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출표시]동양사상입문 12강(성균관대학교 한성구 교수님)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기출표시]동양사상입문 12강(성균관대학교 한성구 교수님)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서양문화에 대한 거부와 저항(명말 청초에서 오사시기까지)

2. 양무운동과 과학과느이 변화

3. 中日戰爭과 기물적 과학관의 종말

4. 변법파의 사상

본문내용

등장 → 변법유신(變法維新)
법은 도, 유신은 개혁적 측면(혁명적까지는 아님)
*당세의 정세는 서태후가 수렴청정
이에 걍유위, 양계초, 담사동, 엄복 +광서황제 →변법유신 단행
→원세개(위안스카이)에의한 배신(중국의 근대화가 늦어짐.)
*변법유신으로 천, 지 , 인에 대한 관념이 달라짐.
1)강유위
-제천강: 여러 하늘(우주)에 대해서 이야기한다.
천은 의지, 도적적 천이아닌 물질적 천.
-대동서(이면에는 불교의 사상 근간으로..ex)극락에 이른다.)
:공양삼세설(거란세---승평세---대평세=대동세)
→혼란이 정리되는 시기---평화가 오지만 완전한 평화는X---유토피아
(만사가 인격적으로 평등하지는X)
9)유계를 없애고→만사만물을 동일하게 여기는것.
*강유위는 중국을 떠나본적도 없고 서양이론에 밝은편이 아니라
이론의 혼재, 전통적 입장
*번역의 원칙
: 신(믿음이 있어야..증거, 고증), 달(원문, 내용에 통달), 아(번역 자체에 기품이 있어야)
*엄복의 천연론(천은 자연으로서의 천, 연은 변화)
-약육강식
-적자생존: 적응하는이가 살아남는다.
-생존경쟁: 생물도태론에서 나온 사상
-도태: "자연도태"의 줄임말로 현실적으로 필요하지 않은 부분이나 존재는 자연적으로
퇴화되거나 소멸된다는 의미. 자연과학에서의 진화론이 사회에 적용되어 사회진화 론으로 발전되면서 중국민족이 분발하지 않으면 도태되고 말 것이라는 점을
강조한 것
*진화를 진보로 이해
∴강유위와 엄복이 전통적 천에 대한 인식을 바꿨다면
뒤의 양계초와 담사동은 전통적 인에 대한 인식을 바꿈.
3)양계초
-현실적 삶은 과학, 기술이 해결, 내세적 삶은 철학, 종교가 해결(이분법적 사고)
-현실적 삶도 바라봄으로써 인간에 대한 이해방식이 달라짐.
4)담사동(강유위나 엄복같이 도망갈 수 있었으나 기꺼이 죽음을 받아들임.)
-두 곤륜(강유위와 왕호), 왕호는 담사동의 스승(무술적 스승)
-자신이 추동하던 양명학과 불교에 서양의 화학과 물리학을 합쳐 도서를 씀.
-<인학>
·충결망락
→충결은 타파, 망락은 모든 굴레-인륜, 도덕(이로서 사람의 본성을 억제하는 굴레)
·통의 중요성 강조
중외통(중국과 서양), 상하통(윗사람과 아랫사람), 내외통(남녀), 인아통(타자와 나)
·심력의 강조(서양의 심리학 서적을 읽고 만들어낸 개념이라 추측)
→인간의 마음은 외부로 뻗어나갈 수 있고 다른사람에 영향을 줌.
·기가 도를 결정한다는 전통적 입장과 배치되는 주장.
  • 가격1,0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10.09.01
  • 저작시기2010.6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2884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