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
40
-
41
-
42
-
43
-
44
-
45
-
46
-
47
-
48
-
49
-
50
-
51
-
52
-
53
-
54
-
55
-
56
-
57
-
58
-
59
-
60
-
61
-
62
-
63
-
64
-
65
-
66
-
67


목차
체액 균형
전해질 균형
체액 불균형
세포외액 결핍
세포외액 과다
세포내액 결핍
세포내액 과다
전해질 불균형
저나트륨혈증
고나트륨혈증
저칼륨혈증
고칼륨혈증
저칼슘혈증
고칼슘혈증
저마그네슘혈증
고마그네슘혈증
전해질 균형
체액 불균형
세포외액 결핍
세포외액 과다
세포내액 결핍
세포내액 과다
전해질 불균형
저나트륨혈증
고나트륨혈증
저칼륨혈증
고칼륨혈증
저칼슘혈증
고칼슘혈증
저마그네슘혈증
고마그네슘혈증
본문내용
수분 전해질 관리 및 수액요법
1. 체액(Body Fluid)
● 수분 : 성인은 체중의 60%
신생아 : 73% of BW
노인 : 45% of BW
• 여성은 남자보다 체중에 대한 물의 비율이 낮은데 이는 여자가 남자보다 지방함량이 많고 골격근이 적기 때문이다
체액과 체액의 분포
• 체액은 여러 구획으로 나뉘어져 있으며, 각 구획 내 체액의 양과 성분은 다르다
• 체액의 구획 사이에는 활발한 체액교환이 일어나고 있다
• 각 구획 내 수분과 전해질은 일정하게 항상성(Homeostasis)을 유지하고 있다
체액의 구획
총체액량(40L: 체중의 60%)
≪ 그 림 ≫
• 세포내액(25L: 체중의 40%)
(Intracellular fliud, ICF)
• 세포외액(15L: 체중의 20%)
(Extracellular fliud, ECF)
세포간질액(12L: 세포외액의 80%)
-혈장(3L: 세포외액의 20%)
≪ … 중 략 … ≫
저나트륨혈증(hypornatremia)
• 정상치 135~ 145mEq/L
• 정의 : 혈중 Na<135mEq/L
120mEq이하일때 증상 발현
• 원인
-수분 축적 : 수분과다섭취, SIADH, 신부전
-나트륨 소실 : 심한 발한, 이뇨요법(특히 thiazide계이뇨제), 저염식이, 위장관 분비물의 소실(구토, 설사, 위장관흡인 또는 배액) Addison병(aldosterone 감소는 나트륨 소실 초래), 광범위한 화상, 체강내 나트륨 축적(복막염)
-만성 정신분열증 환자 (강박적인 수분 섭취로 인해)
-갈증기전 장애
-수분 손실 후 너무 급하게 수분을 보충받는 경우
1. 체액(Body Fluid)
● 수분 : 성인은 체중의 60%
신생아 : 73% of BW
노인 : 45% of BW
• 여성은 남자보다 체중에 대한 물의 비율이 낮은데 이는 여자가 남자보다 지방함량이 많고 골격근이 적기 때문이다
체액과 체액의 분포
• 체액은 여러 구획으로 나뉘어져 있으며, 각 구획 내 체액의 양과 성분은 다르다
• 체액의 구획 사이에는 활발한 체액교환이 일어나고 있다
• 각 구획 내 수분과 전해질은 일정하게 항상성(Homeostasis)을 유지하고 있다
체액의 구획
총체액량(40L: 체중의 60%)
≪ 그 림 ≫
• 세포내액(25L: 체중의 40%)
(Intracellular fliud, ICF)
• 세포외액(15L: 체중의 20%)
(Extracellular fliud, ECF)
세포간질액(12L: 세포외액의 80%)
-혈장(3L: 세포외액의 20%)
≪ … 중 략 … ≫
저나트륨혈증(hypornatremia)
• 정상치 135~ 145mEq/L
• 정의 : 혈중 Na<135mEq/L
120mEq이하일때 증상 발현
• 원인
-수분 축적 : 수분과다섭취, SIADH, 신부전
-나트륨 소실 : 심한 발한, 이뇨요법(특히 thiazide계이뇨제), 저염식이, 위장관 분비물의 소실(구토, 설사, 위장관흡인 또는 배액) Addison병(aldosterone 감소는 나트륨 소실 초래), 광범위한 화상, 체강내 나트륨 축적(복막염)
-만성 정신분열증 환자 (강박적인 수분 섭취로 인해)
-갈증기전 장애
-수분 손실 후 너무 급하게 수분을 보충받는 경우
추천자료
탄수화물-전해질음료 섭취가고온환경에서 장시간운동시
중환자실 -응급약물 정리
성인간호- 항암제
당뇨 환자의 관리
생식기 모호증Ambiguous genitalia
Diabetes Mellitus
급성신부전의 식사요법(급성신부전환자식단, 신부전치료식단, 신부전환자식단, 신부전환자식...
[아동간호학Ⅰ] NICU의 간호중재 원칙과 방법 {고위험 신생아 분류에 따른 간호중재 원칙과 방...
EKG A-Line 에이라인 [성인간호]
고위험모아간호학:A. 고위험 신생아의 고빌리루빈 혈증에 대한 사정
[대장질환] 궤양성대장염의 원인과 증상 및 식이요법, 변비의 원인과 식사요법치료(이완성변...
[암으로 인한 신체의 변화] 암이 신체에 미치는 영향, 암이 특정기관에 미치는 영향요인
만성신부전 case study 입니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