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장애의 유형
① 기능상실
② 기능장애
③ 사회적 장애
■ 장애인 복지법
◆ 장애인복지법 시행령
2. 장애인복지의 이념
3. 장애인복지서비스
4. 사회복지사의 역할
5. 한국의 장애인복지
① 기능상실
② 기능장애
③ 사회적 장애
■ 장애인 복지법
◆ 장애인복지법 시행령
2. 장애인복지의 이념
3. 장애인복지서비스
4. 사회복지사의 역할
5. 한국의 장애인복지
본문내용
9장 장애인복지
1. 장애의 유형
① 기능상실
- 원래 상태로 되돌아갈 수 없는 영구적 장애
- 외적 손상, 정신적 기능 상실도 포함
- 의학적 진단에 의해 범위와 정도가 규정됨
② 기능장애
- 기능상실로 인해 일상생활을 영위하는 능력에 제한을 받는 것으로 이차적 장애
③ 사회적 장애
- 선천성 질환, 고령, 질병, 사고 등으로 인한 기능상실과 능력장애
■ 장애인 복지법
- 신체적 , 정신적 장애로 장기간에 걸쳐 일상생활
또는 사회생활에 상당한 제약을 받는 자로 규정
1. 신체적 장애 : 주요 외부 신체기능의 장애
내부기관 장애 등
2. 정신적 장애 : 지적 장애
정신질환으로 발생하는 장애
◆ 장애인복지법 시행령
- 지체장애인, 뇌병변장애인, 시각장애인, 청각장애인, 언어장애인, 지적장애인, 자폐성장애인, 정신장애인, 신장장애인, 심장장애인, 호흡기장애인, 간장애인, 안면장애인, 장루 요루장애인, 간질장애인 등 15가지로 분류
1. 장애의 유형
① 기능상실
- 원래 상태로 되돌아갈 수 없는 영구적 장애
- 외적 손상, 정신적 기능 상실도 포함
- 의학적 진단에 의해 범위와 정도가 규정됨
② 기능장애
- 기능상실로 인해 일상생활을 영위하는 능력에 제한을 받는 것으로 이차적 장애
③ 사회적 장애
- 선천성 질환, 고령, 질병, 사고 등으로 인한 기능상실과 능력장애
■ 장애인 복지법
- 신체적 , 정신적 장애로 장기간에 걸쳐 일상생활
또는 사회생활에 상당한 제약을 받는 자로 규정
1. 신체적 장애 : 주요 외부 신체기능의 장애
내부기관 장애 등
2. 정신적 장애 : 지적 장애
정신질환으로 발생하는 장애
◆ 장애인복지법 시행령
- 지체장애인, 뇌병변장애인, 시각장애인, 청각장애인, 언어장애인, 지적장애인, 자폐성장애인, 정신장애인, 신장장애인, 심장장애인, 호흡기장애인, 간장애인, 안면장애인, 장루 요루장애인, 간질장애인 등 15가지로 분류
추천자료
학교 내에서의 장애인(장애학생)의 권리 그리고 인권- 장애학생의 교육권에 대해 -
장애인의 고용증진을 위한 직업재활시설의 관리방안
장애인 가족 문제 연구 고찰
장애인가족의 자립적 역량강화와 가족지원 서비스모델
장애인 정책의 현안과 증진에 관한 연구
[장애인그룹홈][그룹홈]장애인그룹홈의 개념, 장애인그룹홈의 특성, 장애인그룹홈의 장점, 장...
장애인을 위한 자원봉사기관의 유형별 분류, 자원봉사 프로그램 사례
우리나라 장애인 등록제도 및 문제점
여성장애인의 차별과 차별해소를 위한 방안 ( 여성장애인의 현황, 여성장애인 차별, 장애여성...
장애인 자립생활을 위한 활동보조서비스의 이론적 배경을 설명하고 우리나라의 현황과 개선점...
[아동복지] 자폐아의 부적응 문제 (자폐아동의 실태 및 문제제기, 자폐아동의 정의·특성·진단...
[인간행동과 사회환경 人間行動 社會環境] 장애인복지서비스의 개념과 목표 혹은 원칙과 유형...
[장애인복지론] 권익옹호의 개념과 유형을 이해하고 권익옹호의 실천을 위한 사회복지사의 역...
아동권리와복지-다음 보육장애학대시설보호가정위탁입양한부모가정다문화가정 아동복지의 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