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검사치
1. 망상적혈구수
2. 혈청 칼륨
3. 부신피질 호르몬
4. 유즙분비 호르몬
5. 티록신 결합 글로불린
2. 질환별 약물관리
1. 영양장애
2. 활동휴식장애
3. 성기능 장애(유방 장애)
4. 산소 공급 장애
5. 성기능 장애(남성 생식기계 장애)
6. 신경계장애
7. 감각장애
8. 내분비 장애
9. 배뇨기능장애
1. 망상적혈구수
2. 혈청 칼륨
3. 부신피질 호르몬
4. 유즙분비 호르몬
5. 티록신 결합 글로불린
2. 질환별 약물관리
1. 영양장애
2. 활동휴식장애
3. 성기능 장애(유방 장애)
4. 산소 공급 장애
5. 성기능 장애(남성 생식기계 장애)
6. 신경계장애
7. 감각장애
8. 내분비 장애
9. 배뇨기능장애
본문내용
남성은 여성형 유방과 대머리 발생, 노인은 전립샘 비대발생
왜소증, 소인증
somtotropin
성장호르몬 투여
두통, 국소 근육통, 쇠약감, 일시적인 약간의 부종 등이 올수 있다.
당뇨병
sulfonylureas
췌장의 인슐린 분비를 촉진, 당원합성과 당원분해를 감소, 인슐린에 대한 세포 내 감수성 증가
체중 증가, 저혈당
meglitinides
췌장의 인슐린 분비 촉진
체중증가, 저혈당
biguanide
간의 당 생산을 감소, 조직의 당흡수를 증가
설사, 산증
a- glucosidase
위장관계에서 당 흡수 잊연
가스, 복통, 설사
thiazolidinediones
근육의 당분 흡수 증가, 당 신생 감소
체중 증가, 부종, 심부전 환자에게는 금기
dipeptidyle peptidase-4 억제제
incetin 체계 향상, 췌장의 베타세포에서 인슐린 촉진, 간의 당 신생 감소
상기도 감염, 인후통, 두통, 설사
갑상샘
기능 항진증
항갑상샘제
갑상샘호르몬의 생합성 억제, 요드화의 생성 단계를 차단, t4가t3로 전환되는 것을 억제
무과립세포증, 과민반응, 발열 두통, 피부발진, 면역반응과 염증반응을 억제
요오드제제
갑상샘호르몬의 유리, 갑상샘의 크기와 혈관 분포를 감소 시킴
발진, 발열 치아착색, 금속성의 맛, 갈증, 식욕부진, 구토 설사, 손의 미세한 진동, 운동실조, 심하면 경련, 혼수
베타
교감신경차단제
베타교감신경을 차단, 심장 증상완화
저혈압, 심장 또는 호흡기 질환의 약화
원발성
알도스테론증
spironlactone
원위세뇨관의 수용체 부위에서 알도스테론의 작용을 차단하여 소듐과 염수, 수분 배설을 촉진하고 포타슘 정체를 유도한다.
두통, 혼돈, 설사, 경련, 출혈, 발진, 소양증, 고칼륨혈증, 저나트륨 혈증
triamterene
원위세뇨관에 작용하여 소듐과 염소의 재흡수를 억제하고 포타슘의 정체를 증가시킨다.
오심, 설사, 구토, 고칼륨혈증, 저나트륨혈증, 두통, 허약,
피로 등
계통
질환명
치료약물
작용
부작용
배뇨기능장애
요역류
ampicillin,trimethoprim, bactrim
bactrim 과 같은 항생제는 신장에서 여과되지 않기 때문에 신장 기능이 심하게 저하된 경우에는 사용할 수 없다. 혈중약물 농도가 적절한지 관찰하고 약물로 인한 손상 정도를 사정하기 위해 혈청 creatinine치를 측정한다.
다낭포성 신질환
진통제, 비스테로이드성 소염제
출혈시 amicar
통증감소, 염증완화
비스테로이드성 소염제를 사용할 때는 신혈류의 감소가 올수 있으므로 주의
요실금
(실금의 원인에 따라 적절한 약물투여 노인에게 투여할 때 더 주의 필요, 약물 투여 전 요도 폐쇄 있는지 확인, 일반적으로 요로 감염에 의한 실금은 일시적이며 항생제를 투여하면 반응이 좋아진다)
에스트로겐제제( Quinestradiol, Piperazine estrone, Esrtiol)
에스트로겐 효과를 내도록 단백질과 결합한다. 위축성 질염을 완화하고 요도의 기능을 회복한다.
혈전의 위험성이 있음
항콜린제제(Propantheline(Pro-Bantine),Oxybutynin(Ditropan),Dicyclomine(Bentyl))
방광의 평활근을 이완시켜 방광 근긴장도를 감소시킨다.
기립성 저혈압 유발 할 수 있다.
콜린성제제(Bethanecol(Urecholine),Neostigmine(Prostigmine)
방광 수축을 자극하여 이완성 방광을 치료한다.
알파-교감신경 차단제 (Prazosin(Miniprss),Phenoxybenzamine(Dibenzyline),Phenylpropanolamine)
방광경부의 근긴장도를 감소시킨다
기동시 직립성 저혈압 주의
교감신경 흥분제(Ephedine,Phenylephrine(Neo-Synephrine)
방광경부와 요도의 긴장도를 증가시킨다
어지러움, 두통, 호흡곤란
알파-부교감신경 작용제(Phenylpropanolamine,Imipramine(Tofranil))
요도의 저항을 증가시킨다.
칼슘채널 차단제
방광근 수축을 감소 시킨다.
직립성 저혈압,
체위성 저혈압의 가능성이 매우 높다. 항콜린 또는 알파 교감신경 차단효과로 인한 부작용
삼환계 항우울제(Imipramine(Tofranil,Novo-Pramine),Desipramine(Norpramin),Notriptyline(Pamalor))
항콜린과 알파-교감신경 차단효과가 있다.
요정체
요정체의 원인에 따라 약물을 선택한다. 감각,신경성 문제로 인한 요정체는 콜린성 약물로 치료한다. 콜린성 약물은 방광 수축을 자극하므로 폐쇄가 의심되면 상용하지 않는다. Bethanecol chloride(urecholine)는 배뇨근을 수축시켜 배뇨를 자극하나 방광 출구와 요도의 저항도 같이 상승시킨다. 이때 알파-교감신경차단제인 phenoxybenzamine(Dibenzyline)이나 prazosin(Minipress)등을 함께 투여하면 방광 출구와 요도의 저항을 줄일 수 있다.
방광염
항생제
Quinolones
Cipro
체중지지 관절의 연골형성을 저해 할 수있다(단순방광염). Quinolones 약물은 카페인과 theophylline의 반감기를 연장한다.
Penicillins
Amoxicillin(Amoxil)
Clavulanate(Augmentin,Clavulin)
신석증과 요석증
Aminoglycosides,cephalosporins등과 같은 광범위 항생제 사용
그람음성 간균에 효과적
신결핵과 하부 요로결핵
2개월간 isoniazid,rifampicin,pyrazinamide를 사용한 후 isoniazid와 rifampicin을 4개월간 투여
신부전, 신장결석, 요로감염,요관폐쇄
신동맥협착증
captopril
Renin-angiotensin-aldosteronec체계를 차단
혈압감소
신증후군 혹은 신장증
신생검에서 면역장애가 밝혀지면
Corticosteroids,세포독성 약물,면역억제제등 처방
면역반응을 감소시켜 소변으로 다량의 단백질이 소실되는 것을 방지함. Corticosteroids는 사구체에서 항염증작용을 하여 사구체 기저막의 투과성을 억제하고 사구체의 세포증식을 억제시킴
왜소증, 소인증
somtotropin
성장호르몬 투여
두통, 국소 근육통, 쇠약감, 일시적인 약간의 부종 등이 올수 있다.
당뇨병
sulfonylureas
췌장의 인슐린 분비를 촉진, 당원합성과 당원분해를 감소, 인슐린에 대한 세포 내 감수성 증가
체중 증가, 저혈당
meglitinides
췌장의 인슐린 분비 촉진
체중증가, 저혈당
biguanide
간의 당 생산을 감소, 조직의 당흡수를 증가
설사, 산증
a- glucosidase
위장관계에서 당 흡수 잊연
가스, 복통, 설사
thiazolidinediones
근육의 당분 흡수 증가, 당 신생 감소
체중 증가, 부종, 심부전 환자에게는 금기
dipeptidyle peptidase-4 억제제
incetin 체계 향상, 췌장의 베타세포에서 인슐린 촉진, 간의 당 신생 감소
상기도 감염, 인후통, 두통, 설사
갑상샘
기능 항진증
항갑상샘제
갑상샘호르몬의 생합성 억제, 요드화의 생성 단계를 차단, t4가t3로 전환되는 것을 억제
무과립세포증, 과민반응, 발열 두통, 피부발진, 면역반응과 염증반응을 억제
요오드제제
갑상샘호르몬의 유리, 갑상샘의 크기와 혈관 분포를 감소 시킴
발진, 발열 치아착색, 금속성의 맛, 갈증, 식욕부진, 구토 설사, 손의 미세한 진동, 운동실조, 심하면 경련, 혼수
베타
교감신경차단제
베타교감신경을 차단, 심장 증상완화
저혈압, 심장 또는 호흡기 질환의 약화
원발성
알도스테론증
spironlactone
원위세뇨관의 수용체 부위에서 알도스테론의 작용을 차단하여 소듐과 염수, 수분 배설을 촉진하고 포타슘 정체를 유도한다.
두통, 혼돈, 설사, 경련, 출혈, 발진, 소양증, 고칼륨혈증, 저나트륨 혈증
triamterene
원위세뇨관에 작용하여 소듐과 염소의 재흡수를 억제하고 포타슘의 정체를 증가시킨다.
오심, 설사, 구토, 고칼륨혈증, 저나트륨혈증, 두통, 허약,
피로 등
계통
질환명
치료약물
작용
부작용
배뇨기능장애
요역류
ampicillin,trimethoprim, bactrim
bactrim 과 같은 항생제는 신장에서 여과되지 않기 때문에 신장 기능이 심하게 저하된 경우에는 사용할 수 없다. 혈중약물 농도가 적절한지 관찰하고 약물로 인한 손상 정도를 사정하기 위해 혈청 creatinine치를 측정한다.
다낭포성 신질환
진통제, 비스테로이드성 소염제
출혈시 amicar
통증감소, 염증완화
비스테로이드성 소염제를 사용할 때는 신혈류의 감소가 올수 있으므로 주의
요실금
(실금의 원인에 따라 적절한 약물투여 노인에게 투여할 때 더 주의 필요, 약물 투여 전 요도 폐쇄 있는지 확인, 일반적으로 요로 감염에 의한 실금은 일시적이며 항생제를 투여하면 반응이 좋아진다)
에스트로겐제제( Quinestradiol, Piperazine estrone, Esrtiol)
에스트로겐 효과를 내도록 단백질과 결합한다. 위축성 질염을 완화하고 요도의 기능을 회복한다.
혈전의 위험성이 있음
항콜린제제(Propantheline(Pro-Bantine),Oxybutynin(Ditropan),Dicyclomine(Bentyl))
방광의 평활근을 이완시켜 방광 근긴장도를 감소시킨다.
기립성 저혈압 유발 할 수 있다.
콜린성제제(Bethanecol(Urecholine),Neostigmine(Prostigmine)
방광 수축을 자극하여 이완성 방광을 치료한다.
알파-교감신경 차단제 (Prazosin(Miniprss),Phenoxybenzamine(Dibenzyline),Phenylpropanolamine)
방광경부의 근긴장도를 감소시킨다
기동시 직립성 저혈압 주의
교감신경 흥분제(Ephedine,Phenylephrine(Neo-Synephrine)
방광경부와 요도의 긴장도를 증가시킨다
어지러움, 두통, 호흡곤란
알파-부교감신경 작용제(Phenylpropanolamine,Imipramine(Tofranil))
요도의 저항을 증가시킨다.
칼슘채널 차단제
방광근 수축을 감소 시킨다.
직립성 저혈압,
체위성 저혈압의 가능성이 매우 높다. 항콜린 또는 알파 교감신경 차단효과로 인한 부작용
삼환계 항우울제(Imipramine(Tofranil,Novo-Pramine),Desipramine(Norpramin),Notriptyline(Pamalor))
항콜린과 알파-교감신경 차단효과가 있다.
요정체
요정체의 원인에 따라 약물을 선택한다. 감각,신경성 문제로 인한 요정체는 콜린성 약물로 치료한다. 콜린성 약물은 방광 수축을 자극하므로 폐쇄가 의심되면 상용하지 않는다. Bethanecol chloride(urecholine)는 배뇨근을 수축시켜 배뇨를 자극하나 방광 출구와 요도의 저항도 같이 상승시킨다. 이때 알파-교감신경차단제인 phenoxybenzamine(Dibenzyline)이나 prazosin(Minipress)등을 함께 투여하면 방광 출구와 요도의 저항을 줄일 수 있다.
방광염
항생제
Quinolones
Cipro
체중지지 관절의 연골형성을 저해 할 수있다(단순방광염). Quinolones 약물은 카페인과 theophylline의 반감기를 연장한다.
Penicillins
Amoxicillin(Amoxil)
Clavulanate(Augmentin,Clavulin)
신석증과 요석증
Aminoglycosides,cephalosporins등과 같은 광범위 항생제 사용
그람음성 간균에 효과적
신결핵과 하부 요로결핵
2개월간 isoniazid,rifampicin,pyrazinamide를 사용한 후 isoniazid와 rifampicin을 4개월간 투여
신부전, 신장결석, 요로감염,요관폐쇄
신동맥협착증
captopril
Renin-angiotensin-aldosteronec체계를 차단
혈압감소
신증후군 혹은 신장증
신생검에서 면역장애가 밝혀지면
Corticosteroids,세포독성 약물,면역억제제등 처방
면역반응을 감소시켜 소변으로 다량의 단백질이 소실되는 것을 방지함. Corticosteroids는 사구체에서 항염증작용을 하여 사구체 기저막의 투과성을 억제하고 사구체의 세포증식을 억제시킴
추천자료
지역사회간호학실습지침서(학교간호편)
지역사회간호학-보건소실습(보건소간호개요등 이론)
요로결석 문헌고찰/간호사정 ppt ♥
신경외과케이스스터디-지주막하출혈 (SAH)
여성간호학실습 골반염 PID 케이스스터디
여성간호학실습 조기양막파수(조기파막) PROM 케이스스터디
여성간호학실습 자궁탈수 Uterine Prolapse 케이스
여성간호학실습 Endometriosis 자궁 내막증식증 케이스스터디
간,담도,췌장구조와기능
[성인간호학] 신장이식술
성인간호학) 밀봉흉곽배액-닫힘 배출장치
Closed pertrochanteric fracture 폐쇄성 대퇴 전자부 골절 A+ ( 폐쇄성 대퇴 전자부 골절 케...
Fibrosis and cirrhosis of liver 간경화, 간섬유증 케이스 스터디 A+ (간경화 케이스, 간경...
귀 건강문제를 가진 대상자의 건강사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