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버스서비스계획과정
가. 단기버스 서비스계획 과정
나. 단기적 개선대안의 진단
다. 개선대안 필요성의 원인이 되는 요소
라. 판단지표
2. 버스운영 계획과정
가. 버스노선 조정계획 과정
나. 버스노선의 문제점
다. 버스노선 조정시 평가지표(고려사항)
가. 단기버스 서비스계획 과정
나. 단기적 개선대안의 진단
다. 개선대안 필요성의 원인이 되는 요소
라. 판단지표
2. 버스운영 계획과정
가. 버스노선 조정계획 과정
나. 버스노선의 문제점
다. 버스노선 조정시 평가지표(고려사항)
본문내용
억 700만원
266억 6,000만원
132억 4,000만원
체불업체수
79개업체
13개업체
60개업체
76개업체
지급업체수
7개업체
73개업체
26개업체
10개업체
자료 : 황치영, 「서울시내버스의 경영서비스실태분석」,『도시연구』,대한지방행정공제회,1999. 5
마을버스 운행특성 및 노선관리체계에 관한 연구 , 국토도시계획학회, 2002.12
다. 버스노선 조정시 평가지표(고려사항)
- 버스노선 평가지표의 유형
평가지표란 일정한 방향이나 목표를 가지고 어떤 현상이나 사물을 측정하 수 있게 해주는 수단으로 통계적인 수치로 표시되는 것이 일반화되어 있다 이런 평가지표는 크게 효율성지표(Efficiency Indicator)와 효과성 평가지표(Effectiveness Indicator)를 통해 판단 가능하다. 전자는 버스운송업체가 가용할 수 있는 노동력과 자본을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지표를 의미하고, 후자는 버스이용자, 지역의 편의를 위해 설정된 목표를 달성할 수 있는 지표를 의미한다.
즉, 효율성은 통행 서비스를 공급하기 위해서 시스템이 얼마나 자원을 잘 활용하는 가에 대한 측정이다. 효과성은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산출물(Output)의 이용으로 규정될 수 있으며, 혹은 서비스를 통해 받는 대중의 실제적인 이익일 수도 있다.
[그림] 버스평가 기준의 기존개념과 상호관계 자료 : G.A Giannopoulos, Bus Planning and Operation in Urban Areas : A Practical Guide, Avebury, 1989, p87~93, p333~356.
시내버스 운송사업 조정의 기준 및 방법, 황상규, 박병적, 교통개발연구원, 2001, p48 참조.
따라서 합리적인 버스노선 체계란 이들 두 가지 기준을 모두 극대화 할 수 있는 노선 체계를 의미하며 각각의 버스노선은 가능한 한 효율성과 효과성을 크게 할 수 있도록 설정되어야 한다. 이런 연유로 버스노선에 대한 효율성과 효과성을 평가하기 위한 평가척도와 평가지표들은 다양하며, 평가척도는 하나 이상의 평가지표를 가지게 된다. 예를 들어, 승객통행당 비용, 승객통행당 수입 및 수입회수비율은 비용 효과성(Cost-Effectiveness)을 나타내는 지표라 할 수 있다.
평가척도
평가지표
비용 효율성
Km당 비용, 시간당 비용, 차량당 비용, 수입회수비율
비용 효과성
승객통행 비용, 승객통행당 수입, 수입회수비율
서비스 유용성/효과성
Km당 승객수, 시간당 승객수, 일인당 승객통행
차량 유용성/효율성
차량한대당 Km
서비스의 질
평균속력, 차량-Km
노동 생산력
승객수/고용인, 차량-Km/고용인
접근성
서비스제공 인구비율, 차량-Km/서비스지역면적
자료 : Dave N. Garter and Timothy J. Lomax,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Performance Measures for Rural Public Transportation Operator, TRR 1338
자료 : 시내버스 운송사업 조정의 기준 및 방법, 황상규, 박병적, 교통개발연구원, 2001.
- 이해관계자별 평가지표
도시내의 버스노선을 펴가할 때는 사용되는 지표는 하나의 개별 평가지표가 특정한 측면에만 국한되는 것이 아니라 다른 측면 또는 다른 관련주체에 깊이 연관되어 있는 지표도 많으며, 여러 측면을 동시에 볼 수 있는 지표도 많다. 또한 개별노선에 대한 평가지표와 노선전체를 포함하는 노선망에 대한 평가지표로 지표의 적용 범위에 따라 분류되어질 수도 있다.
버스교통에 대한 기존의 평가지표를 관련주체 즉, 이용자측면, 도시교통정책 측면, 버스업체 측면 등으로 나누어 분류할 수 있다.
[이용자 측면의 평가지표]
이용자측면의 평가 항목에는 버스서비스의 경제성, 편리성, 쾌적성, 신뢰성, 안전성, 신속성 등이 있고, 평가 항목을 산출하기 위한 평가지표의 개략적 측정 방법은 다음과 같다.
평가척도
평가지표
경제성
요금, 할인요금, 요금징수방법, 환승률 등
편리성
배차간격, 접근성(정류장 간격, 정류장 이용 노선수 등)
쾌적성
차내서비스 수준(평균재차인원/좌석수)
신뢰성
정시도착 여부, 정류장 무단통과 여부 등
안전성
버스 사상자(버스사상자/버스-Km, 버스사상자/승객-Km) 등
자료 : 시내버스 운송사업 조정의 기준 및 방법, 황상규, 박병적, 교통개발연구원, 2001.
[도시정책 측면의 평가지표]
도시교통정책 측면의 평가지표는 이용자 측면과 버스업체 측면이 동시에 고려되어 설명되어져야 하는 지표이다. 즉, 이용자는 노선이 최단거리로 목적지까지 연결되며, 쾌적한 상태로 이용하기를 바라나, 버스업체는 최단운행거리에 최대승객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이러한 대립적인 요구 조건에서 이와 동시에 운영상의 수익성이 보장되도록 해야 하므로 도시교통정책 측면의 평가지표는 이용자 측면과 버스업체 측면의 지표들에서 나타내지 못하는 부문에 대한 설명이 가능해야 한다.
이런 관접에서 도시교통정책 측면 평가지표들은 시 또는 노선망 전체 측면에서 보는 것으로 주로 접근성과 관련된 지표들로 구성되며, 이외 굴곡도나 중복성, 도시교통혼잡 완화, 공해정감 등으로 분류할 수 있다.
평가항목
평가지표
효율석 노선망 구축
(교통혼잡 완화)
접근성, 노선중복성, 굴곡도 등
공해절감
에너지 소비량/버스
[버스업체 측면의 평가지표]
버스업체 측면의 평가지표는 버스운영이 공영인 경우와 민영인 경우에 따라서 달라질 수 있으나, 국대 대부분의 도시에서 민영으로 운영되기 때문에 버스업체 측면의 평가지표로는 주로 경영에 관련된 것으로 운행비용, 운행수입이 대표적인 평가지표라 할 수 있다.
평가항목
산출식
운행정시성
평균운행시간
평균운행속도
1인당 통행시간의 평균
총운행시간 / 총운행거리
운행비용
총운행거리
최소필요 버스대수
노선거리 ×노선운행횟수
운행시간/피크시 배차간격
수입
총승차횟수 / 총운행수입
환승포함한 승차횟수
평균요금 ×승객수
운행효율
운행 Km당 승객수
차량당 평균승객수
승차밀도
총수송안-Km/총운행거리
차량당 탑승 승객수의 평균
총수송인-Km(총운행거리×용량(승차정원)
서비스 제공
서비스 인구율
버스정류장권애 인구/도시인구
266억 6,000만원
132억 4,000만원
체불업체수
79개업체
13개업체
60개업체
76개업체
지급업체수
7개업체
73개업체
26개업체
10개업체
자료 : 황치영, 「서울시내버스의 경영서비스실태분석」,『도시연구』,대한지방행정공제회,1999. 5
마을버스 운행특성 및 노선관리체계에 관한 연구 , 국토도시계획학회, 2002.12
다. 버스노선 조정시 평가지표(고려사항)
- 버스노선 평가지표의 유형
평가지표란 일정한 방향이나 목표를 가지고 어떤 현상이나 사물을 측정하 수 있게 해주는 수단으로 통계적인 수치로 표시되는 것이 일반화되어 있다 이런 평가지표는 크게 효율성지표(Efficiency Indicator)와 효과성 평가지표(Effectiveness Indicator)를 통해 판단 가능하다. 전자는 버스운송업체가 가용할 수 있는 노동력과 자본을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지표를 의미하고, 후자는 버스이용자, 지역의 편의를 위해 설정된 목표를 달성할 수 있는 지표를 의미한다.
즉, 효율성은 통행 서비스를 공급하기 위해서 시스템이 얼마나 자원을 잘 활용하는 가에 대한 측정이다. 효과성은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산출물(Output)의 이용으로 규정될 수 있으며, 혹은 서비스를 통해 받는 대중의 실제적인 이익일 수도 있다.
[그림] 버스평가 기준의 기존개념과 상호관계 자료 : G.A Giannopoulos, Bus Planning and Operation in Urban Areas : A Practical Guide, Avebury, 1989, p87~93, p333~356.
시내버스 운송사업 조정의 기준 및 방법, 황상규, 박병적, 교통개발연구원, 2001, p48 참조.
따라서 합리적인 버스노선 체계란 이들 두 가지 기준을 모두 극대화 할 수 있는 노선 체계를 의미하며 각각의 버스노선은 가능한 한 효율성과 효과성을 크게 할 수 있도록 설정되어야 한다. 이런 연유로 버스노선에 대한 효율성과 효과성을 평가하기 위한 평가척도와 평가지표들은 다양하며, 평가척도는 하나 이상의 평가지표를 가지게 된다. 예를 들어, 승객통행당 비용, 승객통행당 수입 및 수입회수비율은 비용 효과성(Cost-Effectiveness)을 나타내는 지표라 할 수 있다.
평가척도
평가지표
비용 효율성
Km당 비용, 시간당 비용, 차량당 비용, 수입회수비율
비용 효과성
승객통행 비용, 승객통행당 수입, 수입회수비율
서비스 유용성/효과성
Km당 승객수, 시간당 승객수, 일인당 승객통행
차량 유용성/효율성
차량한대당 Km
서비스의 질
평균속력, 차량-Km
노동 생산력
승객수/고용인, 차량-Km/고용인
접근성
서비스제공 인구비율, 차량-Km/서비스지역면적
자료 : Dave N. Garter and Timothy J. Lomax,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Performance Measures for Rural Public Transportation Operator, TRR 1338
자료 : 시내버스 운송사업 조정의 기준 및 방법, 황상규, 박병적, 교통개발연구원, 2001.
- 이해관계자별 평가지표
도시내의 버스노선을 펴가할 때는 사용되는 지표는 하나의 개별 평가지표가 특정한 측면에만 국한되는 것이 아니라 다른 측면 또는 다른 관련주체에 깊이 연관되어 있는 지표도 많으며, 여러 측면을 동시에 볼 수 있는 지표도 많다. 또한 개별노선에 대한 평가지표와 노선전체를 포함하는 노선망에 대한 평가지표로 지표의 적용 범위에 따라 분류되어질 수도 있다.
버스교통에 대한 기존의 평가지표를 관련주체 즉, 이용자측면, 도시교통정책 측면, 버스업체 측면 등으로 나누어 분류할 수 있다.
[이용자 측면의 평가지표]
이용자측면의 평가 항목에는 버스서비스의 경제성, 편리성, 쾌적성, 신뢰성, 안전성, 신속성 등이 있고, 평가 항목을 산출하기 위한 평가지표의 개략적 측정 방법은 다음과 같다.
평가척도
평가지표
경제성
요금, 할인요금, 요금징수방법, 환승률 등
편리성
배차간격, 접근성(정류장 간격, 정류장 이용 노선수 등)
쾌적성
차내서비스 수준(평균재차인원/좌석수)
신뢰성
정시도착 여부, 정류장 무단통과 여부 등
안전성
버스 사상자(버스사상자/버스-Km, 버스사상자/승객-Km) 등
자료 : 시내버스 운송사업 조정의 기준 및 방법, 황상규, 박병적, 교통개발연구원, 2001.
[도시정책 측면의 평가지표]
도시교통정책 측면의 평가지표는 이용자 측면과 버스업체 측면이 동시에 고려되어 설명되어져야 하는 지표이다. 즉, 이용자는 노선이 최단거리로 목적지까지 연결되며, 쾌적한 상태로 이용하기를 바라나, 버스업체는 최단운행거리에 최대승객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이러한 대립적인 요구 조건에서 이와 동시에 운영상의 수익성이 보장되도록 해야 하므로 도시교통정책 측면의 평가지표는 이용자 측면과 버스업체 측면의 지표들에서 나타내지 못하는 부문에 대한 설명이 가능해야 한다.
이런 관접에서 도시교통정책 측면 평가지표들은 시 또는 노선망 전체 측면에서 보는 것으로 주로 접근성과 관련된 지표들로 구성되며, 이외 굴곡도나 중복성, 도시교통혼잡 완화, 공해정감 등으로 분류할 수 있다.
평가항목
평가지표
효율석 노선망 구축
(교통혼잡 완화)
접근성, 노선중복성, 굴곡도 등
공해절감
에너지 소비량/버스
[버스업체 측면의 평가지표]
버스업체 측면의 평가지표는 버스운영이 공영인 경우와 민영인 경우에 따라서 달라질 수 있으나, 국대 대부분의 도시에서 민영으로 운영되기 때문에 버스업체 측면의 평가지표로는 주로 경영에 관련된 것으로 운행비용, 운행수입이 대표적인 평가지표라 할 수 있다.
평가항목
산출식
운행정시성
평균운행시간
평균운행속도
1인당 통행시간의 평균
총운행시간 / 총운행거리
운행비용
총운행거리
최소필요 버스대수
노선거리 ×노선운행횟수
운행시간/피크시 배차간격
수입
총승차횟수 / 총운행수입
환승포함한 승차횟수
평균요금 ×승객수
운행효율
운행 Km당 승객수
차량당 평균승객수
승차밀도
총수송안-Km/총운행거리
차량당 탑승 승객수의 평균
총수송인-Km(총운행거리×용량(승차정원)
서비스 제공
서비스 인구율
버스정류장권애 인구/도시인구
추천자료
꾸리찌바와 서울시의 정책 비교
기관분석보고서(종합사회복지관)
장애인문제의 해결을 위한 자원봉사 활용방안
친환경건축-포스트타워
유비쿼터스 주택
LG 텔레콤 오즈(OZ)의 마케팅 전략과 방안
관광과IT의융합
63,63,컴팩트시티,compact city,압축도시,컴팩트시티적지,3500,컴팩트 시티(compact city)의 ...
LG U+, LG 텔레콤 마케팅, 성공사례, 요인, 시장환경 분석, 경영전략, 변화, 4P분석, 특징, ...
방문 간호사례 연구 <지역사회 간호사정>
모바일 콘텐츠의 재구매 의도에 미치는 요인에 대한 분석
LG Telecom
Door Desk 업무 Hotel Manag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