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Method>
1. Cell lysis
2. Cell Purification
<각각의 시약과 buffer의 역할 및 작용 원리>
① PMSF
② Leupeptin
③ Sodium deoxycholate
④ Ammonium sulfate
⑤ PEI
PEI는 많
⑥ Sephadex
<Result>
<Discussion>
<Reference>
1. Cell lysis
2. Cell Purification
<각각의 시약과 buffer의 역할 및 작용 원리>
① PMSF
② Leupeptin
③ Sodium deoxycholate
④ Ammonium sulfate
⑤ PEI
PEI는 많
⑥ Sephadex
<Result>
<Discussion>
<Reference>
본문내용
rker를 기준으로 72-93kDa의 band 사이에 존재하므로 약 82kDa정도라고 확인할 수 있다. Lysate의 경우 T7 RNA polymerase 뿐만 아니라 다른 여러 가지 물질이 섞여 있는 것이 보인다. loading한 것에서도 T7 RNA polymerase 보이는데 원래는 resin에 단백질이 붙어서 band가 나오지 않아야 하는데 이 때 이미 buffer을 따라 나와서인지, 원래 band가 나와야할 Elution buffer에서 band가 형성되지 않음이 보였다. 이는 우리가 pH를 확인하지 않아 잘 모르겠지만 단백질이 충분히 (+)charge를 띠고 있지 않았을 수도 있고, 조심스럽게 하여 겉으로 보았을 때 resin이 괜찮다고 생각하였으나, buffer을 내리는 과정에서 망가졌을 가능성도 있다.
김승호 외 1명 / 단백질 실험 노트 (상)/ 월드 사이언스/ 1998/ p30~31
Frank B. Armstrong / 생화학 / 청문각 / 1992 / p.72
한국생물공학회 / 생물공학실험서 / 자유아카데미 / 2000 / p.28
조덕재 / 식품분석(이론과 실습) / 지구문화사 / 1990 / p 96~10
김승호 외 1명 / 단백질 실험 노트 (상)/ 월드 사이언스/ 1998/ p30~31
Frank B. Armstrong / 생화학 / 청문각 / 1992 / p.72
한국생물공학회 / 생물공학실험서 / 자유아카데미 / 2000 / p.28
조덕재 / 식품분석(이론과 실습) / 지구문화사 / 1990 / p 96~10
키워드
추천자료
효소로서의 rna
유전공학의 이해
마늘의 항균성 실험과 결과
[생화학] 생체분자(탄수화물, 지방, 단백질, 지질)에 관한 레포트 (그림포함)
미생물의 생육 측정 및 생육 영향 인자
식물에서 RNA 추출
[결과레포트] 카페인의 추출
동물조직에서 RNA의 분리방법
미생물의 생육 측정 및 생육 영향 인자
지베렐린에 의한 보리종자 amylase 생성 유도
DNA 추출 (식물유전체 DNA) 전기영동
[DNA의 성격][DNA의 역사][DNA의 구조][DNA의 번역][DNA의 전사][DNA의 합성][DNA의 회복]DNA...
연구 계획서 - 미생물 실험 (Klebsiella / Enterobacter & Pseudomonas aeruginosa).PP...
유전공학 및 실험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