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어의 기능에 대하여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언어에 대한 생각 - 들어가는 글

2. 언어의 기능
(1) 인식 기능
① 대상화 기능
② 범주화 기능
③ 분별적 기능
(2) 정신작용 기능
① 상징의 기능
② 사고의 기능
(3) 사회화 기능
① 의사소통의 기능
② 문화전수 기능
③ 교육의 기능

3. 언어의 가능성 - 나오는 글

*참고자료

본문내용

것이 아닌가하는 생각이 들 정도였다. 언어가 사고에 지대한 영향을 끼치고 있음을 보았을 때, 철학과의 연관성도 엿보였다.
‘기호학’으로서의 언어를 바라볼 때, 노자가 말한 “道를 道라고 말하는 것은 이미 道가 아니다.” 주 5)의 책. p.29 제 1 장 첫 구절.〔道可道, 非常道, 名可名, 非常名.〕책의 해설은 다음과 같다. “어떻게 표현하든지 도라고 할 수 있는 도는 ‘항상된 도’(常道)가 아니고, 어떻게 명명하든지 이름이라 할 수 있는 이름은 ‘항상된 이름’(常名)이 아니다.
라는 구절에서 통하는 부분이 있음을 느끼게 한다. 또한, 사회 참여적 관점에서 보면, 대중 문화의 비판의 도구로서 작용할 수 있다. 그 예로, 바르트의 글 『신화론』롤랑 바르트 저. 정 현 옮김. 1995. 현대미학사. 이 책의 ‘1970년판 서문’에서 바르트는 다음과 같은 말을 하고 있다. “이 책에서 두 가지 결정 요소들을 발견할 것이다. 하나는 이른바 대중 문화의 언어에 관한 이데올로기적 비평이고, 다른 하나는 이 언어에 관한 초기의 기호학적인 분석이다.”흑인병사의 사례는 p.27~45에서 살펴 볼 수 있다. 그는 잡지의 표지에 실린 “흑인 병사가 프랑스 군대식 경례를 국기에 하는 모습”을 시니피앙과 시니피에의 결합으로 읽고 있다.
에서 제시하고 있는 ‘경례하고 있는 흑인 프랑스 병사’의 모습이 담긴 잡지를 말할 수 있을 것이다. 또, 문화를 좀더 구체화하고 향상시키는 역할을 언어가 큰 부분을 맡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언어가 곧 문화의 반영이고, 문화가 곧 언어로서 드러나는 것으로 볼 수 있는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기능의 분별적 인식은, 우리가 임의적으로 나누어 인식하고 대상화하기 때문에 구분 지을 수 있었던 것이 아닐까 하는 생각도 해본다. 실제로 사용되는 언어에 있어서, 이러한 기능들은 언어가 쓰임과 동시에 대부분 작용을 하는 것이란 생각이 든다.
이러한 생각을 하는 것 역시, 언어의 도움이 있기에 가능한 일이라 생각한다.
*참고문헌 및 인터넷 자료
전정례. 2002. ‘언어와 문화’ 도서출판 박이정 7-106.
김학목. 2000. ‘노자 도덕경과 왕필의 주’ 슬기샘 제1장, 제42장
이기동. 2000. ‘인지언어학’ 한국문화사 제2장 Gilles Fauconnier: 정신공간 이론 (임지룡)
한국기호학회. 1996. ‘기호학 연구2 - 현대 사회와 기호’ 문학과지성사 기호와 의미(박이문)
金宗西李榮德鄭元植 共著. 2002. ‘最新 敎育學槪論’ 第 3 節 敎育에 관한 생각의 틀
롤랑 바르트. 1995. ‘신화론’ 정현 옮김. 현대미학사 ‘1970년 서문’, ‘제1부 오늘의 신화’
http://kr.yahoo.com - ‘야후! 코리아’
*목 차
1. 언어에 대한 생각 - 들어가는 글
2. 언어의 기능
(1) 인식 기능
① 대상화 기능
② 범주화 기능
③ 분별적 기능
(2) 정신작용 기능
① 상징의 기능
② 사고의 기능
(3) 사회화 기능
① 의사소통의 기능
② 문화전수 기능
③ 교육의 기능
3. 언어의 가능성 - 나오는 글
*참고자료
  • 가격1,3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06.06.09
  • 저작시기2006.6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5407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