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
40
-
41


본문내용
자적인 대 소련 정책 추구
3. 닉슨 독트린 발표
(1) 계기 : 베트남전 개입에 대한 여론의 악화
(2) 내용 : 국지적 분쟁에 개입 삼가, 공산 국가에 융통성 있게 대처
(3) 영향 : 중국의 국제연합 가입 승인, 닉슨의 중국 방문, 베트남 파병 미군 철수
(4) 의의 : 냉전에 완화에 기여
4. 라틴 아메리카
(1) 미국의 영향력 강화, 아메리카 주 기구 (OAS, 1948)
(2) 쿠바에서는 공산 정권 수립으로 반미주의 표방 (1959)
(3) 1980년부터 민주화 진전, 경제 개혁 지향
5. 전략무기 제한 협정
(1) 핵 확산 방지 조약 : 국제 연합에서 채택 (1968)
(2) 전략 무기 제한 교섭의 시작 (SALT 1969) : 미국과 소련
(3) 전략 무기 삭감 교섭의 타결 (START 1991)
(4) 첨단 과학 기술의 발달과 자본주의의 고도성장
<첨단 과학 기술의 발달>
1. 20세기 과학의 성과 : 아인슈타인의 상대성 원리
2. 새로운 동력의 개발 : 화석연료와 핵 에너지 외에 태양열 등의 다양한 에너지 자원 개발 노력
3. 생물학과 의학 : 백신의 발명, DNA 구조 규명, 유전자 지도 완성
4. 우주개발 : 인공위성 발사, 달 착륙
5. 교통 수단의 발달 : 육상, 해상, 항공 교통 수단의 개발과 발전
6. 컴퓨터의 등장과 인터넷의 보급 : 정보화 사회의 도래
<자본주의의 고도성장>
1. 전후 세계의 경제 질서의 재편
(1) 브래튼우즈 협정 (1944) 국제 부흥 개발 은행 (IBRD), 국제 통화 기금 (IMF)
(2) 관세 및 무역에 관한 일반 협정 (GATT) 세계 무역 기구 (WTO)
2. 전후 자본주의의 고도성장 : 과학 기술의 발달이 근본적 원동력
3. 성장의 불균형
(1) 미국, 독일, 일본 등 선진 6개국이 세계 총 생산의 70%를 차지
(2) 선진 산업국 : 석유, 화학, 전자, 자동차, 항공, 우주공학 등이 발달
(3) 후진국 : 석탄 채굴, 자연 섬유, 가죽제품 등 전통적 산업 중심
4. 최근의 국제 경제 질서
(1) 세계화 : 세계 무역 기구 (WTO) 출범으로 가속화 우루과이 라운드 협상의 결과 성립된 세계 무역 기구는 GATT체제를 대신하여 세계 무역의 질서를 세우고 UR 협정을 이행을 감시하는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2) 지역화 : 유럽 연합 (EU), 북미 자유 무역협정 (NAFTA), 동남아시아 국가 연합 (ASEAN)
아시아태평양 경제 협력체 (APEC)
<불확실성의 시대>
1. 불황기 : 1990년대 이후 극심한 불황기 시작
2. 세계화 시대 개막 : 전 지구적 차원에서의 빈부 격차 해소에 실패 선진국과 개발도상국 에서 반 세계화 운동의 전개
<현대 대중 사회의 특징과 영향>
1. 대중사회의 출현 : 자본주의 발달에 따른 사회 계층의 이동 가능 보통선거, 공교육 제도, 대중매체의 발달, 대중문화 형성
2. 성격 : 대중이 주역, 인간관계가 약화 인간 소외, 개인주의, 규격화, 획일화가 나타남
3. 대중문화 : 대중매체 특히 텔레비전의 보급의 영향, 영화의 발전, 인터넷의 등장
<20세기 학문과 예술의 새로운 흐름>
1. 철학 : 실존주의 등장, 마르크스주의 영향, 문화 다원주의 인정
2. 문학 : 참여 문학의 등장, 유럽의 비중 감소, 남미 비중의 증가
3. 역사 : 정치사에서 사회사와 문화사 중심으로 변화
4. 예술 : 추상화와 신사실주의의 등장, 12음계법의 등장, 참여 연극의 발달 등
(5) 사회주의권의 붕괴와 급변하는 세계
<독일의 통일과 동유럽 공산 체제의 붕괴>
1. 분단 :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미국과 소련에 의해 동 서독으로 분단
2. 통일 : 베를린 장벽 붕괴 (1989), 서독에 의한 흡수 통일 (1990)
3. 동유럽 공산주의와 소련의 붕괴
(1) 소련의 붕괴 : 고르바초프의 개혁(페레스트로이카)와 개방(글라스노스트)의 추진
공산당 해산과 소련의 해체 (1991) 15개국의 탄생과 독립국가연합 결성 (CIS)
(2) 동유럽의 민주화 운동 : 헝가리 복수 정당제 도입, 폴란드 자유선거 실시 등
4. 동유럽과 소련 붕괴 이후에 나타난 문제 : 빈부 격차의 확대, 민족주의의 고조로 인한 종교와 민족의 갈등 초래 등 ( 유고 내전 등의 발발)
<중국의 개혁, 개방정책>
1. 사회주의 국가 건설 : 중국 공산당의 국공내전 승리와 중화 인민 공화국 건설 (1949)
사회주의 경제 정책의 실시와 대약진 운동 전개
2. 개혁개방 정책 : 문화 대혁명 (1966) 대약진 운동의 실패 이후 대두한 실용주의 세력의 축출
3. 덩샤오핑의 ‘4대 현대화’ 추진 : 시장 경제 원리의 부분적 도입
흑묘 백묘론 : 검은고양이든 흰 고양이든 고양이가 쥐만 잘 잡으면 된다는 뜻으로 인민의 경제력 향상을 위해서는 사회주의든 자본주의든 상관없다라는 실용주의 노선을 천명한 것.
<유럽 연합의 성립 과정>
1. 배경 : 전후 세계 각국에 대한 유럽의 영향력 감소, 및 경제적 어려움
2. 과정 : 유럽 경제 공동체 (EEC) 유럽 공동체 (EC) 유럽 연합 (EU, 마스트리히트 조약)
관세장벽의 철폐와 유로화라는 단일 통화를 사용 현재 15개국이 가입
(6) 오늘날 세계가 안고 있는 문제들
<분쟁지역>
1. 중부와 동부 유럽 : 민족과 종교의 갈등으로 인한 분쟁 발생
2. 중남미 : 빈부격차(남북문제), 이념 차이 등으로 내전 발생
3. 중동지방 : 종교와 민족, 국가간의 문제
4. 동티모르 사태 : 인도네시아에 대해 독립운동 전개
5. 카슈미르 분쟁 : 카슈미르 지역 영유권을 주장하는 인도와 파키스탄의 분쟁
<각종 문제들>
1. 남북문제 : 선진국과 개발도상국 간의 경제적 갈등으로 표출, 국제연합 무역 개발 회의 설립 (UNCTAD, 1964)
2. 평화문제 : 핵 확산 금지조약 성립 (NPT, 1968), 국제 원자력 기구 성립 (IAEA)
3. 환경문제
(1) 리우선언 : (1992 / ESSD 제시 ‘환경적으로 건전하고 지속 가능한 개발’)
(2) 국제연합 환경개발회의 (UNCED, 1992)
(3) GR 협상(환경보존기준이 낮은 나라는 국제무역에서 제재), 그린피스 운동
3. 닉슨 독트린 발표
(1) 계기 : 베트남전 개입에 대한 여론의 악화
(2) 내용 : 국지적 분쟁에 개입 삼가, 공산 국가에 융통성 있게 대처
(3) 영향 : 중국의 국제연합 가입 승인, 닉슨의 중국 방문, 베트남 파병 미군 철수
(4) 의의 : 냉전에 완화에 기여
4. 라틴 아메리카
(1) 미국의 영향력 강화, 아메리카 주 기구 (OAS, 1948)
(2) 쿠바에서는 공산 정권 수립으로 반미주의 표방 (1959)
(3) 1980년부터 민주화 진전, 경제 개혁 지향
5. 전략무기 제한 협정
(1) 핵 확산 방지 조약 : 국제 연합에서 채택 (1968)
(2) 전략 무기 제한 교섭의 시작 (SALT 1969) : 미국과 소련
(3) 전략 무기 삭감 교섭의 타결 (START 1991)
(4) 첨단 과학 기술의 발달과 자본주의의 고도성장
<첨단 과학 기술의 발달>
1. 20세기 과학의 성과 : 아인슈타인의 상대성 원리
2. 새로운 동력의 개발 : 화석연료와 핵 에너지 외에 태양열 등의 다양한 에너지 자원 개발 노력
3. 생물학과 의학 : 백신의 발명, DNA 구조 규명, 유전자 지도 완성
4. 우주개발 : 인공위성 발사, 달 착륙
5. 교통 수단의 발달 : 육상, 해상, 항공 교통 수단의 개발과 발전
6. 컴퓨터의 등장과 인터넷의 보급 : 정보화 사회의 도래
<자본주의의 고도성장>
1. 전후 세계의 경제 질서의 재편
(1) 브래튼우즈 협정 (1944) 국제 부흥 개발 은행 (IBRD), 국제 통화 기금 (IMF)
(2) 관세 및 무역에 관한 일반 협정 (GATT) 세계 무역 기구 (WTO)
2. 전후 자본주의의 고도성장 : 과학 기술의 발달이 근본적 원동력
3. 성장의 불균형
(1) 미국, 독일, 일본 등 선진 6개국이 세계 총 생산의 70%를 차지
(2) 선진 산업국 : 석유, 화학, 전자, 자동차, 항공, 우주공학 등이 발달
(3) 후진국 : 석탄 채굴, 자연 섬유, 가죽제품 등 전통적 산업 중심
4. 최근의 국제 경제 질서
(1) 세계화 : 세계 무역 기구 (WTO) 출범으로 가속화 우루과이 라운드 협상의 결과 성립된 세계 무역 기구는 GATT체제를 대신하여 세계 무역의 질서를 세우고 UR 협정을 이행을 감시하는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2) 지역화 : 유럽 연합 (EU), 북미 자유 무역협정 (NAFTA), 동남아시아 국가 연합 (ASEAN)
아시아태평양 경제 협력체 (APEC)
<불확실성의 시대>
1. 불황기 : 1990년대 이후 극심한 불황기 시작
2. 세계화 시대 개막 : 전 지구적 차원에서의 빈부 격차 해소에 실패 선진국과 개발도상국 에서 반 세계화 운동의 전개
<현대 대중 사회의 특징과 영향>
1. 대중사회의 출현 : 자본주의 발달에 따른 사회 계층의 이동 가능 보통선거, 공교육 제도, 대중매체의 발달, 대중문화 형성
2. 성격 : 대중이 주역, 인간관계가 약화 인간 소외, 개인주의, 규격화, 획일화가 나타남
3. 대중문화 : 대중매체 특히 텔레비전의 보급의 영향, 영화의 발전, 인터넷의 등장
<20세기 학문과 예술의 새로운 흐름>
1. 철학 : 실존주의 등장, 마르크스주의 영향, 문화 다원주의 인정
2. 문학 : 참여 문학의 등장, 유럽의 비중 감소, 남미 비중의 증가
3. 역사 : 정치사에서 사회사와 문화사 중심으로 변화
4. 예술 : 추상화와 신사실주의의 등장, 12음계법의 등장, 참여 연극의 발달 등
(5) 사회주의권의 붕괴와 급변하는 세계
<독일의 통일과 동유럽 공산 체제의 붕괴>
1. 분단 :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미국과 소련에 의해 동 서독으로 분단
2. 통일 : 베를린 장벽 붕괴 (1989), 서독에 의한 흡수 통일 (1990)
3. 동유럽 공산주의와 소련의 붕괴
(1) 소련의 붕괴 : 고르바초프의 개혁(페레스트로이카)와 개방(글라스노스트)의 추진
공산당 해산과 소련의 해체 (1991) 15개국의 탄생과 독립국가연합 결성 (CIS)
(2) 동유럽의 민주화 운동 : 헝가리 복수 정당제 도입, 폴란드 자유선거 실시 등
4. 동유럽과 소련 붕괴 이후에 나타난 문제 : 빈부 격차의 확대, 민족주의의 고조로 인한 종교와 민족의 갈등 초래 등 ( 유고 내전 등의 발발)
<중국의 개혁, 개방정책>
1. 사회주의 국가 건설 : 중국 공산당의 국공내전 승리와 중화 인민 공화국 건설 (1949)
사회주의 경제 정책의 실시와 대약진 운동 전개
2. 개혁개방 정책 : 문화 대혁명 (1966) 대약진 운동의 실패 이후 대두한 실용주의 세력의 축출
3. 덩샤오핑의 ‘4대 현대화’ 추진 : 시장 경제 원리의 부분적 도입
흑묘 백묘론 : 검은고양이든 흰 고양이든 고양이가 쥐만 잘 잡으면 된다는 뜻으로 인민의 경제력 향상을 위해서는 사회주의든 자본주의든 상관없다라는 실용주의 노선을 천명한 것.
<유럽 연합의 성립 과정>
1. 배경 : 전후 세계 각국에 대한 유럽의 영향력 감소, 및 경제적 어려움
2. 과정 : 유럽 경제 공동체 (EEC) 유럽 공동체 (EC) 유럽 연합 (EU, 마스트리히트 조약)
관세장벽의 철폐와 유로화라는 단일 통화를 사용 현재 15개국이 가입
(6) 오늘날 세계가 안고 있는 문제들
<분쟁지역>
1. 중부와 동부 유럽 : 민족과 종교의 갈등으로 인한 분쟁 발생
2. 중남미 : 빈부격차(남북문제), 이념 차이 등으로 내전 발생
3. 중동지방 : 종교와 민족, 국가간의 문제
4. 동티모르 사태 : 인도네시아에 대해 독립운동 전개
5. 카슈미르 분쟁 : 카슈미르 지역 영유권을 주장하는 인도와 파키스탄의 분쟁
<각종 문제들>
1. 남북문제 : 선진국과 개발도상국 간의 경제적 갈등으로 표출, 국제연합 무역 개발 회의 설립 (UNCTAD, 1964)
2. 평화문제 : 핵 확산 금지조약 성립 (NPT, 1968), 국제 원자력 기구 성립 (IAEA)
3. 환경문제
(1) 리우선언 : (1992 / ESSD 제시 ‘환경적으로 건전하고 지속 가능한 개발’)
(2) 국제연합 환경개발회의 (UNCED, 1992)
(3) GR 협상(환경보존기준이 낮은 나라는 국제무역에서 제재), 그린피스 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