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칫솔(toothbrush)
1.칫솔이란?
2.칫솔의 구비조건
3.칫솔의 분류
(1)용도에 따른 분류
(2)칫솔질 동력에 따른 분류
(3)강모강도에 따른 분류
(4)강모다발열수에 따른 분류
(5)강모단면모양에 따른 분류
(6)강모재질에 따른 분류
4.칫솔의 선택기준
5.칫솔의 보관방법
6.칫솔의 형태
Ⅱ.세치제(dentifreces)
1.세치제란?
2.세치제의 분류
(1)물리적 성상에 따른 분류
①고체세치제
②분말세치제
③교질세치제
④크림세치제
⑤액상세치제
(2)용도에 따른 분류
(3)마모도에 따른 분류
①비교치아마모도 100이상
3.세치제의 성분
(1)세마제(abrasive agent)
(2)세정제(detergents)
(3)습윤제(humectant)
(4)기타성분
(5)불소
(6)상아질지각과민치료제
4.대상자별 세치제의 선정법
1.칫솔이란?
2.칫솔의 구비조건
3.칫솔의 분류
(1)용도에 따른 분류
(2)칫솔질 동력에 따른 분류
(3)강모강도에 따른 분류
(4)강모다발열수에 따른 분류
(5)강모단면모양에 따른 분류
(6)강모재질에 따른 분류
4.칫솔의 선택기준
5.칫솔의 보관방법
6.칫솔의 형태
Ⅱ.세치제(dentifreces)
1.세치제란?
2.세치제의 분류
(1)물리적 성상에 따른 분류
①고체세치제
②분말세치제
③교질세치제
④크림세치제
⑤액상세치제
(2)용도에 따른 분류
(3)마모도에 따른 분류
①비교치아마모도 100이상
3.세치제의 성분
(1)세마제(abrasive agent)
(2)세정제(detergents)
(3)습윤제(humectant)
(4)기타성분
(5)불소
(6)상아질지각과민치료제
4.대상자별 세치제의 선정법
본문내용
세정작용을 증가시켰지만 비누는 칼슘염과 일부 향미제와 함께 배합할 수 없었다. 오늘날 결점을 보완한 합성중성제제를 세치제에 배합되게 되었으며 크림세치제에 배합되는 합성중성세제는 다음과 같은 장점이 있다.
세치제의 처방을 다양화한다.
비누의 불쾌한 맛을 제거해 준다.
구강연조직에 알카리성 자극을 주지 않는다.
침투작용을 한다.
흡착작용을 한다.
부화작용을 한다.
분산작용을 한다.
(3)습윤제(humectant)
-보습제는 크림세치제가 건조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배합되는 물질로 크림세치제의 물리적 성상이 고체로 변하는 것을 방지하고 세치제의 조성을 안정되게 유지하는 기능을 한다. glycerin, sorbitol을 세치제에 배합해서 사용한다.
(4)기타성분
-맛과 향을 부여하기 위해 세치제에 배합되는 성분을 향미제라고 하며, spearmint, peppermint, winter-green, cinnamon, anise 등이 있다.
-탈 이온화되거나 증류된 물이나, glycerin, sorbitol과 같은 감미제가 있고, parahydroxy-venzoates 등의 방부제와 예방제, 치료제 등이 배합되거나 착색제, 부식억제제, 표백제 등이 있다.
(5)불소
-치아우식증을 예방히기 위해 세치제에 배합하는 성분 중 예방효과가 가장 뚜렷한 약물이 불소화합물이다. 칫솔질을 하는 과정에 세치제에 배합된 불소가법랑질과 결합해 치질의 내산성을 증가시켜 치아우식병을 예방하는 효과가 있으며 칫솔질의 빈도와 방법에 따라 약 15~30% 치아우식예방 효과가 있다.
-우리나라에서는 의약부외품 가운데에서 불소배합세치제의 불소배합기준 양은 다음과 같다.
불화석: 0.4%
불화나트륨: 0.3~0.6%
인산일불소나트륨: 0.6~1.0%
(6)상아질지각과민치료제
-상아질지각과민증을 치료할 목적으로 약물을 세치제에 배합해 특수세치제로 판매하기도 한다. 다음과 같은 약물이 있다.
Aluminum chlorohydroxy allantoinate 0.5~5%
불화나트륨
불화규산나트륨
포름알데하이드
질산은
염화아연
글리세린
질산칼륨
염화스트론튬
구연산칼륨
-1960년대 이후 치아우식병이나 치주질환의 예방제, 치료제, 상이질지각과민치료제를 세치제에 배합하려는 연구는 활발해 다양한 특수세치제가 제조 및 판매되고 있다. 그러나 여러 가지 약물 가운데 구강병 예방효과를 나타낸다고 인정되고 있은 약물은 불소뿐이며 특수세치제에 배합하는 약물의 요건은 다음과 같다.
독성이 없어야 한다.
세치제의 다른 성분과 화합하지 않아야 한다.
치아를 변색시키지 않아야 한다.
구강에서 부작용을 나타내지 않아야 한다.
4.대상자별 세치제의 선정법
-백악질이나 상아질이 노출된 치아를 가지거나 치은절제술을 받은 지 얼마 안된 사람은 약한 마모력의 세치제를 권장하는 것이 좋고, 치주조직이 건전할 뿐만 아니라 구강점막도 건전한 사람이지만 칫솔질 횟수가 적은 사람은 강한 마모력의 세치제를 사용하는 것이 좋다.
-아동은 불소가 함유된 세치제를 사용하도록 권장하며 아동의 취향에 맞는 향미제를 선택하는 것이 좋다.
세치제의 처방을 다양화한다.
비누의 불쾌한 맛을 제거해 준다.
구강연조직에 알카리성 자극을 주지 않는다.
침투작용을 한다.
흡착작용을 한다.
부화작용을 한다.
분산작용을 한다.
(3)습윤제(humectant)
-보습제는 크림세치제가 건조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배합되는 물질로 크림세치제의 물리적 성상이 고체로 변하는 것을 방지하고 세치제의 조성을 안정되게 유지하는 기능을 한다. glycerin, sorbitol을 세치제에 배합해서 사용한다.
(4)기타성분
-맛과 향을 부여하기 위해 세치제에 배합되는 성분을 향미제라고 하며, spearmint, peppermint, winter-green, cinnamon, anise 등이 있다.
-탈 이온화되거나 증류된 물이나, glycerin, sorbitol과 같은 감미제가 있고, parahydroxy-venzoates 등의 방부제와 예방제, 치료제 등이 배합되거나 착색제, 부식억제제, 표백제 등이 있다.
(5)불소
-치아우식증을 예방히기 위해 세치제에 배합하는 성분 중 예방효과가 가장 뚜렷한 약물이 불소화합물이다. 칫솔질을 하는 과정에 세치제에 배합된 불소가법랑질과 결합해 치질의 내산성을 증가시켜 치아우식병을 예방하는 효과가 있으며 칫솔질의 빈도와 방법에 따라 약 15~30% 치아우식예방 효과가 있다.
-우리나라에서는 의약부외품 가운데에서 불소배합세치제의 불소배합기준 양은 다음과 같다.
불화석: 0.4%
불화나트륨: 0.3~0.6%
인산일불소나트륨: 0.6~1.0%
(6)상아질지각과민치료제
-상아질지각과민증을 치료할 목적으로 약물을 세치제에 배합해 특수세치제로 판매하기도 한다. 다음과 같은 약물이 있다.
Aluminum chlorohydroxy allantoinate 0.5~5%
불화나트륨
불화규산나트륨
포름알데하이드
질산은
염화아연
글리세린
질산칼륨
염화스트론튬
구연산칼륨
-1960년대 이후 치아우식병이나 치주질환의 예방제, 치료제, 상이질지각과민치료제를 세치제에 배합하려는 연구는 활발해 다양한 특수세치제가 제조 및 판매되고 있다. 그러나 여러 가지 약물 가운데 구강병 예방효과를 나타낸다고 인정되고 있은 약물은 불소뿐이며 특수세치제에 배합하는 약물의 요건은 다음과 같다.
독성이 없어야 한다.
세치제의 다른 성분과 화합하지 않아야 한다.
치아를 변색시키지 않아야 한다.
구강에서 부작용을 나타내지 않아야 한다.
4.대상자별 세치제의 선정법
-백악질이나 상아질이 노출된 치아를 가지거나 치은절제술을 받은 지 얼마 안된 사람은 약한 마모력의 세치제를 권장하는 것이 좋고, 치주조직이 건전할 뿐만 아니라 구강점막도 건전한 사람이지만 칫솔질 횟수가 적은 사람은 강한 마모력의 세치제를 사용하는 것이 좋다.
-아동은 불소가 함유된 세치제를 사용하도록 권장하며 아동의 취향에 맞는 향미제를 선택하는 것이 좋다.
추천자료
[WTO통상협정] 우루과이라운드
진단적 검사
무균술,손씻기, 소독&순환간호사의 역할, 마스크&장갑&가운입기
생활 속의 플라스틱에 대한 조사
[2] 치면열구전색제(Pit & Fissure Sealant)
치과 치료후 주의사항
P&G사의 수요예측에 따른 재고관리
건강교육- 청결
구강건강관리 설문지
인공기도를 가진 환자의 간호
[해결중심치료] 해결중심치료의 개념, 기본원리, 문제중심치료와의 비교, 해결중심치료의 실...
19~24개월 행동특징을 자료를 찾아 작성하고 직접 관찰을 통해 동일한 행동 특징이나 다른 특...
원산지原産地 제도와 원산지 확인
별들의 전쟁 (화성인과 금성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