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영화 ‘알렉산더’에서 어린 알렉산더와 그의 친구들이 아리스토텔레스의 강의를 듣는 장면이 나온다. 이 장면에서 아리스토텔레스는 강의를 듣는 제자들에게 페르시아는 무지한 열등 민족이라고 이야기하며, 또한 교육만이 무지함을 깰 수 있다고 이야기한다. 이는 동양에 대한 왜곡된 인식이며 분명한 오리엔탈리즘의 모습을 보이고 있다.
추천자료
문학 비평과 영화 (영미 문학비평)
문학, 영화, 시, 음악을 통해 본 아버지
각 문화권마다 나타나는 귀신의 특징과 문화와의 연관성
법, 영화를 캐스팅하다
영화 오만과편견에대한 문학적비평
<오래된 정원> 소설과 영화로 탄생된 하나의 작품을 통해 장르교체 알아보기 (장르교체,소설...
사랑방 손님과 어머니(소설을영화로만들기, 소설과영화속시점, 대중매체와문학)
문학과 예술의 사회사 - 제02장 영화의 시대
[취미趣味와 예술 D형] 교재 12장 [취미로서의 음악 감상]의 내용을 참조하시면서 영화, 문학...
[문학교육] 영화 ‘나쁜 피’에서 나타난 영화매체 속 장치들
[문학과 영상] 서편제 (소설과 영화 비교분석)
(오늘날의프랑스 B형) 나폴레옹과 관련된 문학작품&#65381;영화&#65381;만화를 감상...
사회 문화 비평에 대한 이론적 고찰 [리얼리즘 문학 그랩스타인 만세전 효자동 이발사]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