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장으로 인한 한국인의 식사행태 및 식생활 변천과정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고대로부터의 간장의 역사

2. 조선 후기시절부터의 간장의 역사

3. 현대의 간장

4. 간장의 성분

5. 결론

6. 참고문헌

본문내용

장이다. 과학적 첨가분이 들어가 몸에 좋지 않은 영향을 끼칠 수도 있으나, 우리가 먹는 전 요리에 다 사용할 수가 있어서 그 편리성으로 인해서 사랑을 받고 있다.
4. 간장의 성분
① 글리세린 : 간장의 맛을 유지하는 성분
② 멜라닌 산 : 글리세린과 역시 간장의 맛을 유지하는 성분(신맛)
③ 마그네슘 : 마그네슘은 골격과 치아구성의 필수적인 무기질이며, 탄수화물, 지방, 단백질 및 핵산 대사의 여러과정에 필요한 효소를 활성화시키는 보조인자나 활성제 및 ATP의 구조적인 안정유지 및 에너지대사에 작용하는 성분으로 간장에는 염분으로서 존재한다.
④ 포도당 : 영양 생리상 가장 중요한 당으로 자연계에 널리 존재하며, 맥아당, 설탕, 젖당, 전분의 구성성분으로 곡류, 두류, 식이섬유의 구성물질로 존재를 하는데 간장의 경우 곡류의 포도당으로써 성분이 존재를 한다.
⑤ 단백질 : 탄소, 수소, 산소 및 질소 등의 원소로 구성이 되어 있는 유기화합물로 기본 구성은 아미노산이 결합하여 이루어진다. 이러한 아미노산 결합 중에 펩티드 결합을 형성하여 연쇄적으로 연결이 된 단백질을 형성하므로 간장의 맛을 지배하는 성분이다.
5. 결론
- 우리나라의 대표적 발효음식이라고 하면 간장을 절대로 빼놓을 수 없으며, 그 중요성에 대 해서도 더 언급할 필요가 없을 것 같다. 간장이 들어가지 않는 음식이 없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최근에 슬로푸드가 건강식으로 각광을 받고 있는데 한국의 전통음식만큼 느린 음 식도 세계에 드물다. 가능하다면 천천히 묵혀 먹는 것이 미덕인, ‘기다림의 미학’을 보여 주는 음식들이 한국 전통음식이다. ‘친구와 장맛은 오래될수록 좋다’는 속담도 한국음식의 특징을 잘 표현하는 말이 아닌가 싶다. 이러한 장류가 이렇게 발전이 된 것은 냉장고가 없 던 시절 옛날에는 사시사철 먹을 저장식품이 필수적이었다. 실제로 저장성 음식들은 한국 음식의 기본을 이루고 있다. 또한 간장은 콩으로 만들기 때문에 훌륭한 단백질 공급원이었 다. 따라서 장을 잘 담그는 솜씨가 바로 가족의 건강을 보존하는 공급원이었다. 따라서 장 을 잘 담그는 솜씨가 가족의 건강을 보존하는 지름길이었다.
6. 참고문헌
정혜경 저작 ‘한국음식 오디세이’ (‘07.12.6) 출판사 : 생각의 나무
윤서석 저작 ‘역사와 함께한 한국 식생활 문화’ (‘08.12.30) 출판사 : 신광출판사
민경찬 외 9명 공저 ‘기초영양학’ (‘07.2.28) 출판사 : 광문각
  • 가격1,3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12.04.30
  • 저작시기2012.4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74341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