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실험 결과
2. sample 형상, 파단면의 특징
3. 응력 변형율 선도
4. 고찰
2. sample 형상, 파단면의 특징
3. 응력 변형율 선도
4. 고찰
본문내용
그래프모형과 다르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그 이유는 이 시편은 열처리가 되지 않았기 때문이다. 열처리가 된 시편이라면 이론대로의 그래프개형을 얻을 수 있을 것이다.
이 그래프에서는 정확한 Yield strength를 얻을 수가 없다. 그 이유는 완전한 탄성이 아니기 때문이다. 오프셋한다고 해도 정확한 값을 얻을 수 없기 때문에 대략적인 Yield strength를 예측하였다. Tensile strength는 가장 높은 응력값으로 하였다.
응력은 load값을 초기시편넓이로 나누어 계산하였다. 그 이유는 초기단면적이 아닌 각각의 상태일 때의 줄어든 지름을 이용하여 넓이를 구해서 나눴다면 진응력-변형율선도가 될 것이다. 하지만 이것은 Engineering 응력-변형율선도이기 때문에 초기단면적으로 나누었다.
이 그래프에서는 정확한 Yield strength를 얻을 수가 없다. 그 이유는 완전한 탄성이 아니기 때문이다. 오프셋한다고 해도 정확한 값을 얻을 수 없기 때문에 대략적인 Yield strength를 예측하였다. Tensile strength는 가장 높은 응력값으로 하였다.
응력은 load값을 초기시편넓이로 나누어 계산하였다. 그 이유는 초기단면적이 아닌 각각의 상태일 때의 줄어든 지름을 이용하여 넓이를 구해서 나눴다면 진응력-변형율선도가 될 것이다. 하지만 이것은 Engineering 응력-변형율선도이기 때문에 초기단면적으로 나누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