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고대로부터의 간장의 역사
2. 조선 후기시절부터의 간장의 역사
3. 현대의 간장
4. 간장의 성분
5. 결론
6. 참고문헌
2. 조선 후기시절부터의 간장의 역사
3. 현대의 간장
4. 간장의 성분
5. 결론
6. 참고문헌
본문내용
장이다. 과학적 첨가분이 들어가 몸에 좋지 않은 영향을 끼칠 수도 있으나, 우리가 먹는 전 요리에 다 사용할 수가 있어서 그 편리성으로 인해서 사랑을 받고 있다.
4. 간장의 성분
① 글리세린 : 간장의 맛을 유지하는 성분
② 멜라닌 산 : 글리세린과 역시 간장의 맛을 유지하는 성분(신맛)
③ 마그네슘 : 마그네슘은 골격과 치아구성의 필수적인 무기질이며, 탄수화물, 지방, 단백질 및 핵산 대사의 여러과정에 필요한 효소를 활성화시키는 보조인자나 활성제 및 ATP의 구조적인 안정유지 및 에너지대사에 작용하는 성분으로 간장에는 염분으로서 존재한다.
④ 포도당 : 영양 생리상 가장 중요한 당으로 자연계에 널리 존재하며, 맥아당, 설탕, 젖당, 전분의 구성성분으로 곡류, 두류, 식이섬유의 구성물질로 존재를 하는데 간장의 경우 곡류의 포도당으로써 성분이 존재를 한다.
⑤ 단백질 : 탄소, 수소, 산소 및 질소 등의 원소로 구성이 되어 있는 유기화합물로 기본 구성은 아미노산이 결합하여 이루어진다. 이러한 아미노산 결합 중에 펩티드 결합을 형성하여 연쇄적으로 연결이 된 단백질을 형성하므로 간장의 맛을 지배하는 성분이다.
5. 결론
- 우리나라의 대표적 발효음식이라고 하면 간장을 절대로 빼놓을 수 없으며, 그 중요성에 대 해서도 더 언급할 필요가 없을 것 같다. 간장이 들어가지 않는 음식이 없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최근에 슬로푸드가 건강식으로 각광을 받고 있는데 한국의 전통음식만큼 느린 음 식도 세계에 드물다. 가능하다면 천천히 묵혀 먹는 것이 미덕인, ‘기다림의 미학’을 보여 주는 음식들이 한국 전통음식이다. ‘친구와 장맛은 오래될수록 좋다’는 속담도 한국음식의 특징을 잘 표현하는 말이 아닌가 싶다. 이러한 장류가 이렇게 발전이 된 것은 냉장고가 없 던 시절 옛날에는 사시사철 먹을 저장식품이 필수적이었다. 실제로 저장성 음식들은 한국 음식의 기본을 이루고 있다. 또한 간장은 콩으로 만들기 때문에 훌륭한 단백질 공급원이었 다. 따라서 장을 잘 담그는 솜씨가 바로 가족의 건강을 보존하는 공급원이었다. 따라서 장 을 잘 담그는 솜씨가 가족의 건강을 보존하는 지름길이었다.
6. 참고문헌
정혜경 저작 ‘한국음식 오디세이’ (‘07.12.6) 출판사 : 생각의 나무
윤서석 저작 ‘역사와 함께한 한국 식생활 문화’ (‘08.12.30) 출판사 : 신광출판사
민경찬 외 9명 공저 ‘기초영양학’ (‘07.2.28) 출판사 : 광문각
4. 간장의 성분
① 글리세린 : 간장의 맛을 유지하는 성분
② 멜라닌 산 : 글리세린과 역시 간장의 맛을 유지하는 성분(신맛)
③ 마그네슘 : 마그네슘은 골격과 치아구성의 필수적인 무기질이며, 탄수화물, 지방, 단백질 및 핵산 대사의 여러과정에 필요한 효소를 활성화시키는 보조인자나 활성제 및 ATP의 구조적인 안정유지 및 에너지대사에 작용하는 성분으로 간장에는 염분으로서 존재한다.
④ 포도당 : 영양 생리상 가장 중요한 당으로 자연계에 널리 존재하며, 맥아당, 설탕, 젖당, 전분의 구성성분으로 곡류, 두류, 식이섬유의 구성물질로 존재를 하는데 간장의 경우 곡류의 포도당으로써 성분이 존재를 한다.
⑤ 단백질 : 탄소, 수소, 산소 및 질소 등의 원소로 구성이 되어 있는 유기화합물로 기본 구성은 아미노산이 결합하여 이루어진다. 이러한 아미노산 결합 중에 펩티드 결합을 형성하여 연쇄적으로 연결이 된 단백질을 형성하므로 간장의 맛을 지배하는 성분이다.
5. 결론
- 우리나라의 대표적 발효음식이라고 하면 간장을 절대로 빼놓을 수 없으며, 그 중요성에 대 해서도 더 언급할 필요가 없을 것 같다. 간장이 들어가지 않는 음식이 없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최근에 슬로푸드가 건강식으로 각광을 받고 있는데 한국의 전통음식만큼 느린 음 식도 세계에 드물다. 가능하다면 천천히 묵혀 먹는 것이 미덕인, ‘기다림의 미학’을 보여 주는 음식들이 한국 전통음식이다. ‘친구와 장맛은 오래될수록 좋다’는 속담도 한국음식의 특징을 잘 표현하는 말이 아닌가 싶다. 이러한 장류가 이렇게 발전이 된 것은 냉장고가 없 던 시절 옛날에는 사시사철 먹을 저장식품이 필수적이었다. 실제로 저장성 음식들은 한국 음식의 기본을 이루고 있다. 또한 간장은 콩으로 만들기 때문에 훌륭한 단백질 공급원이었 다. 따라서 장을 잘 담그는 솜씨가 바로 가족의 건강을 보존하는 공급원이었다. 따라서 장 을 잘 담그는 솜씨가 가족의 건강을 보존하는 지름길이었다.
6. 참고문헌
정혜경 저작 ‘한국음식 오디세이’ (‘07.12.6) 출판사 : 생각의 나무
윤서석 저작 ‘역사와 함께한 한국 식생활 문화’ (‘08.12.30) 출판사 : 신광출판사
민경찬 외 9명 공저 ‘기초영양학’ (‘07.2.28) 출판사 : 광문각
추천자료
'빈곤과 빈곤가족의 복지'에 관한 총체적 보고서
IT의 발달과 사회변화
한국 스포츠 마케팅의 경쟁력 확보 방안
조선시대와 고려시대 여성들의 삶과 사회,경제적 지위에 관한 비교
[정부규제론]식품 첨가물과 식품규제
노년기 여가생활 향상을 위한 컴퓨터 활용 활성화 및 정보화교육프로그램 개선방안
명품시장 현황과 명품 브랜드 마케팅 전략
노인의 신체활동
뇌성마비(뇌성마비아동, 뇌성마비장애인) 검사와 간호, 뇌성마비(뇌성마비아동, 뇌성마비장애...
[사회보장론] 한국과 네덜란드의 장기요양보험제도 비교 분석.pptx
<사회복지 실제 선정 프로포절> - “SPECIAL 시즌 2 - 따로, 또 같이” 멘토링 및 네트워크 축...
뉴거버넌스 사례 - 한국의 전자정부 운영 실태(뉴거버넌스와 전자정부)
[우리나라 사회복지 역사] 한국 사회복지 발달사(발달과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