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호흡기계 질환
호흡기계 공통 간호 중재
호흡기계 공통 간호 중재
본문내용
의사소통을 할 수 있는 가장 좋은 방법을 환자와 함께 고안한다.(연필과 종이, 입술 움직임, 코드 메시지)
a. 효과적으로 구강용 전기후두기구를 작동시켜 구강으로 의사소통을 할 수 있다.
b. 침대 주위에 간호사를 부를 수 있는 call bell등을 설치한다.
⑤ "영구적인가요?" "호흡에 영향을 미치지 않나요?" "누군가 저와 함께 있어 주나요?" 같은 질문을 예상
4) 산소요법(Administering oxygen therapy)
산소는 무취, 무미, 무색의 공기보다 약간 무거운 투명한 가스이다. 산소는 산소통이나 액체형 산소통, 농축된 산소로 투여될 수 있다. 이는 비강 캐뉼라, 기관 내에 넣는 카테터 및 여러 가지 형태의 마스크로 투여될 수 있다. 또한 인공호흡기나 T관 소생백에 연결시켜 직접 기관 내에 투여할 수 있다. 산소투여 방법도 필요한 산소농도, 투여할 산소농도의 다양성 및 인공호흡기의 종류에 따라 선택할 수 있다.
가. 산소투여 방법
(1) 비강캐뉼라- nasal prongs은 산소의 흐름을 적게 하면서 투여한다.
a. 코로 호흡하는 것이 필요하다.
b. 산소농도가 40% 이상은 투여할 수 없다.
(2) 단순마스크- 코와 입으로 중등도의 산소를 투여한다.
a. 40~60%의 산소농도를 투여한다.
(3) 벤투리 마스크- 산소와 공기를 혼합하여 일정량의 산소농도를 투여한다.
a. 마스크에 맞는 총 가스의 흐름은 최고 산소흡입률에 맞는다.
다른 마스크가 환자의 흡식흐름률에 맞지 않을 때 마스크 옆의 구멍을 통한 방안 공기가 마스크에 의해 가스혼합이 제공되어 흡입된 산소농도를 낮추게 된다.
b. 벤투리 마스크는 고농도의 산소의 흐름으로 고정시키나 다양한 공기의 흐름을 만들어 일정한 산소 농도를 제공한다. 산소는 높은 속력으로 제한된 구멍으로 들어간다. 방안 공기 또한 산소와 합해져서 이 구멍으로 들어간다. 높은 속력일수록 더 많은 방안 공기가 마스크 안으로 들어간다.
c. 마스크로 들어가는 양은 1분에 약 97L(24%)에서 33L(50%)까지의 범위이다.
d. 실제로 탄산가스가 재호흡되는 것을 제거한다.
마스크에 있는 개구부를 통해 호기된 CO2와 함께 많은 탄산가스가 제거된다.
(4) 부분적 재호흡 마스크는 100% 산소가 저장된 팽창백을 가지고 있다.
a. 흡기시 환자는 마스크와 백에서 흡입하고 호기시 백은 산소로 채워지고 배출된 가스는 마스크 양 옆 구멍을 통해 배출된다.
b. 고농도 산소(50~70%)가 투여된다.
(5) 재호흡 방지형 마스크는 100%산소를 저장하기 위한 팽창할 수 있는 백이 있고 배출되는 공기가 백으로 들어가는 것을 막는 일방향 판막이 백과 마스크 사이에 있다.
a. 일방향 판막은 흡기시 방안 공기가 들어가는 것을 막기 위해 한쪽 혹은 양쪽에- exhalation port 로 덮여 있다.
b. 방안 공기가 들어가도록 되어 있는 스프링이 있는 판막은 산소의 흐름을 막거나 환자의 요구가 산소의 흐름을 초과하게 된다.
c. 모든 환자의 흡기량은 마스크/저장용기에 의해 제공될 것이며 거의 100%의 산소를 공급하는 것이 가장 적절하다.
(6) 횡기관카테터- 작은 카테터(8Fr.)를 둘째와 셋째 기관연골 사이에 삽입한다.
a. 이는 말하는 것이나 먹는 것, 마시는 것에 지장을 주지 않으며 셔츠나 블라우스 안으로 감추어질 수 있다.
b. 모든 산소가 직접 페로 가기 때문에 산소전달이 효과적이다.
c. 계속적으로 가정에서 산소요법을 받아야 하는 환자(방안에서 Pao2가 55mmHg 이하인)는 비강캐뉼라 대신 이 방법을 사용한다.
(7) 계속적 기도양압(CPAP) 마스크는 기관내삽관을 하지 않고 호기말 기도 양압(PEEP)과 비스산 호흡기도양압을 제공하기 위해 사용한다.
a. 얼굴에 꼭 맞게 디자인된 팽창하는 쿠션과 머리끈이 있다.
b. 호기말기도 양압(PEEP) 판막은 호흡시 양압을 유지하기 위한 호흡포트와 관련된다.
c. 높은 흡기율은 흡기시 양압을 유지하기 위해 필요하다.
(8) T-piece(briggs) adapter는 기관내관이 있는 환자나 기관절개관이 있는 환자로서 자발적으로 호흡을 하는 환자에게 산소를 투여하기 위해 사용된다.
a. 고농도의 습도와 산소는 기관의 넓은 구멍으로 들어간다.
b. 배출된 가스는 열려진 저장관을 통해 배출된다.
(9) ambu백은 숨을 들이마시는 힘이 약한 환자에게 고농도의 산소를 공급한다.
a. 마스크를 코와 입에 씌운 후 상기도로 산소를 공급한다.
b. 마스크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 접속기를 기관내관이나 기관절개관에 맞춘다.
c. 심폐소생술시 보통 사용하고 흡인 중 호흡을 충분히 해줄 때나 인공호흡기를 사용하고 있는 환자를 이송할 때 사용한다.
나. 간호사정과 중재
(1) 저산소증의 증상을 관찰하여 산소의 요구를 사정한다.
a. 빈호흡
b. 빈맥 또는 부정맥(조기 심실 수축)
c. 의식수준의 변화(뇌산화가 감소된 증상은 치료를 하지 않으면 불안정, 혼동, 무기력 및 혼수가 나타난다.)
d. 청색증- 후기 증상으로 발생한다(Pao≤45mmHg)
e. 호흡부담(labored respiration)- 심한 호흡기 장애를 나타낸다.
f. 심근 스트레스- 심박동수와 심박출량의 증가는 저산소혈증 또는 저산소증에 대한 일차적 보상기전이다.
(2) 동맥혈가스를 검사하고 환자의 현재 산화상태와 산-염기균형을 사정한 후에 적절한 형태의 산소요법을 선택한다.
(3) 적절한 농도의 산소를 투여한다.
a. 저농도(24~28%)- 이산화탄소가 정체하는 경향이 있는 환자에게 적절하다.(만성폐색성 폐질환, 약 과다복용) 이런 환자들은 호흡 유지를 위해 저산소혈증에 의존한다. 저산소혈증이 갑자기 호전되면 산소를 요구하는 반응이 소실하게 되며 호흡기 정지가 발생한다.
b. 고농도(≥30%)- 이산화탄소 정체를 유발하지 않는 환자에게 적절하다.
(4) oximetry와 ABGA를 사용하여 치료에 대한 반응을 관찰한다.
(5) 환자의 상태에 따라 산소포화도(Fio2)를 올리거나 내린다. 산소가 사용되는 곳에서는 반드시 금연해야 한다.
a. 효과적으로 구강용 전기후두기구를 작동시켜 구강으로 의사소통을 할 수 있다.
b. 침대 주위에 간호사를 부를 수 있는 call bell등을 설치한다.
⑤ "영구적인가요?" "호흡에 영향을 미치지 않나요?" "누군가 저와 함께 있어 주나요?" 같은 질문을 예상
4) 산소요법(Administering oxygen therapy)
산소는 무취, 무미, 무색의 공기보다 약간 무거운 투명한 가스이다. 산소는 산소통이나 액체형 산소통, 농축된 산소로 투여될 수 있다. 이는 비강 캐뉼라, 기관 내에 넣는 카테터 및 여러 가지 형태의 마스크로 투여될 수 있다. 또한 인공호흡기나 T관 소생백에 연결시켜 직접 기관 내에 투여할 수 있다. 산소투여 방법도 필요한 산소농도, 투여할 산소농도의 다양성 및 인공호흡기의 종류에 따라 선택할 수 있다.
가. 산소투여 방법
(1) 비강캐뉼라- nasal prongs은 산소의 흐름을 적게 하면서 투여한다.
a. 코로 호흡하는 것이 필요하다.
b. 산소농도가 40% 이상은 투여할 수 없다.
(2) 단순마스크- 코와 입으로 중등도의 산소를 투여한다.
a. 40~60%의 산소농도를 투여한다.
(3) 벤투리 마스크- 산소와 공기를 혼합하여 일정량의 산소농도를 투여한다.
a. 마스크에 맞는 총 가스의 흐름은 최고 산소흡입률에 맞는다.
다른 마스크가 환자의 흡식흐름률에 맞지 않을 때 마스크 옆의 구멍을 통한 방안 공기가 마스크에 의해 가스혼합이 제공되어 흡입된 산소농도를 낮추게 된다.
b. 벤투리 마스크는 고농도의 산소의 흐름으로 고정시키나 다양한 공기의 흐름을 만들어 일정한 산소 농도를 제공한다. 산소는 높은 속력으로 제한된 구멍으로 들어간다. 방안 공기 또한 산소와 합해져서 이 구멍으로 들어간다. 높은 속력일수록 더 많은 방안 공기가 마스크 안으로 들어간다.
c. 마스크로 들어가는 양은 1분에 약 97L(24%)에서 33L(50%)까지의 범위이다.
d. 실제로 탄산가스가 재호흡되는 것을 제거한다.
마스크에 있는 개구부를 통해 호기된 CO2와 함께 많은 탄산가스가 제거된다.
(4) 부분적 재호흡 마스크는 100% 산소가 저장된 팽창백을 가지고 있다.
a. 흡기시 환자는 마스크와 백에서 흡입하고 호기시 백은 산소로 채워지고 배출된 가스는 마스크 양 옆 구멍을 통해 배출된다.
b. 고농도 산소(50~70%)가 투여된다.
(5) 재호흡 방지형 마스크는 100%산소를 저장하기 위한 팽창할 수 있는 백이 있고 배출되는 공기가 백으로 들어가는 것을 막는 일방향 판막이 백과 마스크 사이에 있다.
a. 일방향 판막은 흡기시 방안 공기가 들어가는 것을 막기 위해 한쪽 혹은 양쪽에- exhalation port 로 덮여 있다.
b. 방안 공기가 들어가도록 되어 있는 스프링이 있는 판막은 산소의 흐름을 막거나 환자의 요구가 산소의 흐름을 초과하게 된다.
c. 모든 환자의 흡기량은 마스크/저장용기에 의해 제공될 것이며 거의 100%의 산소를 공급하는 것이 가장 적절하다.
(6) 횡기관카테터- 작은 카테터(8Fr.)를 둘째와 셋째 기관연골 사이에 삽입한다.
a. 이는 말하는 것이나 먹는 것, 마시는 것에 지장을 주지 않으며 셔츠나 블라우스 안으로 감추어질 수 있다.
b. 모든 산소가 직접 페로 가기 때문에 산소전달이 효과적이다.
c. 계속적으로 가정에서 산소요법을 받아야 하는 환자(방안에서 Pao2가 55mmHg 이하인)는 비강캐뉼라 대신 이 방법을 사용한다.
(7) 계속적 기도양압(CPAP) 마스크는 기관내삽관을 하지 않고 호기말 기도 양압(PEEP)과 비스산 호흡기도양압을 제공하기 위해 사용한다.
a. 얼굴에 꼭 맞게 디자인된 팽창하는 쿠션과 머리끈이 있다.
b. 호기말기도 양압(PEEP) 판막은 호흡시 양압을 유지하기 위한 호흡포트와 관련된다.
c. 높은 흡기율은 흡기시 양압을 유지하기 위해 필요하다.
(8) T-piece(briggs) adapter는 기관내관이 있는 환자나 기관절개관이 있는 환자로서 자발적으로 호흡을 하는 환자에게 산소를 투여하기 위해 사용된다.
a. 고농도의 습도와 산소는 기관의 넓은 구멍으로 들어간다.
b. 배출된 가스는 열려진 저장관을 통해 배출된다.
(9) ambu백은 숨을 들이마시는 힘이 약한 환자에게 고농도의 산소를 공급한다.
a. 마스크를 코와 입에 씌운 후 상기도로 산소를 공급한다.
b. 마스크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 접속기를 기관내관이나 기관절개관에 맞춘다.
c. 심폐소생술시 보통 사용하고 흡인 중 호흡을 충분히 해줄 때나 인공호흡기를 사용하고 있는 환자를 이송할 때 사용한다.
나. 간호사정과 중재
(1) 저산소증의 증상을 관찰하여 산소의 요구를 사정한다.
a. 빈호흡
b. 빈맥 또는 부정맥(조기 심실 수축)
c. 의식수준의 변화(뇌산화가 감소된 증상은 치료를 하지 않으면 불안정, 혼동, 무기력 및 혼수가 나타난다.)
d. 청색증- 후기 증상으로 발생한다(Pao≤45mmHg)
e. 호흡부담(labored respiration)- 심한 호흡기 장애를 나타낸다.
f. 심근 스트레스- 심박동수와 심박출량의 증가는 저산소혈증 또는 저산소증에 대한 일차적 보상기전이다.
(2) 동맥혈가스를 검사하고 환자의 현재 산화상태와 산-염기균형을 사정한 후에 적절한 형태의 산소요법을 선택한다.
(3) 적절한 농도의 산소를 투여한다.
a. 저농도(24~28%)- 이산화탄소가 정체하는 경향이 있는 환자에게 적절하다.(만성폐색성 폐질환, 약 과다복용) 이런 환자들은 호흡 유지를 위해 저산소혈증에 의존한다. 저산소혈증이 갑자기 호전되면 산소를 요구하는 반응이 소실하게 되며 호흡기 정지가 발생한다.
b. 고농도(≥30%)- 이산화탄소 정체를 유발하지 않는 환자에게 적절하다.
(4) oximetry와 ABGA를 사용하여 치료에 대한 반응을 관찰한다.
(5) 환자의 상태에 따라 산소포화도(Fio2)를 올리거나 내린다. 산소가 사용되는 곳에서는 반드시 금연해야 한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