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목 적 >
< 실험 과정 및 결과 >
< 실험 고찰 >
< 참고문헌 >
< 실험 과정 및 결과 >
< 실험 고찰 >
< 참고문헌 >
본문내용
에서 Gate 의 입력을 하나씩 제거하면서 변화를 살펴본 결과 0을 Counting 하는 A'B' 에서는 A 와 B 입력이 모두 필요했고 1을 Counting 하는 AB' 에서는 B를 제거하여도 결과에 지장을 주지 않았다. 2를 Counting 하는 A'B 회로에서는 A를 제거하여도 결과에 지장을 주지 않았다.
세 번째 실험에서는 10진 디코더를 갖춘 BCD 카운터를 만들어 보았다. 7490 BCD counter 와 7442 ic 칩을 사용해서 회로를 구성한 뒤 Clock을 주고 결과를 살펴보았다. 7442 ic 칩은 4개의 입력을 받아서 각각을 10개의 출력으로 바꾸어 준다. 여기에서 4개의 입력은 BCD 코드가 되고 10개의 출력은 BCD 코드를 10진수로 바꾼 값이 된다. 10개의 출력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이므로 최소한 4개의 입력이 필요하게 된다. 7442 의 0, 7, 9 번의 출력에서 Clock 에 따른 결과를 살펴본 결과 원하는 값을 주기로 가진 결과가 출력되는 것을 확인 하였다.
네 번째 실험은 인코딩 - 10진/Excess-3 코드 이다. 이번실험에서는 Switch를 많이 사용하는데 Switch 가 Bread board 제대로 고정되지 않아서 Switching 작업을 직접해주었다. 각각의 Switch에 전압을 걸어주게 되면 출력이 변하는 것을 확인 할 수 있는데 4개의 출력은 Decimal 값과 다르게 나오는 것을 확인 할 수 있다. 그 이유는 Excess-3 코드의 경우 BCD 코드에 +0011(3)을 해주어 얻을 수 있는 값이기 때문이다. 다시 결과를 관찰해보면 Decimal = 0 은 Excess-3 = 0011 에 해당하고 Decimal =5 는 Excess-3 = 1000 에 해당된다. 이러한 Excess-3 코드는 자주 사용되는 Decimal 에 비해 까다롭지만 회로를 만들어 구성할 때에는 보수변환이 쉽기 때문에 더욱 쉽게 사용된다.
다섯 번째 실험에서는 7 segment 표시기를 갖는 BCD 카운터를 만들어 보았다. 이번실험은 앞서 했던 실험과 별반 다르지 않지만 7 segment 라는 새로운 부품을 사용한다는 기대감에 차 있었다. 이것은 회로에 저장되어 있는 값을 읽어와 직접 값을 보여주는데 실험에서는 제대로 작동하지 않아 LED로 대체 하였다. 역시 실험의 결과는 Clock 에 따라서 0~9 까지 10개의 숫자를 차례대로 Counting 하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실험 과정과 결과, 디코더와 인코더는 특히 일상생활에 많이 사용된다. 우리가 컴퓨터로 동영상을 볼 때에서 디코더와 인코더의 개념이 있는데 원하는 동영상을 컴퓨터로 볼 수 없는 경우가 있다. 이 때 코덱이라는 개념이 있는데 이것은 코더와 디코더의 합성어이다. 또 컴퓨터시스템에서 많이 사용되는데 이번 실험에서는 Clock 에 따라서 순차적인 결과 값을 보여주지만 컴퓨터에서는 순차적 뿐만이 아니라 Bus system이러던지 인터럽터와 같은 것을 명령어를 이용하여 원하는 값을 출력한다. 이번실험에서 회로를 구성할 때 각각은 counting 을 위한 소자를 제외하고 NAND gate 가 사용되는 것을 확인 할 수 있는데 이것은 NAND gate 의 특성상 가장 간단하게 회로를 구성할 수 있고 동작속도가 가장 빠르기 때문이다. 이러한 NAND gate 만을 사용해서 디코더를 만들 수 있는데 4개의 NAND gate로 디코더를 만들 수 있다는 것도 알게 되었다. 또한, 실험 전 충분한 공부와 내용 이해를 통해서 실험과정이 원활하게 이루어 질 수 있도록 해야 한다.
< 참고문헌 >
- DigitalDesign, J.F.Wakerly 저, PrenticeHall, 2006
세 번째 실험에서는 10진 디코더를 갖춘 BCD 카운터를 만들어 보았다. 7490 BCD counter 와 7442 ic 칩을 사용해서 회로를 구성한 뒤 Clock을 주고 결과를 살펴보았다. 7442 ic 칩은 4개의 입력을 받아서 각각을 10개의 출력으로 바꾸어 준다. 여기에서 4개의 입력은 BCD 코드가 되고 10개의 출력은 BCD 코드를 10진수로 바꾼 값이 된다. 10개의 출력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이므로 최소한 4개의 입력이 필요하게 된다. 7442 의 0, 7, 9 번의 출력에서 Clock 에 따른 결과를 살펴본 결과 원하는 값을 주기로 가진 결과가 출력되는 것을 확인 하였다.
네 번째 실험은 인코딩 - 10진/Excess-3 코드 이다. 이번실험에서는 Switch를 많이 사용하는데 Switch 가 Bread board 제대로 고정되지 않아서 Switching 작업을 직접해주었다. 각각의 Switch에 전압을 걸어주게 되면 출력이 변하는 것을 확인 할 수 있는데 4개의 출력은 Decimal 값과 다르게 나오는 것을 확인 할 수 있다. 그 이유는 Excess-3 코드의 경우 BCD 코드에 +0011(3)을 해주어 얻을 수 있는 값이기 때문이다. 다시 결과를 관찰해보면 Decimal = 0 은 Excess-3 = 0011 에 해당하고 Decimal =5 는 Excess-3 = 1000 에 해당된다. 이러한 Excess-3 코드는 자주 사용되는 Decimal 에 비해 까다롭지만 회로를 만들어 구성할 때에는 보수변환이 쉽기 때문에 더욱 쉽게 사용된다.
다섯 번째 실험에서는 7 segment 표시기를 갖는 BCD 카운터를 만들어 보았다. 이번실험은 앞서 했던 실험과 별반 다르지 않지만 7 segment 라는 새로운 부품을 사용한다는 기대감에 차 있었다. 이것은 회로에 저장되어 있는 값을 읽어와 직접 값을 보여주는데 실험에서는 제대로 작동하지 않아 LED로 대체 하였다. 역시 실험의 결과는 Clock 에 따라서 0~9 까지 10개의 숫자를 차례대로 Counting 하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실험 과정과 결과, 디코더와 인코더는 특히 일상생활에 많이 사용된다. 우리가 컴퓨터로 동영상을 볼 때에서 디코더와 인코더의 개념이 있는데 원하는 동영상을 컴퓨터로 볼 수 없는 경우가 있다. 이 때 코덱이라는 개념이 있는데 이것은 코더와 디코더의 합성어이다. 또 컴퓨터시스템에서 많이 사용되는데 이번 실험에서는 Clock 에 따라서 순차적인 결과 값을 보여주지만 컴퓨터에서는 순차적 뿐만이 아니라 Bus system이러던지 인터럽터와 같은 것을 명령어를 이용하여 원하는 값을 출력한다. 이번실험에서 회로를 구성할 때 각각은 counting 을 위한 소자를 제외하고 NAND gate 가 사용되는 것을 확인 할 수 있는데 이것은 NAND gate 의 특성상 가장 간단하게 회로를 구성할 수 있고 동작속도가 가장 빠르기 때문이다. 이러한 NAND gate 만을 사용해서 디코더를 만들 수 있는데 4개의 NAND gate로 디코더를 만들 수 있다는 것도 알게 되었다. 또한, 실험 전 충분한 공부와 내용 이해를 통해서 실험과정이 원활하게 이루어 질 수 있도록 해야 한다.
< 참고문헌 >
- DigitalDesign, J.F.Wakerly 저, PrenticeHall, 2006
추천자료
디지털논리회로실험1-1
[논리회로실험] Mux 와 demux 발표 ppt 자료
Inverted Pendulum System (도립 진자 시스템)
논리회로실험
숭실대 2-1학기 논리회로실험 예비리포트 모음
[논리회로실험] 실험5. Integrated-Circuit Timers 예비보고서
[논리회로실험] 실험8. 전가산기와 전감산기 예비보고서
[전기전자회로실험] 실험6. 논리조합회로의 설계 - 가산기만들기
[논리회로실험] encoder decoder 7segment (7세이그먼트) - Encoder, Decoder를 이해하고, 특...
[논리회로실험] 멀티플렉서 & 디멀티플렉서
논리회로실험 Basic Gates 예비
[디지털공학실험] 기본논리게이트인 NOT, AND, OR, NAND, NOR, XOR 게이트의 동작 특성 및 응...
[논리회로설계실험]1bit 비교기 와 4bit 비교기
[논리회로설계실험]Decoder와 Encoder설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