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적 좌식 생활의 문화적 의미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한국적 좌식 생활의 문화적 의미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한국의 전통 문화

2. 우리 주변에서 한국적 좌식생활의 실례

3. 한국적 좌식생활의 의미

4. 한국적 좌식생활의 문제점

5. 현재 한국에서 좌식생활의 의미

본문내용

으로 그 안의 사람들은 매우 관료적이며 아직도 나이, 연공 서열을 따지는 생활 문화에 졌어 있다. 대한 민국의 의식세계를 지배하고 있는, 특히 남성들의 의식 세계를 지배하고 있는 군대는 계급사회라고 하여 차치하더라도 각종 직장, 학교, 가정, 심지어 모든 한국의 모든 활동은 아래, 위가 구분된 사회이고 권위적인 체계로 이루어져 있다. 물론 예의 범절이라는 점에서 볼 때 당연한 부분도 있다. 하지만 비합리성과 권위적이며 비능률적인 생활방식에 초점을 맞추어서 보아야 할 것이다. 방바닥에 앉아서 생활하는 비능동적이며 행동반경이 좁은 상황에서 일들은 자신의 팔, 다리가 닿는 범위 안에서 해결을 하거나 자신 이외의 다른 사람을 시켜야만 하는, 대대로 내려와 오늘날에도 우리 몸에 배어 있는 행동들은 이 시대의 모습과 매우 유사하다.
지금까지 이야기한 좌식생활의 현대적 의미는 예의 범절의 무용無用에 대한 이야기가 아니다. 좌식생활이 가지고 있고 이를 통해서 보여주는 현대 한국 사회 안에서의 문화적 의미를 간접적으로 보여 주고 하나의 상징으로서의 의미를 이야기 하고자 한 것이다. 겉모습은 서구화를 추구하며 발전된 생활 방식으로 나가자고 하지만 아직도 우리의 사회 체계는 양복을 아래위로 잘 차려 입고 구두 벗고 아랫목에 앉을뱅이 책상다리를 하고 앉아 바지에 주름 잡힐까하고 걱정하는 모습이다. 이것은 겉모습이 추구하는 합리화와 서구화 뒷면에 여전히 남아있는 가정과 직장을 포함한 우리 사회 모든 부분에서 달라지지 않고 몸에 베어 버린 비합리적이고 권위적이며 비능동적인 생활방식들을 더 좋아하는 것이라고 할 수 있지는 않을까?
  • 가격2,300
  • 페이지수5페이지
  • 등록일2012.03.28
  • 저작시기2012.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73677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