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서양문화에 대한 거부와 저항(명말 청초에서 오사시기까지)
2. 양무운동과 과학과느이 변화
3. 中日戰爭과 기물적 과학관의 종말
4. 변법파의 사상
2. 양무운동과 과학과느이 변화
3. 中日戰爭과 기물적 과학관의 종말
4. 변법파의 사상
본문내용
등장 → 변법유신(變法維新)
법은 도, 유신은 개혁적 측면(혁명적까지는 아님)
*당세의 정세는 서태후가 수렴청정
이에 걍유위, 양계초, 담사동, 엄복 +광서황제 →변법유신 단행
→원세개(위안스카이)에의한 배신(중국의 근대화가 늦어짐.)
*변법유신으로 천, 지 , 인에 대한 관념이 달라짐.
1)강유위
-제천강: 여러 하늘(우주)에 대해서 이야기한다.
천은 의지, 도적적 천이아닌 물질적 천.
-대동서(이면에는 불교의 사상 근간으로..ex)극락에 이른다.)
:공양삼세설(거란세---승평세---대평세=대동세)
→혼란이 정리되는 시기---평화가 오지만 완전한 평화는X---유토피아
(만사가 인격적으로 평등하지는X)
9)유계를 없애고→만사만물을 동일하게 여기는것.
*강유위는 중국을 떠나본적도 없고 서양이론에 밝은편이 아니라
이론의 혼재, 전통적 입장
*번역의 원칙
: 신(믿음이 있어야..증거, 고증), 달(원문, 내용에 통달), 아(번역 자체에 기품이 있어야)
*엄복의 천연론(천은 자연으로서의 천, 연은 변화)
-약육강식
-적자생존: 적응하는이가 살아남는다.
-생존경쟁: 생물도태론에서 나온 사상
-도태: "자연도태"의 줄임말로 현실적으로 필요하지 않은 부분이나 존재는 자연적으로
퇴화되거나 소멸된다는 의미. 자연과학에서의 진화론이 사회에 적용되어 사회진화 론으로 발전되면서 중국민족이 분발하지 않으면 도태되고 말 것이라는 점을
강조한 것
*진화를 진보로 이해
∴강유위와 엄복이 전통적 천에 대한 인식을 바꿨다면
뒤의 양계초와 담사동은 전통적 인에 대한 인식을 바꿈.
3)양계초
-현실적 삶은 과학, 기술이 해결, 내세적 삶은 철학, 종교가 해결(이분법적 사고)
-현실적 삶도 바라봄으로써 인간에 대한 이해방식이 달라짐.
4)담사동(강유위나 엄복같이 도망갈 수 있었으나 기꺼이 죽음을 받아들임.)
-두 곤륜(강유위와 왕호), 왕호는 담사동의 스승(무술적 스승)
-자신이 추동하던 양명학과 불교에 서양의 화학과 물리학을 합쳐 도서를 씀.
-<인학>
·충결망락
→충결은 타파, 망락은 모든 굴레-인륜, 도덕(이로서 사람의 본성을 억제하는 굴레)
·통의 중요성 강조
중외통(중국과 서양), 상하통(윗사람과 아랫사람), 내외통(남녀), 인아통(타자와 나)
·심력의 강조(서양의 심리학 서적을 읽고 만들어낸 개념이라 추측)
→인간의 마음은 외부로 뻗어나갈 수 있고 다른사람에 영향을 줌.
·기가 도를 결정한다는 전통적 입장과 배치되는 주장.
법은 도, 유신은 개혁적 측면(혁명적까지는 아님)
*당세의 정세는 서태후가 수렴청정
이에 걍유위, 양계초, 담사동, 엄복 +광서황제 →변법유신 단행
→원세개(위안스카이)에의한 배신(중국의 근대화가 늦어짐.)
*변법유신으로 천, 지 , 인에 대한 관념이 달라짐.
1)강유위
-제천강: 여러 하늘(우주)에 대해서 이야기한다.
천은 의지, 도적적 천이아닌 물질적 천.
-대동서(이면에는 불교의 사상 근간으로..ex)극락에 이른다.)
:공양삼세설(거란세---승평세---대평세=대동세)
→혼란이 정리되는 시기---평화가 오지만 완전한 평화는X---유토피아
(만사가 인격적으로 평등하지는X)
9)유계를 없애고→만사만물을 동일하게 여기는것.
*강유위는 중국을 떠나본적도 없고 서양이론에 밝은편이 아니라
이론의 혼재, 전통적 입장
*번역의 원칙
: 신(믿음이 있어야..증거, 고증), 달(원문, 내용에 통달), 아(번역 자체에 기품이 있어야)
*엄복의 천연론(천은 자연으로서의 천, 연은 변화)
-약육강식
-적자생존: 적응하는이가 살아남는다.
-생존경쟁: 생물도태론에서 나온 사상
-도태: "자연도태"의 줄임말로 현실적으로 필요하지 않은 부분이나 존재는 자연적으로
퇴화되거나 소멸된다는 의미. 자연과학에서의 진화론이 사회에 적용되어 사회진화 론으로 발전되면서 중국민족이 분발하지 않으면 도태되고 말 것이라는 점을
강조한 것
*진화를 진보로 이해
∴강유위와 엄복이 전통적 천에 대한 인식을 바꿨다면
뒤의 양계초와 담사동은 전통적 인에 대한 인식을 바꿈.
3)양계초
-현실적 삶은 과학, 기술이 해결, 내세적 삶은 철학, 종교가 해결(이분법적 사고)
-현실적 삶도 바라봄으로써 인간에 대한 이해방식이 달라짐.
4)담사동(강유위나 엄복같이 도망갈 수 있었으나 기꺼이 죽음을 받아들임.)
-두 곤륜(강유위와 왕호), 왕호는 담사동의 스승(무술적 스승)
-자신이 추동하던 양명학과 불교에 서양의 화학과 물리학을 합쳐 도서를 씀.
-<인학>
·충결망락
→충결은 타파, 망락은 모든 굴레-인륜, 도덕(이로서 사람의 본성을 억제하는 굴레)
·통의 중요성 강조
중외통(중국과 서양), 상하통(윗사람과 아랫사람), 내외통(남녀), 인아통(타자와 나)
·심력의 강조(서양의 심리학 서적을 읽고 만들어낸 개념이라 추측)
→인간의 마음은 외부로 뻗어나갈 수 있고 다른사람에 영향을 줌.
·기가 도를 결정한다는 전통적 입장과 배치되는 주장.
추천자료
불교사상의 기본 이론
동양전통 무도수련의 변화와 현대적 의미에 관한 소고
동서양사상에서의 환경윤리 비교
공자사상의 현대적 재해석
[유토피아][유토피아 발상][유토피아 개념][유토피아와 디스토피아][동양과 서양의 유토피아]...
[주자, 주자의 사상] 주자의 사상과 철학
[도가사상]道(도)의 정의, 道(도)의 깨달음, 도가사상(노장사상)의 개념, 도가사상(노장사상)...
[동양문화] 그들이 본 동양 - 觀識문화 캐릭터에서 드러나는 동양인에 대한 서양인들의 특징...
[우주관][프톨레마이오스 우주관][근대시대 우주관][서양 우주관][동양 우주관][도가 우주관]...
[인간관][플라톤 인간관][정산종사 인간관][순자 인간관][동양 인간관][서양][불교][성리학]...
[동양][동양인간관][동양우주관][동양시공간][동양과학]동양과 동양인간관, 동양과 동양우주...
[환경관][동양][서양][고구려][정산종사][유교적 환경관][도교적 환경관][불교적 환경관][유...
[중화사상, 중화사상 의미, 중화사상 역사, 중화사상의 민족중심문화, 중화사상의 우월의식, ...
한용운(韓龍雲)이 말하는 사상 연구 - 침묵에 관한 연구, 시에 나타난 님의 견해, 승려 한용...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