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노부모와 성인 자녀 관계
Ⅰ. 애정적 유대감
Ⅱ. 세대 간의 이해관계
Ⅲ. 노부모와 성인자녀와의 상호 교류
1. 상호 교류
2. 상호교류 실태
가) 심리, 정서적 교류
나) 경제적 교류
다) 서비스적 교류
Ⅰ. 애정적 유대감
Ⅱ. 세대 간의 이해관계
Ⅲ. 노부모와 성인자녀와의 상호 교류
1. 상호 교류
2. 상호교류 실태
가) 심리, 정서적 교류
나) 경제적 교류
다) 서비스적 교류
본문내용
인 것으로 보고하고 있다. 따라서 노부모와 성인자녀 간의 경제적 교류는 활발하다고 해도 갈등과 의존감을 수반하기 때문에 각자 서로의 경제력을 갖는 것이 현명하다고 할 수 있다. 또한 경제적 교류는 배경변인 중 종교가 있는 경우와, 자녀와 동거하는 경우에 의미 있는 결과를 보여 결국 사회활동을 하면서 자녀와의 접촉이 빈번한 노인이 자녀와의 경제적 교류도 높음을 보여주고 있다.
다) 서비스적 교류: 자녀와의 서비스적 교류는 여자노인이 남자노인보다 높게 나타나, 일반적으로 가족과의 일상적인 교류는 여자노인 쪽이 더 빈번함을 알 수 있다. 이는 남자노인이 가정 내에서 소외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기도 하다. 또한 수입이 높을 때와 배우자가 있을 때 자녀와의 서비스적 교류가 더 높게 나타나고 있다. 노인이 지각한 교류간의 상관관계를 보면 경제적 교류가 활발할수록 서비스적 교류도 활발함을 보여 노부모는 자녀로부터 경제적 도움을 많이 받을수록 서비스적 도움을 많이 제공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한편 건설교통부는 수도권 신혼부부 526방을 대상으로 한 주거선호 성향에 관한 연구에서 현재 부모와 함께 살기를 원하는 비율(34.1%)이 부모와 동거하는 비율(14 8%)을 크게 웃도는 것으로 보고하였다. 이는 부모와 동거하면 신혼부부의 경우 주택자금 마련에 도움을 받을 수 있을 뿐 아니라, 맞벌이 부부는 자녀의 육아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기 때문인 것으로 풀이된다. 만일 여기에 부모와 자녀와의 동거로부터 오는 정서적인 상호 원조까지 감안한다면 이른바 경제적 교류 및 서비스적 교류, 그러고 정서적 교류까지 갖춘 상호교류의 상황이 되는 셈이다.
외국의 경우 신구세대간의 유대를 강화하는 복잡한 활동에 대한 모델을 적용한 보스들 지역의 연구결과를 보면(Rossi & Rossi, 1990), 세대간의 관심과 상호작용, 그리고 세대 간의 주고받는 원조가 크게 강화되었음을 보고하고 있다. 또한 가구와 가족에 대한 전국조사(Eggebeen & Hogan, 1990)에서와 건강과 은퇴 조사 연구에서도 뇨부모와 성인자녀 간에 다량의 다양한 원조를 주고받고 있으며 서로 상호 교류하며 돕고 살고 있음을 보여 주고 있다.
이로써 우리가 알 수 있는 바는 노부모는 자녀로부터 원조를 받기만 하는 의존적인 존재가 아니라 그들 가족에 원조를 제공하기도 하는 상호교류자이며, 상당수의 노인이 가족. 특히 성인자녀에게 도움을 주고 있다는 사실이다.
다) 서비스적 교류: 자녀와의 서비스적 교류는 여자노인이 남자노인보다 높게 나타나, 일반적으로 가족과의 일상적인 교류는 여자노인 쪽이 더 빈번함을 알 수 있다. 이는 남자노인이 가정 내에서 소외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기도 하다. 또한 수입이 높을 때와 배우자가 있을 때 자녀와의 서비스적 교류가 더 높게 나타나고 있다. 노인이 지각한 교류간의 상관관계를 보면 경제적 교류가 활발할수록 서비스적 교류도 활발함을 보여 노부모는 자녀로부터 경제적 도움을 많이 받을수록 서비스적 도움을 많이 제공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한편 건설교통부는 수도권 신혼부부 526방을 대상으로 한 주거선호 성향에 관한 연구에서 현재 부모와 함께 살기를 원하는 비율(34.1%)이 부모와 동거하는 비율(14 8%)을 크게 웃도는 것으로 보고하였다. 이는 부모와 동거하면 신혼부부의 경우 주택자금 마련에 도움을 받을 수 있을 뿐 아니라, 맞벌이 부부는 자녀의 육아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기 때문인 것으로 풀이된다. 만일 여기에 부모와 자녀와의 동거로부터 오는 정서적인 상호 원조까지 감안한다면 이른바 경제적 교류 및 서비스적 교류, 그러고 정서적 교류까지 갖춘 상호교류의 상황이 되는 셈이다.
외국의 경우 신구세대간의 유대를 강화하는 복잡한 활동에 대한 모델을 적용한 보스들 지역의 연구결과를 보면(Rossi & Rossi, 1990), 세대간의 관심과 상호작용, 그리고 세대 간의 주고받는 원조가 크게 강화되었음을 보고하고 있다. 또한 가구와 가족에 대한 전국조사(Eggebeen & Hogan, 1990)에서와 건강과 은퇴 조사 연구에서도 뇨부모와 성인자녀 간에 다량의 다양한 원조를 주고받고 있으며 서로 상호 교류하며 돕고 살고 있음을 보여 주고 있다.
이로써 우리가 알 수 있는 바는 노부모는 자녀로부터 원조를 받기만 하는 의존적인 존재가 아니라 그들 가족에 원조를 제공하기도 하는 상호교류자이며, 상당수의 노인이 가족. 특히 성인자녀에게 도움을 주고 있다는 사실이다.
키워드
추천자료
현행 지방자치제와 교육자치제도의 특징, 문제점 및 그 개선방향에 대한 연구
아동보육의 문제점 및 개선방안
장애인복지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및 과제
장애인복지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및 과제(A+레포트)
[사회복지행정][사회복지][복지]사회복지행정의 현황, 역사 및 발전방향(사회복지행정의 정의...
고용보험제도의 정의,의의, 고용보험제도의 도입과정,유형, 고용보험제도의 기능, 고용보험제...
CRM의 개념, 특징, 목적, 기대효과, 구성, 도입사례, 구축과정, 구축의 문제점 및 개선방안과...
[전자화폐][각국 전자화폐 개발 사례]각국의 전자화폐 개발 사례를 통해 본 전자화폐의 특징...
전환교육(특수교육, 직업)의 정의, 전환교육(특수교육, 직업)의 필요성, 전환교육(특수교육, ...
[수행평가][수행][평가][교육평가][교육]수행평가의 정의, 수행평가의 유형, 수행평가의 일반...
대학수학능력시험(수능시험)의 특징과 기본체제, 대학수학능력시험(수능시험) 개편내용, 대학...
기업 전자상거래(EC)의 개념, 의의, 기업 전자상거래(EC)의 규모, 기업 전자상거래(EC)의 현...
[금융제도론 A형] 우리나라 금융지주회사의 특징과 현황을 조사·정리해보시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