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혈관질환]말초동맥 폐색질환
본 자료는 5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해당 자료는 5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5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혈관질환]말초동맥 폐색질환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동맥의 분포

2. 동맥 질환 환자의 접근법

3. 동맥경화성 만성 동맥폐색 질환

4. 폐쇄성 혈전혈관염 (thromboangiitis obliterans; TAO);
버거씨병 (Buerger's disease)

5. 급성 동맥 폐쇄 (acute arterial occlusion)

본문내용

)
Aortic origin
Thrombus material overlying atherosclerotic segment or aneurysm
Venous origin
Paradoxical embolism travels through intracardiac shunt
그 자리에 생기는 혈전 (thrombus in situ)은 동맥경화성 혈관의 협착 부위, 동맥류, 동맥 우회로술 이식편 부위에 가장 흔하게 생긴다. 혈관의 외상, 동맥천자, 카테터 삽입의 합병증으로 발생하기도 한다. 드문 원인으로는 상완동맥 폐쇄를 초래하는 흉곽출구 압박증후군 (thoracic outlet compression syndrome)과 슬와동맥이 비복근 내측두 (medial head of gastrocnemius muscle)의 비정상적인 위치에 의해 포획되는 경우 (popliteal artery entrapment syndrome)가 있다. 다혈구증과 과응고성 질환도 급성 동맥혈전증을 일으킬 수 있다.
5-2. 임상 소견
5P라 하여, 통증 (pain), 감각이상 (paresthesia), 맥박소실 (pulselessness), 창백 (pallor), 마비 (paresis)가 급격히 발생하나, 동맥 폐쇄의 위치, 기간 및 심한 정도에 따라 다르다. 심한 통증, 감각 이상, 감각의 둔화, 냉감 등이 한 시간 이내에 침범된 사지에 나타난다. 마비는 심하고 지속적인 허혈 때 나타날 수 있다. 이학적 검사상 폐쇄 부위 이하의 맥박소실, 창백 또는 청색증, 반문 (mottling), 피부 온도 감소, 근육 경직, 감각 소실, 근력 감소, 심부 건반사 소실 등이 나타난다. 혈관우회로술 이식편의 급성 폐쇄와 같이 이미 측부 순환이 발달되어 있는 경우에는 증상과 소견은 덜 심하다. 이 경우 환자는 파행이 나타날 때까지의 걷는 거리의 갑작스런 감소를 호소한다. 창백과 냉감은 명백하지만 감각과 운동기능은 일반적으로 보존된다.
5-3. 진단
임상 소견만으로도 진단이 가능하다. 동맥조영술이 진단의 확인과 폐쇄 부위와 정도를 밝히는데 유용하며 침습적인 치료를 위해서 실시한다.
5-4. 치료
일단 진단이 내려지면 혈전의 진행을 막기 위해 정맥내 헤파린으로 항응고 치료를 받아야 한다. 최근에 발생한 심한 허혈의 경우, 특히 사지의 생존이 위험한 경우에는 재관류를 위한 즉각적인 중재시술이 필요하다. Fogarty 카테터를 이용한 외과적 혈전색전제거술 (thromboembolectomy)이나 동맥우회술은 허혈 사지의 혈류를 즉시 회복시키기 위해, 특히 근위부의 큰 혈관이 폐쇄되었을 경우 시행한다.
동맥 내 혈전용해 치료는 급성 동맥 폐쇄가 동맥경화가 있는 혈관이나 이식편에 생긴 혈전에 의한 경우 효과가 있다. 혈전 용해술은 환자의 전신상태가 외과적인 수술을 받기에 적합하지 않거나, 작은 원위부 혈관이 폐쇄되어 외과적으로 접근이 어려운 경우에도 적응이 될 수 있다. 동맥 내 혈전용해제의 주입은 유로키나제의 경우 150,000∼250,000 IU를 일시에 투여하고 첫 2시간에는 240,000 IU/hr, 다음 2시간은 120,000 IU/hr, 그 이후로는 60,000 IU/hr를 투여 (최대 36시간)하며 혈관 조영술을 반복한다. t-PA의 동맥내 주입용량은 처음 최대 5시간까지는 0.1 mg/kg/hr로 투여하고 다음 최대 12시간까지는 0.5 mg/kg/hr를 투여한다. 동맥 내 혈전 용해요법시 출혈의 합병증이 생기는지를 주의 깊게 관찰하여야 한다.
사지가 위험하지 않을 경우 항응고제를 투여하며 관찰하는 좀 더 보존적인 치료를 택할 수 있다. 항응고제는 색전 발생과 혈전 진행 가능성을 줄인다. 항응고 치료는 정맥내 헤파린으로 시작 후 경구 와파린 투여로 이어진다. 권장 용량은 심부정맥 혈전증 때 쓰이는 것과 같다. 감염성 심내막염, 인공심판막, 혹은 심방 점액종으로부터 기원한 색전은 원인을 제거하기 위하여 외과적 수술이 필요한 경우가 많다.
참고문헌
1. 김덕경. 말초혈관질환. 이영우편저. 순환기학 서울: 일조각; 2001. p332-358.
2. Creager MA. Vol VII. Vascular Disease. In: Braunwald E, editor. Atlas of Heart Diseases. Philadelphia: Wolfe, 1996. p3.1-3.30
3. Creager MA, Dzau VJ. Vascular diseases of the extremities. In: Fauci AS, Braunwald E, Isselbacher KJ, Wilson JD, Mortin JB, Kasper DL, Hauser SL, Longo DL, editors. Harrison's Principles of Internal Medicine. 14th ed. New York: McGraw-Hill, 1998. p1398-1406
4. Pentecost MJ, Criqui MH, Dorros G, Goldstone J, Johnston KW, Martin EC, Ring EJ, Spies JB. Guidelines for peripheral percutaneous transluminal angioplasty of the abdominal aorta and lower extremity vessels. Circulation 1994;89:511-531
5. Weitz JI, Byrne J, Clagett P, Farkouh ME, Porter JM, Sackett DL, Strandness DE Jr, Taylor LM. Diagnosis and treatment of chronic arterial insufficiency of the lower extremities: A critical review. Circulation 1996;94:3026-3049
6. Olin JW. Thromboangiitis obliterans (Buerger's disease). New Eng J Med 2000;343;864-869
7. Sumpio BE. Foot ulcers. New Eng J Med 2000;343:787-793
  • 가격2,800
  • 페이지수15페이지
  • 등록일2012.04.10
  • 저작시기2012.4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73923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