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목적
2. 이론
(1) 트랜지스터의 전류증폭도
(2) 트랜지스터의 입력저항
(3) 트랜지스터의 전압증폭도
(4) 트랜지스터의 출력저항
(5) 증폭기의 전류증폭도
(6) 증폭기의 입력저항
(7) 전압기의 전압증폭도
(8) 증폭기의 출력저항
2. 이론
(1) 트랜지스터의 전류증폭도
(2) 트랜지스터의 입력저항
(3) 트랜지스터의 전압증폭도
(4) 트랜지스터의 출력저항
(5) 증폭기의 전류증폭도
(6) 증폭기의 입력저항
(7) 전압기의 전압증폭도
(8) 증폭기의 출력저항
본문내용
) 트랜지스터의 입력저항 ;
등가회로의 입력측으로부터
를 얻고, 또 윗식들에서
를 얻으므로, 이 두식으로부터 입력저항 는
이 된다.
(3) 트랜지스터의 전압증폭도 ;
윗식에서
을 얻고, 이 식과 식 5를 이용하면, 전압증폭도는 다음과같이 된다.
(4)트랜지스터의 출력저항 ;
등가회로의 입력측에 을 적용하면
을 얻고, 이 식과 두번째 식으로부터 를 소거하면 출력저항 는
이 된다.
위의 식은 트랜지스터를 중심으로 한 부분적인 입출력저항과 증폭도이며, 증폭기전체에 대한 경우는 그림 1(b)에서 을 연결함으로써 구해낼 수 있다.
(5) 증폭기의 전류증폭도 ;
입력측의 전류 (트랜지스터)로 나뉘어 흐르고, 출력측의 전류 가 되므로, 증폭기의 전류증폭도 는
가 된다.
(6) 증폭기의 입력저항 ;
그림 2로부터 증폭기의 입력저항 의 병렬합성임을 알 수 있다. 즉,
(7) 전압기의 전압증폭도 ;
이라하면, 증폭기의 전압증폭도 는 트랜지스터의 전압증폭도 로 바꿔서 얻은 것임을 알 수 있다. 즉,
(8) 증폭기의 출력저항 ;
그림 2로부터 증폭기의 출력저항 의 병렬합성임을 알 수 있다. 즉,
또 전력증폭도 는
으로 주어진다.
(a)common emitter circuit
등가회로의 입력측으로부터
를 얻고, 또 윗식들에서
를 얻으므로, 이 두식으로부터 입력저항 는
이 된다.
(3) 트랜지스터의 전압증폭도 ;
윗식에서
을 얻고, 이 식과 식 5를 이용하면, 전압증폭도는 다음과같이 된다.
(4)트랜지스터의 출력저항 ;
등가회로의 입력측에 을 적용하면
을 얻고, 이 식과 두번째 식으로부터 를 소거하면 출력저항 는
이 된다.
위의 식은 트랜지스터를 중심으로 한 부분적인 입출력저항과 증폭도이며, 증폭기전체에 대한 경우는 그림 1(b)에서 을 연결함으로써 구해낼 수 있다.
(5) 증폭기의 전류증폭도 ;
입력측의 전류 (트랜지스터)로 나뉘어 흐르고, 출력측의 전류 가 되므로, 증폭기의 전류증폭도 는
가 된다.
(6) 증폭기의 입력저항 ;
그림 2로부터 증폭기의 입력저항 의 병렬합성임을 알 수 있다. 즉,
(7) 전압기의 전압증폭도 ;
이라하면, 증폭기의 전압증폭도 는 트랜지스터의 전압증폭도 로 바꿔서 얻은 것임을 알 수 있다. 즉,
(8) 증폭기의 출력저항 ;
그림 2로부터 증폭기의 출력저항 의 병렬합성임을 알 수 있다. 즉,
또 전력증폭도 는
으로 주어진다.
(a)common emitter circui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