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들어가는 말
Ⅱ. 본 말
Ⅲ. 나가는 말
Ⅱ. 본 말
Ⅲ. 나가는 말
본문내용
차이는 분명하다. 이는 대화방식이나 사고방식이 다를 수밖에 없고, 이에 대한 접근 방식도 달라질 수밖에 없다는 것이다. 이것은 대화에 있어서 기본조건이 되어야 할 것이다.
천주실의에 마테오 리치는 서양이 동양에게 기독교를 설명하기 위해 노력을 한다. 하지만 대화의 설기가 엉성하다는 생각이 들었다. 왜냐하면 각자의 동서양의 차이를 이해하려는 시도가 신앙이나 문화보다는 학문의 부분에 맞춰있기 때문이다. 분명한 것은 동서양의 내세를 인간의 언어로 설명하기에는 한계가 분명이 있다. 이것은 경험보다는 인간의 사고에서 구축하고 이를 언어로 설명해야 하기 때문이다. 이러한 전제에서 내세를 이해시킨다는 것, 특히 서양의 내세를 동양에 설명한다는 것은 지난한 과정을 거쳐야 할 것이다. 이것은 종교 간의 대화에서도 마찬가지 일 것이다.
끝으로 발제자는 마테오리치에게 긍정적인 평가를 내려주고 싶다. 그 이유 중 가장 결정적으로 작용한 것은 리치의 포기하지 않는 대화노력 그리고 기독교 선교사에 토착화의 노력이 엿보였다는 것이다. 특히 동양적 천주의 발견, 이는 우리에게 하나님의 존재를 존재의 상을 야훼나 테오스 등이 아닌 동양의 하나님으로 받아드린 첫 번째였기 때문이다.
천주실의에 마테오 리치는 서양이 동양에게 기독교를 설명하기 위해 노력을 한다. 하지만 대화의 설기가 엉성하다는 생각이 들었다. 왜냐하면 각자의 동서양의 차이를 이해하려는 시도가 신앙이나 문화보다는 학문의 부분에 맞춰있기 때문이다. 분명한 것은 동서양의 내세를 인간의 언어로 설명하기에는 한계가 분명이 있다. 이것은 경험보다는 인간의 사고에서 구축하고 이를 언어로 설명해야 하기 때문이다. 이러한 전제에서 내세를 이해시킨다는 것, 특히 서양의 내세를 동양에 설명한다는 것은 지난한 과정을 거쳐야 할 것이다. 이것은 종교 간의 대화에서도 마찬가지 일 것이다.
끝으로 발제자는 마테오리치에게 긍정적인 평가를 내려주고 싶다. 그 이유 중 가장 결정적으로 작용한 것은 리치의 포기하지 않는 대화노력 그리고 기독교 선교사에 토착화의 노력이 엿보였다는 것이다. 특히 동양적 천주의 발견, 이는 우리에게 하나님의 존재를 존재의 상을 야훼나 테오스 등이 아닌 동양의 하나님으로 받아드린 첫 번째였기 때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