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감가상각의 의의
2. 감가상각의 3요소
(1)취득원가
(2)내용연수
(3)잔존가액
3. 감가상각의 방법
(1)정액법
(2)정률법
(3)생산량비례법
4. 감가상각의 회계처리
(1) 직접법
(2)간접법
5. 감가의 원인
6. 감가상각 대상 자산
7. 감가상각방법별 상각범위액
8. 감가상각의제
2. 감가상각의 3요소
(1)취득원가
(2)내용연수
(3)잔존가액
3. 감가상각의 방법
(1)정액법
(2)정률법
(3)생산량비례법
4. 감가상각의 회계처리
(1) 직접법
(2)간접법
5. 감가의 원인
6. 감가상각 대상 자산
7. 감가상각방법별 상각범위액
8. 감가상각의제
본문내용
면기간 이후에 감가상각비를 계상하여 조세를 회피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법인세법은 각사업연도소득에 대하여 법인세가 면제되거나 감면되는 사업을 영위하는 법인이 법인세를 면제받거나 감면받은 경우에는 감가상각자산에 대하여 상각범위액만큼 감가상각하지 않은 경우에도 상각범위액만큼 감가 상각한 것으로 의제하여 그 이후의 상각범위액을 계산하도록 규정하고 있는데, 이를 감가상각의제라고 한다. 이러한 감가상각의제를 적용하게 되면 상각범위액에 미달하여 상각한 기간 이후 사업연도의 상각범위액을 계산할 때에는 의제상각액을 장부가액에서 공제한 잔액을 기초로 상각범위액을 계산하여야 한다. 그리고 감가가상각의제규정은 상각범위액의 계산에만 적용되므로 법률에 의한 평가증과 유형자산처분손익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음에 유의해야 한다.
따라서 법인세법은 각사업연도소득에 대하여 법인세가 면제되거나 감면되는 사업을 영위하는 법인이 법인세를 면제받거나 감면받은 경우에는 감가상각자산에 대하여 상각범위액만큼 감가상각하지 않은 경우에도 상각범위액만큼 감가 상각한 것으로 의제하여 그 이후의 상각범위액을 계산하도록 규정하고 있는데, 이를 감가상각의제라고 한다. 이러한 감가상각의제를 적용하게 되면 상각범위액에 미달하여 상각한 기간 이후 사업연도의 상각범위액을 계산할 때에는 의제상각액을 장부가액에서 공제한 잔액을 기초로 상각범위액을 계산하여야 한다. 그리고 감가가상각의제규정은 상각범위액의 계산에만 적용되므로 법률에 의한 평가증과 유형자산처분손익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음에 유의해야 한다.
추천자료
제7회세무회계 2급 기출문제
제1회 세무회계 1급 기출문제
세무회계-손익계산서와 대차대조표
재벌체제하의 규모의 경제
관광기업회계
[부동산][부동산유통][부동산시장]부동산, 부동산유통, 부동산시장의 구조변화와 시장변화 고...
기업 재무제표 분석 보고서 - 크라운 베이커리와 파리크라상 비교 분석
롯데마트 물류시스템과 마케팅시스템
부동산 임대시 세금 문제
기업의 제무/회계 2회 강의 요약
생산운영-투자분석에 관한 주요개념
기업회계 관련 과제
[발생주의 회계제도][발생주의 회계제도 개념][발생주의 회계제도 도입][발생주의 회계제도 ...
기업분석 STX 조선해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