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Krashen(크라센)의 습득/학습 구분 가설
2. Krashen(크라센)의 자연순설 가설
3. Krashen(크라센)의 감시장치 가설
4. Krashen(크라센)의 입력 가설
5. Krashen(크라센)의 정의적 여과 가설
2. Krashen(크라센)의 자연순설 가설
3. Krashen(크라센)의 감시장치 가설
4. Krashen(크라센)의 입력 가설
5. Krashen(크라센)의 정의적 여과 가설
본문내용
기를 결정하고, 언어를 습득하는 속도를 조정하는 일이다. 지금까지 Krashen이 주장하는 이상 다섯 개의 가설은 상호적으로 영향을 미침으로 통합적으로 설명을 할 수 있다. 우선 습득이라 함은 무의식적인 것이며, 학습이라 함은 인위적인 의식적인 과정으로 볼 수 있으며, 이 두 체계의 조정을 통해 발화가 이루어진다는 것이다. 그의 이론은 입력가설, 습득과 학습가설, 조정자 가설, 자연적 순서가설, 감정적 여과기 가설 등 5가지 주요 가설로 나뉘어진다. 이 모델을 종합하여 설명해본다면, 우선 이해할 만한 입력을 주면 감정적인 여과기를 통해 언어습득장치인 LAD에 도달한다. 이때 학습자의 심리적인 상황이 상당히 큰 영향을 미칠 수 있는데 특히, 학습에 대한 불안이나 수치심 등은 컴퓨터를 활용하여 학습할 경우 제거될 수 있는 것들이다. 이를 통과하여 습득이 이루어지며, 습득된 지식은 학습을 통해 이루어진 지식에 의해 조정을 받아 발화가 이루어진다. 이러한 과정에서 자연적인 순서 가설은 언어습득이 이루어질 때 이와 같이 일정한 자연적인 순서에 입각하여 이루어진다는 것이다.
참고자료
외국어 교육 이론과 실제
Krashen 지음 /김윤경 옮김/한국문화사(2000)
참고자료
외국어 교육 이론과 실제
Krashen 지음 /김윤경 옮김/한국문화사(2000)
추천자료
사회복지 자료 분석론
정의적 요인에 대한 고찰
마음에 대한 계산이론 The Computational Theory of Mind and The Possibility of A.I
측정과 척도
통신언어와 인터넷 언어의 사용의 문제점 및 해결방안
알기 쉬운 인공 신경망 개념 및 계산 과정 설명 ( Neural Network )
수사행정의 이해
마음을 묻다 5챕터 요약
아동발달 인지발달 정보처리 접근1
마케팅 조사론 9장 요약
RFID와 GPS 기술을 접목한 네비게이션(내비게이션) 쇼핑카트의 상용화 가능성에 대한 연구
[수치해석][수치][해석][통계함수][수학][MATLAB][수치해법][수치해석방법]수치해석과 통계함...
[사회복지조사론] 통계분석의 이해 - 자료분석의 준비와 통계분석의 분류 및 기술통계와 분석...
자료처리와 통계분석 : 자료처리와 통계분석의 방법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