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려 중기 화엄종(華嚴宗)과 의천(義天)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 40
  • 41
  • 42
  • 43
  • 44
  • 45
  • 46
  • 47
  • 48
해당 자료는 10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0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Ⅰ. 서론
1.1 고려 중기 왕실과 불교의 관계
1.2 화엄종 개괄

Ⅱ. 본론
 2.1. 의천의 생애  
 2.1.1. 의천의 출가
 2.1.2. 도송활동
 2.1.3. 귀국후 활동
 2.2 의천의 사상
 2.2.1 의천과 화엄종
 2.2.2 교관겸수와 균여비판
 2.2.3 화엄구조설
 2.2.4 불교통합

Ⅲ. 결론
3.1. 의의와 한계

본문내용

고려 중기 華嚴宗과 義天




華嚴宗이란

• 경전 : 『大方廣佛華嚴經』
-60권본(晋本), 80권본(唐本), 40권본(唐 德宗)
• 화엄교학 : 法界緣起
-전 세계는 一卽一切 一切則一의 관계를 갖고 있어 圓融無礙함.
-四法界 : 事法界
     理法界
     理事無礙法界
     事事無礙法界

만물의 본질적 평등을 주장




華嚴宗이란

• 역사 : 불타(佛陀)의 화엄종 한역 ➠ 지론종 성립 ➠ 두순(杜順) ➠ 지엄(智儼)
 법장(法藏) ➠ 징관(澄觀) ·종밀(宗密)
 자선(子璿) ·정원(淨源)
• 한국의 화엄종
-원효, 의상이 크게 선양함
-통일신라 말 북악파/남악파로 분파
-균여, 의천




序論

2) 고려왕실과 華嚴宗
• 고려왕실이 화엄종을 지원하게 된 이유
문벌귀족의 견제
불교교단 재편의 필요성




序論

1) 고려중기 왕실과 불교의 관계
• 護法= 護國
- 국왕에 의한 불교의 수호 강조
- 왕실과 불교의 이해관계가 합치됨
• 왕자 출가가 항례화 되고 장기 지속됨
- 왕실에 의한 불교의 통제
- 문벌귀족과의 권력관계에서 중요




Ⅰ. 義天의 生涯




1. 義天의 出家

1) 의천의 출생과 출가 당시의 상황
• 정치적 상황
- 문벌귀족의 성립
- 왕권의 안정

• 불교의 상황
- 敎宗 중심으로 禪宗까지 통합하려는 사상
- 화엄종이 주류가 됨

키워드

  • 가격5,000
  • 페이지수48페이지
  • 등록일2012.04.12
  • 저작시기2012.4
  • 파일형식기타(pptx)
  • 자료번호#73946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