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보육과정의 개념
1.보육의 개념
1 보육의 개념
1. 보육과정의 개념
2 보육과정의 개념
2. 보육과정의 특성
3 보육프로그램
4 가정과의 연계성
5 수요자 요구의 다양성
6. 보육기관의 유형
1 국·공립보육시설
2 법인보육시설 및 민간보육시설
3 직장보육시설
4 가정보육시설
5 부모협동보육시설
1. 보육기관의 유형
1 영아전담 보육시설
2 장애아전담 보육시설
3 장애아 통합보육시설
@운영시간에 따른 보육시설
3. 보육과정의 특성
4. 보육제도(우리나라의 보육제도)
1 표준보육과정 제정 이전
2 표준보육과정의 제정
4. 보육제도(외국의 영유아보육 제도)
<자료: 보건복지가족부>
1.보육의 개념
1 보육의 개념
1. 보육과정의 개념
2 보육과정의 개념
2. 보육과정의 특성
3 보육프로그램
4 가정과의 연계성
5 수요자 요구의 다양성
6. 보육기관의 유형
1 국·공립보육시설
2 법인보육시설 및 민간보육시설
3 직장보육시설
4 가정보육시설
5 부모협동보육시설
1. 보육기관의 유형
1 영아전담 보육시설
2 장애아전담 보육시설
3 장애아 통합보육시설
@운영시간에 따른 보육시설
3. 보육과정의 특성
4. 보육제도(우리나라의 보육제도)
1 표준보육과정 제정 이전
2 표준보육과정의 제정
4. 보육제도(외국의 영유아보육 제도)
<자료: 보건복지가족부>
본문내용
교재에 차이가 있다.
유아교육의 교수방법과 교재, 교구 또한 초중등 영역의 교육과는 큰
차이가 있다. 상급학교단계의 교육에 있어 가장 중요한 교재는 교과서 인 반면 유아교육에 있어서는 다양한 교재, 교구를 사용한 상호작용과
교사 - 유아의 상호작용, 유아 - 유아의 상호작용과 같이 환경과의 상호작용이 중요한 교육내용이 된다.
4. 보육제도(우리나라의 보육제도)
2007년 전국의 어린이집에서 영유아를 보육하는 데 적절히 활용할 수
있는 기준과 내용이 되는 표준보육과정이 공포되었으므로, 우리나라의 보육제도는 표준보육과정 제정을 기점으로 표준보육과정 제정 이전과 제정으로 나누어 살펴볼 수 있다(이기숙 외, 2008).
1 표준보육과정 제정 이전
① 아동복리법 제정 이전 시기 : 탁아소(1921~1960)
② 아동복리법 제정 시기 : 어린이집(1961~1981)
③ 유아교육진흥법 제정 시기 : 새마을 유아원(1982~1990)
④ 영유아보육법 제정 이후 시기 : 어린이집(1991~표준보육과정제정 이전)
2 표준보육과정의 제정
*2005년 1월 30일부터 시행된 개정 영유아보육법에서는 보육의 개념을
‘영유아를 건강하고 안전하게 보호양육하고 영유아의 발달 특성에 적합한 교육을 제공하는 사회복지 서비스’라고 규정
*국가 수준에서의 보편적인 내용 수준을 담은 표준보육과정의 제시로 영유아의 발달에 적합한 일관성 있는 보육서비스를 제공
4. 보육제도(외국의 영유아보육 제도)
1 일본
소자화(少子化)대책
앤젤플랜
신앤젤플랜
차세대 양육지원 대책
2 스웨덴
*스웨덴의 영유아보육은 민족, 가족, 경제 및 사회적 배경에 관계없이 모든 영유아에게 평등한 기회를 제공하는 것을 기본 이념
*유아의 발달과 학습을 지원함으로써 삶의 첫 단계를 잘 시작할 수
있도록 도와주고, 부모들이 직업 또는 학업과 자녀양육을 잘 병행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데 목적
*스웨덴 정부에서는 우선적으로 스웨덴 전역의 만 4세 이상 유아들이 무상으로 유아보육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도록 하고 있으며, 부모
부담금의 상한선을 정함으로써 되도록 많은 영유아들이 보육서비스를 받을 수 있도록 노력
*스웨덴의 경우 영유아보육은 부모 및 자녀를 위한 지원시스템과 더불어 가족복지정책의 주된 사안이었다.
*1990년대에 들어서면서 교육적 측면에 주안점을 두게 되었고 1996년
영유아보육에 대한 감독과 책임이 보건사회부(Ministry of Health and
Social Affairs)에서 교육과학부(Ministry of Education and Science)로 이양되어 교육과 보육이 통합된 형태의 질 높은 영유아보육을 제공하게 되었다.
*현재 스웨덴의 영유아보육은 국민생활의 자연스러운 일부분으로서
자리매김하고 있으며, 부모들의 낮은 비용부담, 확고한 법률적 지원체제,
질적으로 우수한 서비스 제공 및 높은 수준의 취원율로 특징지어질 수 있다.
<자료: 보건복지가족부>
1. 이성우, <우리나라 영유아 보육정책 변천에 관한 연구>, 한서대교육대학원, 2006
2. 강영옥,<영유아 보육정책의 평가에 관한 연구>,광운대학원, 2005
3. 홍인혜,<영유아보육 및 유아교육 정책 변천에 관한 연구>, 성신여대대학원, 2006
4. <보육행정체제의 문제점과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국회여성위원회, 2004
5. 윤준수,<우리나라 보육정책의 변천과정에 관한 연구>,경운대 산업정보대학원, 2005
6. 오경희, <한국보육사의 고찰>,성균관대학교 생활과학대학원, 2006
7. 이계경, <여성의 권익보호와 여성 경제력 확보를 위한 법률개정과제>, 2005
8. 김승례, <영유아 최선의 이익원칙 이행현황과 보육정책 개선방안>,중앙대행정대학원, 2006
유아교육의 교수방법과 교재, 교구 또한 초중등 영역의 교육과는 큰
차이가 있다. 상급학교단계의 교육에 있어 가장 중요한 교재는 교과서 인 반면 유아교육에 있어서는 다양한 교재, 교구를 사용한 상호작용과
교사 - 유아의 상호작용, 유아 - 유아의 상호작용과 같이 환경과의 상호작용이 중요한 교육내용이 된다.
4. 보육제도(우리나라의 보육제도)
2007년 전국의 어린이집에서 영유아를 보육하는 데 적절히 활용할 수
있는 기준과 내용이 되는 표준보육과정이 공포되었으므로, 우리나라의 보육제도는 표준보육과정 제정을 기점으로 표준보육과정 제정 이전과 제정으로 나누어 살펴볼 수 있다(이기숙 외, 2008).
1 표준보육과정 제정 이전
① 아동복리법 제정 이전 시기 : 탁아소(1921~1960)
② 아동복리법 제정 시기 : 어린이집(1961~1981)
③ 유아교육진흥법 제정 시기 : 새마을 유아원(1982~1990)
④ 영유아보육법 제정 이후 시기 : 어린이집(1991~표준보육과정제정 이전)
2 표준보육과정의 제정
*2005년 1월 30일부터 시행된 개정 영유아보육법에서는 보육의 개념을
‘영유아를 건강하고 안전하게 보호양육하고 영유아의 발달 특성에 적합한 교육을 제공하는 사회복지 서비스’라고 규정
*국가 수준에서의 보편적인 내용 수준을 담은 표준보육과정의 제시로 영유아의 발달에 적합한 일관성 있는 보육서비스를 제공
4. 보육제도(외국의 영유아보육 제도)
1 일본
소자화(少子化)대책
앤젤플랜
신앤젤플랜
차세대 양육지원 대책
2 스웨덴
*스웨덴의 영유아보육은 민족, 가족, 경제 및 사회적 배경에 관계없이 모든 영유아에게 평등한 기회를 제공하는 것을 기본 이념
*유아의 발달과 학습을 지원함으로써 삶의 첫 단계를 잘 시작할 수
있도록 도와주고, 부모들이 직업 또는 학업과 자녀양육을 잘 병행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데 목적
*스웨덴 정부에서는 우선적으로 스웨덴 전역의 만 4세 이상 유아들이 무상으로 유아보육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도록 하고 있으며, 부모
부담금의 상한선을 정함으로써 되도록 많은 영유아들이 보육서비스를 받을 수 있도록 노력
*스웨덴의 경우 영유아보육은 부모 및 자녀를 위한 지원시스템과 더불어 가족복지정책의 주된 사안이었다.
*1990년대에 들어서면서 교육적 측면에 주안점을 두게 되었고 1996년
영유아보육에 대한 감독과 책임이 보건사회부(Ministry of Health and
Social Affairs)에서 교육과학부(Ministry of Education and Science)로 이양되어 교육과 보육이 통합된 형태의 질 높은 영유아보육을 제공하게 되었다.
*현재 스웨덴의 영유아보육은 국민생활의 자연스러운 일부분으로서
자리매김하고 있으며, 부모들의 낮은 비용부담, 확고한 법률적 지원체제,
질적으로 우수한 서비스 제공 및 높은 수준의 취원율로 특징지어질 수 있다.
<자료: 보건복지가족부>
1. 이성우, <우리나라 영유아 보육정책 변천에 관한 연구>, 한서대교육대학원, 2006
2. 강영옥,<영유아 보육정책의 평가에 관한 연구>,광운대학원, 2005
3. 홍인혜,<영유아보육 및 유아교육 정책 변천에 관한 연구>, 성신여대대학원, 2006
4. <보육행정체제의 문제점과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국회여성위원회, 2004
5. 윤준수,<우리나라 보육정책의 변천과정에 관한 연구>,경운대 산업정보대학원, 2005
6. 오경희, <한국보육사의 고찰>,성균관대학교 생활과학대학원, 2006
7. 이계경, <여성의 권익보호와 여성 경제력 확보를 위한 법률개정과제>, 2005
8. 김승례, <영유아 최선의 이익원칙 이행현황과 보육정책 개선방안>,중앙대행정대학원, 2006
추천자료
보육교사의 기본 자세
보육교사의 가장 중요하고 전문적인 자질과 역할
아동을 위한 안전교육의 내용을 가정과 기관의 두 측면에서 기술하고, 학우님께서 가정에서 ...
보육교사의 가장 중요하고 전문적인 자질과 역할
★보육교사의 역할 및 전문성★
[보육학개론] 탐구활동을 통한 과학교육프로그램 - 활동계획안, 활동안포함 PPT자료
보육시설조사보고서
영유아 학습의 기본전제에 대하여 설명하고 본인의 견지에서 이를 방해하는 요인에는 무엇이 ...
국가수준에서 실행되는 평가인증의 필요성과 평가인증이 현장의 다양한 프로그램의 실행에서 ...
영유아 프로그램개발과 평가 : 기관에서 국가수준의 교육과정에 기초하여 연간 교육과정을 계...
기관에서 국가수준의 교육과정에 기초하여 연간 교육과정을 계획하는 절차를 각 단계로 설명...
보육과 관련된 신문기사(혹은 사설도 상관없음) 1개를 스크랩하고, 기사 내용을 5줄 이하로 ...
[영유아보육학 공통]2004년 전면 개정된 [영유아보육법]의 주요 특성에 대해 설명, 이러한 특...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