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류관리 박스포장개선레포트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물류관리 박스포장개선레포트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현실태

2. 문제점 (brain stoming)

3. 개선안 (rayout)

4. 평가

본문내용

10. 같은 동작을 많이 반복한다.
11. 테이블 끝 높이가 29인치이고 받침틀 앞부분의 높이가 31인치이므로 롤을 옮길시 굴려 도 되는 작업을 힘든 노동을 들여서 옮겨지고 있다.
12. 롤들을 선별해 작업틀에 올려 놓는 시간이 너무 걸린다.
13. 거치대 바퀴가 잘 굴러가지 않는다.
14. 컨베이어 높이 문제
개선안 (RAYOUT)
Packing Flow Diagram
RFID란
RFID(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기술이란 전파를 이용해 먼 거리에서 정보를 인식하는 기술을 말한다. 여기에는 RFID 태그(이하 태그)와, RFID 판독기(이하 판독기)가 필요하다. 태그는 안테나와 집적 회로로 이루어지는데, 집적 회로 안에 정보를 기록하고 안테나를 통해 판독기에게 정보를 송신한다. 이 정보는 태그가 부착된 대상을 식별하는 데 이용된다. 쉽게 말해, 바코드와 비슷한 기능을 하는 것이다. RFID가 바코드 시스템과 다른 점은 빛을 이용해 판독하는 대신 전파를 이용한다는 것이다. 따라서 바코드 판독기처럼 짧은 거리에서만 작동하지 않고 먼 거리에서도 태그를 읽을 수 있으며, 심지어 사이에 있는 물체를 통과해서 정보를 수신할 수도 있다.
RFID는 사용하는 동력으로 분류할 수 있다. 오직 판독기의 동력만으로 칩의 정보를 읽고 통신하는 RFID를 수동형(Passive) RFID라 한다. 반수동형(Semi-passive) RFID란 태그에 건전지가 내장되어 있어 칩의 정보를 읽는 데는 그 동력을 사용하고, 통신에는 판독기의 동력을 사용하는 것을 말한다. 마지막으로 능동형(Active) RFID는 칩의 정보를 읽고 그 정보를 통신하는 데 모두 태그의 동력을 사용한다.
RFID를 동력 대신 통신에 사용하는 전파의 주파수로 구분하기도 한다. 낮은 주파수를 이용하는 RFID를 LFID(Low-Frequency IDentification)이라 하는데, 120~140 킬로헤르츠(khz)의 전파를 쓴다. HFID(High-Frequency IDentification)는 13.56 메가헤르츠(Mhz)를 사용하며, 그보다 한층 높은 주파수를 이용하는 장비인 UHFID(UltraHigh-Frequency IDentification)는 868 ~ 956 메가헤르츠 대역의 전파를 이용한다.
전체적인 측면에서의 RAYOUT
그림에서 보이는 것과 같이 winding 테이블를 없애고 컨베이어로 연결했고 거기에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시스템을 도입해서 기록시간을 단축하면서 노동력을 줄이는 방안을 채택하였다. 첨에 앞에 생산자들은 Tag를 붙여서 두루마리의 정보를 인식함에 따라 자동으로 폭에 따른 분류가 되어서 포장작업자와 생산자가 서로 이득을 볼 수 있었고, 포장작업자들이 기록하는 시간이 많았는데 그 시간을 단축하는데 이바지 하였다. 그에 따라 전체적으로 작업의 자동화로 인해 포장작업자의 무리한 노동력이 줄고, 이동거리 및 유휴시간을 줄여 효율적인 작업을 할 수 있게 하여 보다 빠르고 높은 생산을 할 수 있게 되었다. 또, 받침틀 또한 바퀴가 쉽게 안 굴러 가거나 테이블의 높이가 비효율적이여서 무거운 두루마리롤을 들었다가 났다가 하는 수동작을 없애면서 힘든 노동을 적게 하여 노동자의 불만을 최소화 하였다.
작업장이 전체적으로 어두웠는데 이번 RFID시스템을 도입하면서 조명을 추가하여 활기찬 작업장으로 연출하는데 노력을 했고, 작업자들이 약간이나마 더 효율적인 생산을 위해 쉬는시간에 쉴 수 있는 공간을 배려해서 경영자와 노동자의 돈독한 유지관계에 좀 더 힘썼다.
노동자의 시점 / 경영자의 시점
- 노동자의 시점
노동자들은 전체적으로 작업장이 밝아지면서 노동자들끼리뿐만 아니라 경영자와도 분위기가 좋아진걸 만족한다고 한다. 또 자동화가 되면서 생산량이 들어 능력임금제를 받는 노동자 입장에서 만족하고 있다. 그 전엔 힘든 노동이 되어 힘든 일이였지만 바뀌면서 잦은 힘을 쓰는 노동이 줄고, 쉬는시간에 쉴 수 있는 공간이 있어서 너무나 만족한다고 한다.
- 경영자의 시점
경영자들은 작업장 개선을 통해 노동자와 돈독한 관계를 생성해서 만족한다고 한다. 거기에 노동자들의 생산량까지 많이 올라서 전체적인 수익이 좋아졌다. 또 자동화에 따라 잔 작업이 없어서 자주 노동자가 바뀌어도 인수인계가 빨라서 유연성이 높아져 생산량의 유동이 적어졌다고 한다.
평가
위에 작업장에서의 가장 큰 문제점은 롤의 폭이 일정하지 않다는 것이었다.
공장관리인이 포장작업자와 두루마리 생산자에게 롤의 폭 제한을 결정할 수 있게 하였지만
이 시도는 성공적이지 못했다. 그 이유는 롤 폭의 최대치를 결정하는데 있어서 생산자와 포장작업자간의 갈등이 있었기 때문이다.
이 작업장에서는 두가지 종류의 폭으로 된 롤이 나오는데 이런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서
롤 생산자들은 두가지 종류의 폭으로 된 롤을 흘려보내고 포장작업자들은 롤의 폭이 나뉘어져 나오게 되는 시스템을 구축하게 되었다.
생산자가 흘려보낸 롤들은 중앙컨베이어에서 모이게 되고 작업자에게 가는 마지막 컨베이어에 RFID를 설치하여 폭이 같은 롤끼리 나오게 컨베이어를 레이아웃 했다.
이로써 작업자는 롤의 폭을 고르는 작업을 하지 않아도 되고 더불어 포장작업시간도 줄어들게 되었다. 또한 컨베이어를 생산자부터 작업자까지 설치하여 작업자의 이동시간을 없애고 작업시간의 25%를 생산자로부터 생산물이 나오기까지 기다려야했지만 지금의 작업장에서는
생산물이 나오는 테이블을 3개에서 5개에서 늘림으로서 작업의 효율성을 더 했다.
작업요소
상자당 작업시간
1.작업틀을 winder 테이블로 이동
2.롤들을 선별해 작업틀에 올려 놓는다.
3.작업틀을 포장 장소로 이동
4.상자를 만든다.
5.상자를 봉한다.
6.서류작업
7.잡다한 작업
0.065
0.650
0.120
0.340
0.750
0.400
0.350
표에서 보는바와 같이 1,2,3 항목의 시간이 없어지거나 단축되면서 포장을 시작하고 마무리 짓는 시간이 단축되었고 그 시간에 생산물은 기존 3곳에서 5곳으로 늘어났으므로 작업자가 이전에 버렸던 25%의 시간을 되찾고 작업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었다.

키워드

  • 가격2,000
  • 페이지수10페이지
  • 등록일2012.03.03
  • 저작시기2011.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73170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