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유아기 안전사고 실태 및 예방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영유아기 안전사고 실태 및 예방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우리나라 영유아 사고실태

1. 안전사고 유형
2. 가정의 위험유발 요인의 노출
3. 어린이 안전사고 발생가능 장소

■영아기 안전사고예방

1. 출생에서 4개월까지
1) 주요 발달사항
2) 사고예방 대책

2. 4개월 ~ 7개월
1) 주요 발달사항
2) 사고예방 대책

3. 8개월~12개월
1) 주요 발달사항
2) 사고예방 대책

4. 영아기 안전관리를 위한 지침

■유아기 안전사고예방
1) 주요 발달사항
2) 사고예방 대책

◎ 유아 발달에 따른 안전한 장난감

본문내용

높은 위치에 둔다.
세탁액, 페인트, 살충제 등 유기성 물체를 집안에 필요 이상 보관하지 않는다.
독극물을 담았던 빈 용기를 버린다.
냉장고나 식품저장고에 유독성 물체를 보관하지 않는다.
응급의료정보센터나 구명센터 전화번호를 알아둔다.
⑤ 화상 (burn)
목욕시 뜨거운 수도꼭지에 닿지 않도록 한다.
담배, 양초, 향 같은 뜨거운 물체는 높은 곳에 둔다.
⑥ 자동차 사고 (motor vehicle)
아동용 자동차 안전용구를 사용하여 아이를 받쳐 준다.
자동차 좌석이나 무릎에 앉히지 않는다.
영아가 탄 유모차를 주차된 자동차 뒤에 방치하지 않는다.
⑦ 신체손상 (body damage)
부드럽고 둥글며 주로 나무나 플라스틱으로 만든 장난감을 준다.
길고 뾰족한 장난감은 피한다.
지나치게 큰 소리가 나는 장난감은 피한다.
날카로운 물체가 영아의 손에 닿지 않도록 한다.
3. 8개월~12개월
1) 주요 발달사항
잘 기어 다닌다.
물체를 집어 던진다.
가구를 잡고 일어서거나 혼자 일어선다.
가구 주위를 돌아다닌다.
물체를 입안에 집어 넣고 무엇인지 알려 한다.
걷고 기어오른다.
억제당하는 것을 싫어한다.
물체를 잡아당긴다.
부모에게서 떨어져 주위를 탐색한다.
간단한 명령이나 단어의 이해력이 증가된다.
물에서는 무방비 상태이다.
2) 사고예방대책
① 흡인 (Aspiration)
단추나 구슬, 그 밖의 다른 작은 물체들이 영아의 손에 닿지 않도록 한다.
노리개 젖꼭지는 조각으로 분리되지 않는 것을 사용한다.
마루에 작은 물체를 놓아두지 않는다.
딱딱한 사탕이나 땅콩, 씨가 있는 음식을 먹이지 않는다.
누워 있을 때 음식을 먹이지 않는다.
장난감에서 움직일 수 있는 부분을 확인한다.
풍선같은 장난감은 주지 않는다.
② 질식 (suffocation)
오븐, 식기세척기, 냉장고, 세탁기, 건조기의 문을 항상 닫아준다.
사용하지 않는 냉장고나 가구는 문을 떼어 놓은 채 보관한다.
물통에 담긴 물이라도 감시를 소홀히 하지 말아야 한다.
목욕탕 문을 닫아 둔다.
③ 낙상 (fall)
계단의 맨 위와 맨 밑을 막아서 영아의 접근에 대비한다.
영아에게 안전한 신발과 옷을 입힌다.
보행기 사용을 가능한 피한다. 특히 계단 근처에서 사용하지 않는다.
④ 중독 (poisoning)
약은 사탕과 같이 주지 말고 약품만 투여한다.
의사의 처방전없이 약물을 투여하지 않는다.
약품과 독극물은 사용 후 즉시 안전한 제자리에 치워둔다.
⑤ 화상 (burn)
난방기구, 난로, 아궁이의 앞이나 주변에 안전장치를 설치한다.
전기선을 감추거나 손이 닿지 않는 곳에 둔다.
콘센트에 플라스틱 안전덮개를 하거나 콘센트 앞에 가구를 배치한다.
뜨거운 냄비, 주전자 또는 뜨거운 국을 영아의 손이 닿지 않는 곳에 둔다.
전기기구를 가지고 놀지 못하게 한다.
햇빛에 노출될 때는 자외선 차단제를 사용한다.
⑥ 자동차 사고 (motor vehicle)
자동차 안전용구를 반드시 착용한다.
주차된 자동차 뒤에 기어 다니지 못하게 한다.
마당에서 놀 때는 마당에 울타리를 치거나 아기 놀이터를 이용한다.
⑦ 신체손상 (body damage)
포크를 사용하여 스스로 먹이려고 하는 것을 허용해서는 안된다.
유리가 아닌 플라스틱 컵이나 접시를 사용한다.
장난감과 장난감 보관용 통의 안전성을 확인한다.
어린 아동이나 동물, 특히 개의 접근을 막는다.
4. 영아기 안전관리를 위한 지침
출생부터 6개월까지
6개월부터 1년까지
영아의 개별적인 용구나 기질, 울음의 의미 등에 대해 가르친다.
첫 4~6개월 동안 지나치게 많은 주의를 기울이면 영아의
  • 가격3,000
  • 페이지수8페이지
  • 등록일2012.03.13
  • 저작시기2012.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73700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