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금융시장] 국제금융시장의 구조(구성)와 구분, 유로금융시장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국제금융시장

Ⅰ. 국제금융시장의 구조와 동향

1. 국제금융시장의 구성
2. 국제금융시장의 기능별 구분
3. 국제금융시장의 지역별 구분

Ⅱ. 유로금융시장

1. 유로커런시시장
2. 유로본드시장

본문내용

비용이 상대적으로 낮기 때문이다. 투자자들은 각기 다른 통화를 활용해 유로예금을 다변화함으로써 환위험을 감소시킬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이 금융시장에서 적용되는 표준금리는 은행 간 대출 금리이다. 각 은행은 이 금리에 차입자의 신용도 등을 감안하여 위험프리미엄을 첨가하여 이을 차이(spread)를 결정한다. 아시아, 특히 싱가포르와 홍콩에 있는 유로커런시시장을 흔히 아시아달러시장이라고도 한다. 은행 간 거래와 예금자금을 실수요자에게 대출해 주는 기능을 하고 있다.
2) 유로본드시장
국제본드시장에는 두 가지 종류의 채권이 있다. 외국채(foreign bond)와 유로채(euro bond)이다. 외국채는 한 국가의 국내자본시장에서 그 나라의 통화로 표시되어 그 나라에 거주하지 않는 외국의 차입자에 의해 발행되는 채권을 말한다. 그러므로 채권발행 표시통화와 발행지역통화가 같다. 예컨대 미국에서 외국정부와 기업, 국제기관 등 외국인이 발행하여 미국의 채권시장에서 거래되는 달러표시채권이 바로 외국채이다. 이를 양키본드(Yankee bonds)라 부른다. 이와 같은 외국채를 일본에서는 사무라이본드(Samurai bonds), 영국에서는 불독본드(Bulldog bonds), 네덜란드에서는 렘브란트본드(Rambrandt bonds), 스페인에서는 마타도르 본드(Matador bonds). 우리나라에서는 아리랑본드(Arirang bonds)라고 부른다. 외국채는 현지에서 현지통화로 발행, 판매되기 때문에 발행 및 유통절차에 대해서는 현지정부의 규제와 감독을 받는다.
유로채는 특정국의 차입자가 외국에서 제 3국 통화로 표시된 채권을 각국의 투자가들에게 판매하는 채권을 말한다. 유로채는 투자은행들의 다국적 신디케이트에 의해 인수되고 여러 시장에 동시에 판매된다. 채권은 통상 익명의 소지인 형태(bearer form)로 발행됨으로 익명성이 보장되고 이자소득에 대한 원천세가 면제된다. 그리고 채권기간은 대부분2년에서 15년까지이며 20년이 넘는 장기채도 있다.
통화별로 보면 유로달러채권이 유로본드시장의 가장 큰 부분을 차지하고 있으나 비달러통화채 발행의 비중이 증가하고 있다. 유로본드는 각국의 증권거래소에 등록되지만 대부분의 채권은 런던, 룩셈부르크, 취리히 증권거래소에 상장되며, 이들 대부분은 장외시장에서 거래된다. 보험회사, 연기금 등 기관투자자가 대부분인 외국채와는 달리, 유로본드의 경우 개인투자자의 비중도 상당히 높다.
  • 가격1,8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12.03.23
  • 저작시기2012.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73559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