살아 있는 우리의 전통 문화 강릉 단오제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살아 있는 우리의 전통 문화 강 릉 단 오 제

▣ 축제 개관
1. 강릉단오제 연혁
2. 단오의 유래와 강릉단오제

▣ 축제 내용
1. 강릉단오제 내용
2. 강릉단오제의 구성

▣ 강릉단오제와 유사한 축제를 선정하여 비교 후 시사점 언급

▣ 강릉단오제의 조사를 마치며 감상

▣ 참고문헌

본문내용

만 치우쳐져 있었다. 사실 전통문화, 제례, 민속축제 등에 너무 관심이 없었던 나를 반성한다. 지금이라도 다채로운 종류의 축제와 행사를 알게 된 것에 감사하고 나의 앞날을 즐겁게, 알차게 해 줄거라 생각한다. 본론으로 넘어가 강릉단오제에 대해 이야기 해보자면 너무 홍보가 안 되고 있다는 느낌을 지울 수가 없다. 조사한 자료에 의하면 단오는 우리나라의 설날과 추석과 함께 3대 명절이었을 정도로 정말 규모가 크고 의미가 있었다고 하는데 지금은 그런 의미가 많이 퇴색해 가고 있는 것 같다. 그나마 그런 퇴색되어 가는 의미를 살리기 위해서 강릉단오제위원회에서 부단히도 노력하고 있음에도 oo에 사는 나는 관심을 아주 많이 주지 않는다면 강릉에서 어떤 의미있는 일이 벌어지고 있는지에 대해 도저히 알 수가 없다. 우리나라의 축제는 물론 다른 나라와 많이 다르다. 앞서 예를 들었던 태국의 축제 송크란과 비교를 해보면, 우리나라의 축제나 행사는 전국적으로 거의 동시에 이뤄지는 일이 없다고 생각한다. 물론 명절에 행하는 일들이 각 가정마다 모두 비슷하긴 하지만, 그것은 어디까지나 개인의 가정 내에서 이뤄지는 일일 뿐 태국의 송크란 축제처럼 명절행사가 국가의 큰 축제처럼 느껴지는 행위는 하지 않는다고 여겨진다. 때문에 나는 태국 송크란 축제를 더불어 조사하면서 이들에게 송크란 축제가 자신이 태국인이라는 소속감을 느끼는 데 많은 영향을 줄 것이라고 예상했고 우리의 강릉단오제 역시도 강릉지역 주민들만의 화합과 공동체 의식을 강화시킬 뿐만 아니라 전국민적인 공동체 의식 강화로 발전하게 해줄 수 있는 중추역할로서 제 몫을 다해주길 바라는 마음이다. 나를 포함한 국민들 역시, 강릉단오제 축제행사가 자주 있는 것도 아니고 일 년에 한 번 있기 때문에 기회가 된다면 시간을 내서라도 참여해서 지역경제적인 면에 도움을 주고, 참여하는 정신으로 문화적인 면의 질적 향상도 도모했으면 좋겠다. 지정문화재와 같은 것들이 아이들에게, 또는 모르는 어른들에게는 어려운 내용, 따분한 내용이라서 외면받아 없어진다면 진정 우리에게 남아있는 전통이라는 이름의 문화 또는 제례는 영영 찾아 볼 수 없을 것이다. 조금만 관심을 가지고 공부를 해서라도 참여했으면 좋겠고, 그 밖에도 어른, 아이 구분할 거 없이 즐길 수 있는 공연이나 부대 행사, 민속놀이 등의 체험의 기회가 널려 있으니 꼭 와서 참여해 보길 바란다. 나 역시도 내년 2011 강릉단오제는 꼭 참여해 볼 것 이다. 역사적으로, 문화적으로 꼭 보존하고, 키워나갈 가치가 있는 강릉단오제의 영원함을 기원하며 글을 마친다.
▣ 참고문헌
1. 장정룡, 강릉단오민속여행, 두산, 1998.
2. 장정룡, 강원학총서1: 강릉단오제, 강원도 강원발전 연구원, 2003.
3. 김선풍 외, 강릉 단오제 실측조사보고서, 문화재 관리국, 1994.
4. 인터넷 홈페이지 http://danojefestival.or.kr/
5. 안민기, 샘이깊은물, 한 세상 다른 문화 타이와 함께 축제를, 2000. 8
6. 안민기, hello태국, 김영사, 2004
  • 가격1,8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12.03.12
  • 저작시기2012.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73300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