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정신보건법
1. 정신보건법의 연혁
2. 정신보건법의 입법목적과 이념
3. 정신보건법의 주요 법조항
참 고
1. 정신보건법의 연혁
2. 정신보건법의 입법목적과 이념
3. 정신보건법의 주요 법조항
참 고
본문내용
를 위한 훈련을 실시하여야 한다.<개정 2008.2.29>
④ 사회복귀시설의 시설기준, 수용인원, 종사자 수 및 자격, 설치·운영신고, 변경신고, 이용 및 운영에 관하여 필요한 사항은 보건복지가족부령으로 정한다.<개정 2008.2.29>
⑤ 국가 또는 지방자치단체는 필요한 경우 사회복귀시설을 사회복지법인 또는 비영리법인에게 위탁하여 운영할 수 있다.<신설 2008.3.21>
⑥ 제5항에 따른 위탁운영의 기준·기간 및 방법 등에 관하여 필요한 사항은 보건복지가족부령으로 정한다.<신설 2008.3.21>[전문개정 2004.1.29]
제16조(사회복귀시설의 종류)
① 사회복귀시설의 종류는 다음 각 호와 같다.
1. 정신질환자생활시설 : 정신질환자가 필요한 기간 동안 생활하면서 재활에 필요한 상담·훈련 등의 서비스를 받아 사회복귀를 준비하거나 장애로 인하여 장기간 생활하는 시설
2. 정신질환자지역사회재활시설 : 정신질환자복지관, 의료재활시설, 체육시설, 수련시설, 공동생활가정 등 정신질환자에게 전문적인 상담·훈련 등을 제공하거나 여가활동 및 사회참여활동 등에 필요한 편의를 제공하는 시설
3. 정신질환자직업재활시설 : 일반고용이 어려운 정신질환자가 특별히 준비된 작업환경에서 직업훈련을 받거나 직업생활을 영위할 수 있도록 하는 시설
4. 그 밖에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시설
② 제1항 각 호에 따른 사회복귀시설의 구체적인 종류와 사업 등에 관하여 필요한 사항은 보건복지가족부령으로 정한다.[전문개정 2008.3.21]
참 고
사회복지법제론 남 기민 홍 성로 공동체
사회복지학개론 이 정서 탑 스팟
사회복지학개론 김 형준
④ 사회복귀시설의 시설기준, 수용인원, 종사자 수 및 자격, 설치·운영신고, 변경신고, 이용 및 운영에 관하여 필요한 사항은 보건복지가족부령으로 정한다.<개정 2008.2.29>
⑤ 국가 또는 지방자치단체는 필요한 경우 사회복귀시설을 사회복지법인 또는 비영리법인에게 위탁하여 운영할 수 있다.<신설 2008.3.21>
⑥ 제5항에 따른 위탁운영의 기준·기간 및 방법 등에 관하여 필요한 사항은 보건복지가족부령으로 정한다.<신설 2008.3.21>[전문개정 2004.1.29]
제16조(사회복귀시설의 종류)
① 사회복귀시설의 종류는 다음 각 호와 같다.
1. 정신질환자생활시설 : 정신질환자가 필요한 기간 동안 생활하면서 재활에 필요한 상담·훈련 등의 서비스를 받아 사회복귀를 준비하거나 장애로 인하여 장기간 생활하는 시설
2. 정신질환자지역사회재활시설 : 정신질환자복지관, 의료재활시설, 체육시설, 수련시설, 공동생활가정 등 정신질환자에게 전문적인 상담·훈련 등을 제공하거나 여가활동 및 사회참여활동 등에 필요한 편의를 제공하는 시설
3. 정신질환자직업재활시설 : 일반고용이 어려운 정신질환자가 특별히 준비된 작업환경에서 직업훈련을 받거나 직업생활을 영위할 수 있도록 하는 시설
4. 그 밖에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시설
② 제1항 각 호에 따른 사회복귀시설의 구체적인 종류와 사업 등에 관하여 필요한 사항은 보건복지가족부령으로 정한다.[전문개정 2008.3.21]
참 고
사회복지법제론 남 기민 홍 성로 공동체
사회복지학개론 이 정서 탑 스팟
사회복지학개론 김 형준
추천자료
한국의 사회 복지 발달사
발전행정의 발달과정
[사회보장][사회보장제도][사회복지][사회보험][사회보장제]사회보장의 기능, 사회보장의 역...
노인정신건강과정신질환
아동복지법
사회복지론의 여러종류
우리나라의 사회복지 발달과 특징 및 전망
사회복지사의 법적지위와 권한
[사회복지정책론] 사회보장제도 (사회보장제도의 개념, 사회보험, 국민기초생활보장제도, 국...
생활보호법과 국민기초생활 보장법의 차이와 의의
사회복지사 1급 국가시험 중요내용 요약 (8과목)
[생활 속의 경제] 최저임금제의 이론적 배경, 긍정적.부정적 효과, 연혁, 시급 1만원 인상시 ...
거시적 접근방법으로 공공부조에 대해 서술하시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