
1.90
2.17
2.48
2.83
3.24
3.70
4.34
5.09
5.96
6.99
8.20
9.33
10.6
12.06
13.72
15.60
15.06
14.55
14.05
13.57
13.10
14.29
15.58
16.99
18.52
20.20
10.10
10.20
10.20
8.40
7.83
7.30
132
133
135
136
138
139
147
155
164
173
183
188
194
199
205
211
219
227
235
243
252
257
262
267
272
277
263
247
221
231
222
213
151
154
156
159
162
165
169
184
200
217
236
257
279
304
330
350
373
397
423
450
480
500
502
530
535
535
512
490
469
449
430
422
822
859
899
940
983
1,028
1,075
1,124
1,176
1,230
1,286
1,327
1,369
1,413
1,458
1,505
1,568
1,634
1,703
1,774
1,849
1,917
1,987
2,060
2,135
2,026
1,923
1,806
1,616
1,638
1,553
1,473
주 : * 통계청 발표자료, ** UN 발표자료
<부록 3>
(1) GNP - 발전량(UN 자료)
GNP = &-0.211 + &1.403 GNP_t-1 - &0.457 GNP_t-2 + &0.444 ELC_t-1 -&0.398 ELC_t-2 #
&(0.674) &(0.182) &(0.177) &(0.202) &(0.199)
R2 = 0.998 D.W = 1.599
ELC = &0.739 + &0.029 GNP_t-1 &+ 0.012 GNP_t-2 + &1.776 ELC_t-1 - &0.865 ELC_t-2#
&(0.351) &(0.090) &(0.092) &(0.105) &(0.104)
R2 = 0.998 D.W = 2.518
S = pmatrix{0.0345 &0.0000 # -0.0002 &0.0180}
(2) GNP - 전력소비(UN 자료)
GNP = &-0.354 + &1.476 GNP_t-1 - &0.527 GNP_t-2 + &0.338 ELC_t-1 -&0.254 ELC_t-2 #
&(0.652) &(0.163) &(0.158) &(0.232) &(0.274)
R2 = 0.998 D.W = 1.615
ELC = &0.120 + &0.059 GNP_t-1 &- 0.070 GNP_t-2 + &1.539 ELC_t-1 - &0.549 ELC_t-2#
&(0.512) &(0.128) &(0.124) &(0.182) &(0.215)
R2 = 0.987 D.W = 2.301
S = pmatrix{0.0356 &0.0000 # 0.0047 &0.0275}
(3) 수출 - 발전량(UN 자료)
EXP = &-1.750 + &0.628 EXP_t-1 + &0.082 EXP_t-2 + &2.992 ELC_t-1 -&2.768 ELC_t-2 #
&(2.200) &(0.219) &(0.200) &(1.277) &(1.078)
R2 = 0.954 D.W = 2.245
ELC = &0.701 + &0.017 EXP_t-1 &+ 0.021 EXP_t-2 + &1.586 ELC_t-1 - &0.660 ELC_t-2#
&(0.326) &(0.032) &(0.030) &(0.189) &(0.160)
R2 = 0.998 D.W = 2.163
S = pmatrix{0.1222 &0.0000 # 0.0078 &0.0163}
(4) 수출 - 전력소비(UN 자료)
EXP = &-0.403 + &0.799 EXP_t-1 + &0.079 EXP_t-2 + &2.547 ELC_t-1 -&2.546 ELC_t-2 #
&(1.920) &(0.173) &(0.186) &(0.823) &(0.676)
R2 = 0.959 D.W = 1.869
ELC = &1.003 + &0.060 EXP_t-1 &- 0.013 EXP_t-2 + &1.357 ELC_t-1 - &0.508 ELC_t-2#
&(0.426) &(0.038) &(0.041) &(0.150) &(0.150)
R2 = 0.989 D.W = 2.305
S = pmatrix{0.1155 &0.0000 # 0.0013 &0.0256}
○ 웅기화력발전소
- 소재 : 함북 선봉
- 용량 : 20만㎾
- 연혁 : 구소련의 지원으로 1972년초에 착공하여 1974년 10만㎾ 급으로 조업을 개시함. 1977년 12월 10만㎾의 설비를 추가함
- 기타 : 북한 유일의 중유화력발전소. 연료는 승리화학공장에서 생산되는 중유를 이용. 승리화학공장에 소요되는 전력을 공급
○ 청천강화력발전소
- 소재 : 평남 안주
- 용량 : 20만㎾
- 연혁 : 중국의 기술지원으로 1970년 초반에 착공하여 1976년 12월에 1호 발전기, 1977년에 2-4호 발전기를 완공함
- 기타 : 개천지구의 무연탄 이용. 봉화화학 및 청년화화공장에 전력공급
○ 동평양화력발전소
- 소재 : 평양시 낙랑구역 토성동
- 용량 : 50만㎾
- 연혁 : 평양시내에 통일거리, 문수거리 등 주택에 크게 늘어남에 따라 평양화력발전소의 능력이 한계에 도달하게 되자 1992년 이 발전소를 완공함
- 기타 : 증기와 온수를 포함하여 평양지역에 공급
<부록 2>
연도
GNP
(억달러)
수출
(억달러)
발전량*
(억kwh)
발전량*
(억kwh)
전략소비
(천 TOE)
1965
1966
1967
1968
1969
1970
1971
1972
1973
1974
1975
1976
1977
1978
1979
1980
1981
1982
1983
1984
1985
1986
1987
1988
1989
1990
1991
1992
1993
1994
1995
1996
19
21
23
26
29
32
37
42
49
56
65
75
87
101
116
135
138
141
145
148
151
164
179
195
212
231
229
211
205
212
223
214
1.90
2.17
2.48
2.83
3.24
3.70
4.34
5.09
5.96
6.99
8.20
9.33
10.6
12.06
13.72
15.60
15.06
14.55
14.05
13.57
13.10
14.29
15.58
16.99
18.52
20.20
10.10
10.20
10.20
8.40
7.83
7.30
132
133
135
136
138
139
147
155
164
173
183
188
194
199
205
211
219
227
235
243
252
257
262
267
272
277
263
247
221
231
222
213
151
154
156
159
162
165
169
184
200
217
236
257
279
304
330
350
373
397
423
450
480
500
502
530
535
535
512
490
469
449
430
422
822
859
899
940
983
1,028
1,075
1,124
1,176
1,230
1,286
1,327
1,369
1,413
1,458
1,505
1,568
1,634
1,703
1,774
1,849
1,917
1,987
2,060
2,135
2,026
1,923
1,806
1,616
1,638
1,553
1,473
주 : * 통계청 발표자료, ** UN 발표자료
<부록 3>
(1) GNP - 발전량(UN 자료)
GNP = &-0.211 + &1.403 GNP_t-1 - &0.457 GNP_t-2 + &0.444 ELC_t-1 -&0.398 ELC_t-2 #
&(0.674) &(0.182) &(0.177) &(0.202) &(0.199)
R2 = 0.998 D.W = 1.599
ELC = &0.739 + &0.029 GNP_t-1 &+ 0.012 GNP_t-2 + &1.776 ELC_t-1 - &0.865 ELC_t-2#
&(0.351) &(0.090) &(0.092) &(0.105) &(0.104)
R2 = 0.998 D.W = 2.518
S = pmatrix{0.0345 &0.0000 # -0.0002 &0.0180}
(2) GNP - 전력소비(UN 자료)
GNP = &-0.354 + &1.476 GNP_t-1 - &0.527 GNP_t-2 + &0.338 ELC_t-1 -&0.254 ELC_t-2 #
&(0.652) &(0.163) &(0.158) &(0.232) &(0.274)
R2 = 0.998 D.W = 1.615
ELC = &0.120 + &0.059 GNP_t-1 &- 0.070 GNP_t-2 + &1.539 ELC_t-1 - &0.549 ELC_t-2#
&(0.512) &(0.128) &(0.124) &(0.182) &(0.215)
R2 = 0.987 D.W = 2.301
S = pmatrix{0.0356 &0.0000 # 0.0047 &0.0275}
(3) 수출 - 발전량(UN 자료)
EXP = &-1.750 + &0.628 EXP_t-1 + &0.082 EXP_t-2 + &2.992 ELC_t-1 -&2.768 ELC_t-2 #
&(2.200) &(0.219) &(0.200) &(1.277) &(1.078)
R2 = 0.954 D.W = 2.245
ELC = &0.701 + &0.017 EXP_t-1 &+ 0.021 EXP_t-2 + &1.586 ELC_t-1 - &0.660 ELC_t-2#
&(0.326) &(0.032) &(0.030) &(0.189) &(0.160)
R2 = 0.998 D.W = 2.163
S = pmatrix{0.1222 &0.0000 # 0.0078 &0.0163}
(4) 수출 - 전력소비(UN 자료)
EXP = &-0.403 + &0.799 EXP_t-1 + &0.079 EXP_t-2 + &2.547 ELC_t-1 -&2.546 ELC_t-2 #
&(1.920) &(0.173) &(0.186) &(0.823) &(0.676)
R2 = 0.959 D.W = 1.869
ELC = &1.003 + &0.060 EXP_t-1 &- 0.013 EXP_t-2 + &1.357 ELC_t-1 - &0.508 ELC_t-2#
&(0.426) &(0.038) &(0.041) &(0.150) &(0.150)
R2 = 0.989 D.W = 2.305
S = pmatrix{0.1155 &0.0000 # 0.0013 &0.0256}
키워드
추천자료
북한의 경제
북한의 경제현황과 해결방안
북한의 경제 개혁과 전망
북한의 경제체제 문제점
북한의 대외경제(북일 경제 관계)
북한의 경제문제와 남북경제협력
중국, 베트남 경제개방 모형 분석을 통한 북한 경제개방 모델 탐색
북한의 경제회복과 6자회담이후 국제사회의 역할에 관한 연구
북한 경제특구 정책의 개선방안에 대한 연구
북한의 경제특구와 대외무역 정책 - 시대별 북한의 대외무역 정책의 변화와 대응방안 모색
북한의 7.1경제관리개선조치
해방 이후 북한 경제의 고도성장과 1980년 이후 심각한 경제난을 겪기 시작한 이유
[북한학] 북한의 경제체제
북한 경제의 현황과 과제.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