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기능가족의 치료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 정상가족과 행동장애 발달

1) 정상가족

2) 행동장애가족(역기능가족)

제 2절 치료의 목표와 행동변화의 조건

1) 치료의 목표

2) 행동변화의 조건

참 고

본문내용

발생의 기준 빈도를 결정하여 치료의 성공에 관련된 적절한 피드백을 제공하게 한다는 것과 각각의 독특한 내담자 가족의 강화 유관을 수정하기 위해 고안된 구체적 전략들임
* 주의 깊은 관찰 : 행동을 통제하기 위한 필수 조건임. 치료사들이 우선 할 일은 문제행동의 빈도와 존속 시간을 비롯해서 문제행동에 선행하는 자극 조건들과 그것에 뒤따르는 강화까지도 관찰하고 기록하는 것임. 이것을 통해 치료사는 개별적으로 잘 맞추어진 치료 프로그램을 계획할 수 있음
* 행동변화를 이루기 위해서는 긍정적 행동을 가속시키는 것이 부정적 행동을 감속시키는 것보다 더 효과적이라는 것이 인지행동주의 가족치료의 주요 신념인데, 공격적인 아동의 반사회적 행동을 제거하기 위해서는 처벌을 도입할 필요가 있지만 인지행동주의 가족치료사는 일반적으로 혐오 통제나 소멸과 같은 강제적 부분을 줄여 나가려고 노력함 * 따라서 행동주의 가족치료에서 일관되고 폭넓게 사용되는 것은 오직 긍정적 강화뿐이라고 할 수 있음
참 고
유 영주(1989). 한국가족의 기능연구
1980, 유 영주 외, 2004, 최 규련 2007
박승희(2005), 『한국사회복지정책론』, 성균관대학교출판부.
여성가족부
보건복지부
  • 가격2,800
  • 페이지수4페이지
  • 등록일2012.04.10
  • 저작시기2012.4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73912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