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사회복지실천에서 관계의 개념
제 1절 사회복지실천에서 관계의 개념
1. 관계의 개념과 사회복지실천에서의 관계
2. 사회복지실천에서 전문적 관계의 특성 및 중요성
제 2절 사회복지실천에서 전문적 관계의 기본요소
1. 전문적 관계의 의미와 기본요소
2. 그밖에 요구되는 전문가의 자질
제 3절 개별사회사업에서의 관계
\ 개별사회사업의 관계(Biestek)
제 4절 관계의 기본원칙
1. 관계의 기본원칙 - 개별화
2. 관계의 기본원칙 - 통제된 정서적 관여
3. 관계의 기본원칙 - 의도적인 감정표현
4. 관계의 기본원칙 - 비심판적 태도(nonjudgemental attitude)
5. 관계의 기본원칙 - 수용
6. 관계의 기본원칙 - 비밀보장(confidentiality)
7. 관계의 기본원칙 - 클라이언트의 자기결정권(self - determination)
8. 관계의 기본원칙의 실천 관련성에 대한 논의
저항 다루기와 윤리적 딜레마의 해결
제 1절 클라이언트의 저항 다루기
1. 저항의 의미와 유형
2. 저항의 원인
3. 변화를 방해하는 관계 다루기
제 2절 사회복지사와 클라이언트의 윤리적 딜레마
1. 윤리와 가치
2. 윤리적 딜레마
3. 윤리적 딜레마를 경험할 수 있는 상황
참고문헌
제 1절 사회복지실천에서 관계의 개념
1. 관계의 개념과 사회복지실천에서의 관계
2. 사회복지실천에서 전문적 관계의 특성 및 중요성
제 2절 사회복지실천에서 전문적 관계의 기본요소
1. 전문적 관계의 의미와 기본요소
2. 그밖에 요구되는 전문가의 자질
제 3절 개별사회사업에서의 관계
\ 개별사회사업의 관계(Biestek)
제 4절 관계의 기본원칙
1. 관계의 기본원칙 - 개별화
2. 관계의 기본원칙 - 통제된 정서적 관여
3. 관계의 기본원칙 - 의도적인 감정표현
4. 관계의 기본원칙 - 비심판적 태도(nonjudgemental attitude)
5. 관계의 기본원칙 - 수용
6. 관계의 기본원칙 - 비밀보장(confidentiality)
7. 관계의 기본원칙 - 클라이언트의 자기결정권(self - determination)
8. 관계의 기본원칙의 실천 관련성에 대한 논의
저항 다루기와 윤리적 딜레마의 해결
제 1절 클라이언트의 저항 다루기
1. 저항의 의미와 유형
2. 저항의 원인
3. 변화를 방해하는 관계 다루기
제 2절 사회복지사와 클라이언트의 윤리적 딜레마
1. 윤리와 가치
2. 윤리적 딜레마
3. 윤리적 딜레마를 경험할 수 있는 상황
참고문헌
본문내용
복지사와 클라이언트의 관계에 하나의 장애로 작용
- 클라이언트가 협조하기를 의도적으로 거부하는 행위
2) 저항의 유형
- 핵심에서 벗어난 주제
- 무제축소
- 침묵
- 무력함의 표현
- 저항심리 행동 표현(소리 지르기, 난폭한 행동)
*저항을 다뤄야 하는 이유
- 관계는 원조과정을 활성화 시키는 수단, 관계의 질은 궁극적으로 결과에 영향
2. 저항의 원인
1) 사회복지 서비스 및 구체적 개인의 절차에 대한 클라이언트의 잘못된 이해
- 계약을 통해 서로 역할을 명확히 규정
- 진실 된 태도로 클라이언트 격려, 지지, 감정표현에 옹호
2) 클라이언트의 양가감정
- 양가감정: 변화를 원하여 도움을 요청하나, 기존의 삶의 균형을 유지하고 싶어 하는 마음
- 사회복지사는 클라이언트의 양가감정 인식, 수용하고 토의의 과정을 거쳐 저항으로 인해 원조관계, 과정을 방해하는 것을 방지
3) 전이 : 클라이언트가 초기 아동기의 관계가 방해되었을 때 겪은 감정을 현재의 사회복지사에 표현하는 비합리적인 감정
* 사회복지사는 클라이언트의 저항감에 대한 이해와 지지하고 클라이언트의 변화가능성에 대한 능력과 희망에 대한 신뢰 표현이 중요
4) 클라이언트가 평상시의 기능과 다른 새로운 상황에 가지는 염려, 두려움
- 클라이언트의 두려움을 인식
- 모델링 혹은 행동연습을 통해 변화를 위한 필요한 행동 수행
3. 변화를 방해하는 관계 다루기
1) 긍정적 재해석 : 클라이언트의 부정적이고 바람직하지 못한 감정들에 사회복지사가 긍정적 의미 부여
2) 저항 다루기
3) 직면(confrontation): 변화를 방해하는 부정적 감정, 행동을 클라이언트가 인식하도록 돕는 것
4) 문제를 성장의 기회로 재규정
제 2절 사회복지사와 클라이언트의 윤리적 딜레마
1. 윤리와 가치
1) 윤리 : 무엇이 옳고 바른가, 현식적인 면
2) 가치 : 무엇이 좋고 바람직한가, 이상적인 면
2. 윤리적 딜레마
1) 사회복지 실천현장은 가치갈등의 연속
2) 사회복지사는 다양한 상황에서 윤리적 딜레마와 마주함
- 클라이언트, 동료, 사회 그리고 개인의 사회복지전문직으로서의 의무가 다양하기 때문에 윤리적 딜레마가 나타남
3) 윤리적 딜레마는 두 개 이상의 가치, 원칙, 의무가 상충할 때 발생
- 한 가지를 위반하지 않고 다른 것을 지킬 수 없는 상황에서 필연적 발생
3. 윤리적 딜레마를 경험할 수 있는 상황
1) 자기결정권의 제한이 필요할 경우
- 클라이언트 스스로 바른 결정을 할 수 있는 판단력 여부(예: 미성년자)
- 상황의 위험성을 인지하는지의 여부
2) 진실성 고수와 클라이언트의 알 권리
- 클라이언트를 해로부터 보호해야 될 필요가 있을 상황
3) 비밀보장을 지키지 못할 경우
- 생명의 존엄이 위협될 수 있는 상황
- 폭력, 학대가 이루어지는 상황
- 사법체계와 연루되어 클라이언트의 정보공개가 필요한 상황
4) 법률, 정책, 규칙과 위배 될 경우
참고문헌
- 사회복지실천의 이해 (엄명용, 김성천 외/ 학지사/ 2011.02.15)
- 사회복지실천론 (양옥경 저/ 나남/ 2010.03.05)
- 클라이언트가 협조하기를 의도적으로 거부하는 행위
2) 저항의 유형
- 핵심에서 벗어난 주제
- 무제축소
- 침묵
- 무력함의 표현
- 저항심리 행동 표현(소리 지르기, 난폭한 행동)
*저항을 다뤄야 하는 이유
- 관계는 원조과정을 활성화 시키는 수단, 관계의 질은 궁극적으로 결과에 영향
2. 저항의 원인
1) 사회복지 서비스 및 구체적 개인의 절차에 대한 클라이언트의 잘못된 이해
- 계약을 통해 서로 역할을 명확히 규정
- 진실 된 태도로 클라이언트 격려, 지지, 감정표현에 옹호
2) 클라이언트의 양가감정
- 양가감정: 변화를 원하여 도움을 요청하나, 기존의 삶의 균형을 유지하고 싶어 하는 마음
- 사회복지사는 클라이언트의 양가감정 인식, 수용하고 토의의 과정을 거쳐 저항으로 인해 원조관계, 과정을 방해하는 것을 방지
3) 전이 : 클라이언트가 초기 아동기의 관계가 방해되었을 때 겪은 감정을 현재의 사회복지사에 표현하는 비합리적인 감정
* 사회복지사는 클라이언트의 저항감에 대한 이해와 지지하고 클라이언트의 변화가능성에 대한 능력과 희망에 대한 신뢰 표현이 중요
4) 클라이언트가 평상시의 기능과 다른 새로운 상황에 가지는 염려, 두려움
- 클라이언트의 두려움을 인식
- 모델링 혹은 행동연습을 통해 변화를 위한 필요한 행동 수행
3. 변화를 방해하는 관계 다루기
1) 긍정적 재해석 : 클라이언트의 부정적이고 바람직하지 못한 감정들에 사회복지사가 긍정적 의미 부여
2) 저항 다루기
3) 직면(confrontation): 변화를 방해하는 부정적 감정, 행동을 클라이언트가 인식하도록 돕는 것
4) 문제를 성장의 기회로 재규정
제 2절 사회복지사와 클라이언트의 윤리적 딜레마
1. 윤리와 가치
1) 윤리 : 무엇이 옳고 바른가, 현식적인 면
2) 가치 : 무엇이 좋고 바람직한가, 이상적인 면
2. 윤리적 딜레마
1) 사회복지 실천현장은 가치갈등의 연속
2) 사회복지사는 다양한 상황에서 윤리적 딜레마와 마주함
- 클라이언트, 동료, 사회 그리고 개인의 사회복지전문직으로서의 의무가 다양하기 때문에 윤리적 딜레마가 나타남
3) 윤리적 딜레마는 두 개 이상의 가치, 원칙, 의무가 상충할 때 발생
- 한 가지를 위반하지 않고 다른 것을 지킬 수 없는 상황에서 필연적 발생
3. 윤리적 딜레마를 경험할 수 있는 상황
1) 자기결정권의 제한이 필요할 경우
- 클라이언트 스스로 바른 결정을 할 수 있는 판단력 여부(예: 미성년자)
- 상황의 위험성을 인지하는지의 여부
2) 진실성 고수와 클라이언트의 알 권리
- 클라이언트를 해로부터 보호해야 될 필요가 있을 상황
3) 비밀보장을 지키지 못할 경우
- 생명의 존엄이 위협될 수 있는 상황
- 폭력, 학대가 이루어지는 상황
- 사법체계와 연루되어 클라이언트의 정보공개가 필요한 상황
4) 법률, 정책, 규칙과 위배 될 경우
참고문헌
- 사회복지실천의 이해 (엄명용, 김성천 외/ 학지사/ 2011.02.15)
- 사회복지실천론 (양옥경 저/ 나남/ 2010.03.05)
키워드
추천자료
[구세군][자선냄비][사회복지][사회복지사업][사회사업][성탄절][크리스마스]구세군의 유래, ...
집단사회복지실천의 이해
기말_광주_사회복지실천론
[사회복지실천론] 개별 클라이언트 면접 보고서
전문직의 특성을 설명하고 우리 사회에서 사회복지직이 전문직으로 인정을 받고 있는지 그렇...
노년 후기 발달특성
[문화체계] 문화의 개념과 기능, 문화의 특성 및 유형, 문화와 사회복지실천
[노년기 발달특성] 노년전기, 노년후기 발달특징 및 발달과업
문화의 개념과 특성(문화의 정의와 특징)
[집단체계] 집단의 개념과 기능, 집단의 특성과 유형, 집단과 사회복지실천
[체계이론] 체계의 행동적 특성(속성)
체계(system)의 진화적 특성(속성)
인간의 속성과 관련된 개념(유능성 관계 역할)
사회복지실천에서 관계에 대한 개념들과 관계의 특성에 대해 서술하시오 또한 사회복지사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