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서론
1) 연구의 배경
2) 연구 목적
3) 연구 구성
4) 고려되는 변수
2. 고려되는 변수와 가설
3. 자료 및 회귀분석, 통계량
1) 자료
2) 변수들의 기본 통계량
3) 쌀 생산량과 재배면적 간의 관계
4) 쌀 생산량과 여름 일조시간 간의 관계
5) 기술 통계
6) 상관 계수
7) 회귀분석 통계량
8) 분산분석
9) 계수
4. 결론
1) 결론
2) 참고자료
1) 연구의 배경
2) 연구 목적
3) 연구 구성
4) 고려되는 변수
2. 고려되는 변수와 가설
3. 자료 및 회귀분석, 통계량
1) 자료
2) 변수들의 기본 통계량
3) 쌀 생산량과 재배면적 간의 관계
4) 쌀 생산량과 여름 일조시간 간의 관계
5) 기술 통계
6) 상관 계수
7) 회귀분석 통계량
8) 분산분석
9) 계수
4. 결론
1) 결론
2) 참고자료
본문내용
계수는 0.53091로 나타났다. 두 독립변수와 종속변수는 모두 정적인 상관관계를 나타내고 있다. 그리고 두 독립변수간의 상관관계는 0.37807로 나타났다.
독립변수가 두개 이상이 되는 다중회귀모형에서 설명변수간의 선형적인 관계를 의미하는 다중공선성의 존재여부를 파악해야 한다.
상관표에서 나타난 바로는 두 독립변수의 상관계수는 0.37807로 선형관계가 확실하지 않고 공선성이 낮다고 볼 수 있다.
5) 회귀분석 통계량
회귀분석 통계량
다중 상관계수 ( R )
0.852784439
결정계수 ( R2 )
0.727241299
조정된 결정계수
0.70126428
표준 오차
242316.7158
관측수
24
위의 회귀분석 통계량 표에 결정계수 R2 이 나와 있다. 표의 결정계수에 따르면 쌀 생산량의 72%이상이 재배면적과 여름 일조량의 변화로 관찰 되고 있다는 것을 볼 수 있다.
6) 분산분석
자유도
제곱합
제곱 평균
F 비
유의한 F
회귀
2
3.29E+12
1.64E+12
27.99556
1.19E-06
잔차
21
1.23E+12
5.87E+10
계
23
4.52E+12
분산분석 표는 회귀식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지를 검정한 결과를 보여준다. 전체 분산 중 회귀식에 의해 설명된 것과, 잔차로 설명되지 않은 분산을 보여 준다. F 값을 보면 유의성을 확인할 수 있다.
7) 계수
계수
표준 오차
t 통계량
P-값
하위 95%
상위 95%
Y 절편
1013814.3
564742.7
1.795179
0.087032
-160632.5
2188261.062
재배면적
3.0588897
0.522376
5.855723
8.2E-06
1.9725491
4.145230246
일조시간
1609.7964
766.987
2.098857
0.048099
14.75961
3204.833167
계량경제 모형 yt = β₁+ β₂b t + β3ct + et 에서 β₁과 β₂, β3의 최소제곱추정값(BLUE)이 계산되어져 나왔다. 최소제곱 추정값은 β₁=1013814.3, β₂=3.0588897, β3=1609.7964 로 나타나고 b t (t=1,2,3) 로 표기 된다. 최소제곱 추정값으로 대체시키면 다음과 같다.
yt = 1013814.3 + 3.0588897at +1609.7964bt + et
각각의 t통계량과 P-값은 귀무가설과 대립가설을 세우고 t-분포의 임계값과 정한 유의수준(α) 로 귀무가설의 기각여부와 귀무가성의 기각에 의한 대립가설 채택하는 여부를 결정하는데 이용된다. 그리고 신뢰도를 95%로 설정해서 산출한 결과 재배면적이 1ha 변동에 의해 쌀 생산량은 1.9725491 ton에서 4.145230246 ton, 여름 일조시간 1 hr 변동에 의해 쌀 생산량은 14.75961ton에서 3204.833167 ton 만큼 변화할 신뢰도가 95%라는 것을 알 수 있다.
4. 결론
1) 결론
보고서에 대해서 쌀 생산량을 종속변수로 정하면서 연간 쌀 생산량은 연간 재배면적의 변화와 여름 일조시간의 변화에 의해서 영향을 받고 쌀 생산량이 점점 줄어들고 있기에 재배면적과 여름 일조시간 또한 줄어들어서 그 영향이 있다고 가정을 세우고 시작을 하였다. 그리고 자료를 수집하고 엑셀을 통해서 확인해본 결과 재배면적과 여름 일조량의 변화는 쌀 생산량의 변화에 영향을 준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길지 않은 시간동안 이었지만 평소 자주 생각하지 않았던 쌀에 대해서 많은 생각을 해보았던 것이 가장 큰 장점이었던 것 같다. 그리고 재배면적에 대해서는 토지라는 부분인데 국토가 작은 우리나라에서 산업을 발전으로 인해 농지가 줄어 들고 있는 것 또한 사실이다. 그러나 그것뿐만 아니라 보고서를 작성을 하면서 왜 쌀 재배면적이 줄어들었을까 하는 궁금증에 정보를 수집해본 결과. 쌀 생산에 대한 생산비 부분과 생산 이익에등에 의해서 쌀을 생산하고 남는 이윤이 줄어들게 되면서 다른 재배작물로 전향하게 되고 그러면서 쌀 재배지를 타른 타 작물 재배지로 바꾸는 등의 사례를 알 수 있게 되었다.
4. 참고문헌
전체적인 자료는 ‘통계청’( http://www.nso.go.kr/ )을 통해서 얻었고, 상세하게는 쌀 생산량과 재배면적에 대한 자료는 ‘국가통계포털’ ( http://www.kosis.kr/ )으로 검색을 ‘통해서농업통계정보‘ 를 통해서 얻을 수 있었고 여름 일조량에 관한자료는 e-나라지표( http://www.index.go.kr/egams/default.jsp)
를 통하여 얻을 수 있었다.
독립변수가 두개 이상이 되는 다중회귀모형에서 설명변수간의 선형적인 관계를 의미하는 다중공선성의 존재여부를 파악해야 한다.
상관표에서 나타난 바로는 두 독립변수의 상관계수는 0.37807로 선형관계가 확실하지 않고 공선성이 낮다고 볼 수 있다.
5) 회귀분석 통계량
회귀분석 통계량
다중 상관계수 ( R )
0.852784439
결정계수 ( R2 )
0.727241299
조정된 결정계수
0.70126428
표준 오차
242316.7158
관측수
24
위의 회귀분석 통계량 표에 결정계수 R2 이 나와 있다. 표의 결정계수에 따르면 쌀 생산량의 72%이상이 재배면적과 여름 일조량의 변화로 관찰 되고 있다는 것을 볼 수 있다.
6) 분산분석
자유도
제곱합
제곱 평균
F 비
유의한 F
회귀
2
3.29E+12
1.64E+12
27.99556
1.19E-06
잔차
21
1.23E+12
5.87E+10
계
23
4.52E+12
분산분석 표는 회귀식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지를 검정한 결과를 보여준다. 전체 분산 중 회귀식에 의해 설명된 것과, 잔차로 설명되지 않은 분산을 보여 준다. F 값을 보면 유의성을 확인할 수 있다.
7) 계수
계수
표준 오차
t 통계량
P-값
하위 95%
상위 95%
Y 절편
1013814.3
564742.7
1.795179
0.087032
-160632.5
2188261.062
재배면적
3.0588897
0.522376
5.855723
8.2E-06
1.9725491
4.145230246
일조시간
1609.7964
766.987
2.098857
0.048099
14.75961
3204.833167
계량경제 모형 yt = β₁+ β₂b t + β3ct + et 에서 β₁과 β₂, β3의 최소제곱추정값(BLUE)이 계산되어져 나왔다. 최소제곱 추정값은 β₁=1013814.3, β₂=3.0588897, β3=1609.7964 로 나타나고 b t (t=1,2,3) 로 표기 된다. 최소제곱 추정값으로 대체시키면 다음과 같다.
yt = 1013814.3 + 3.0588897at +1609.7964bt + et
각각의 t통계량과 P-값은 귀무가설과 대립가설을 세우고 t-분포의 임계값과 정한 유의수준(α) 로 귀무가설의 기각여부와 귀무가성의 기각에 의한 대립가설 채택하는 여부를 결정하는데 이용된다. 그리고 신뢰도를 95%로 설정해서 산출한 결과 재배면적이 1ha 변동에 의해 쌀 생산량은 1.9725491 ton에서 4.145230246 ton, 여름 일조시간 1 hr 변동에 의해 쌀 생산량은 14.75961ton에서 3204.833167 ton 만큼 변화할 신뢰도가 95%라는 것을 알 수 있다.
4. 결론
1) 결론
보고서에 대해서 쌀 생산량을 종속변수로 정하면서 연간 쌀 생산량은 연간 재배면적의 변화와 여름 일조시간의 변화에 의해서 영향을 받고 쌀 생산량이 점점 줄어들고 있기에 재배면적과 여름 일조시간 또한 줄어들어서 그 영향이 있다고 가정을 세우고 시작을 하였다. 그리고 자료를 수집하고 엑셀을 통해서 확인해본 결과 재배면적과 여름 일조량의 변화는 쌀 생산량의 변화에 영향을 준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길지 않은 시간동안 이었지만 평소 자주 생각하지 않았던 쌀에 대해서 많은 생각을 해보았던 것이 가장 큰 장점이었던 것 같다. 그리고 재배면적에 대해서는 토지라는 부분인데 국토가 작은 우리나라에서 산업을 발전으로 인해 농지가 줄어 들고 있는 것 또한 사실이다. 그러나 그것뿐만 아니라 보고서를 작성을 하면서 왜 쌀 재배면적이 줄어들었을까 하는 궁금증에 정보를 수집해본 결과. 쌀 생산에 대한 생산비 부분과 생산 이익에등에 의해서 쌀을 생산하고 남는 이윤이 줄어들게 되면서 다른 재배작물로 전향하게 되고 그러면서 쌀 재배지를 타른 타 작물 재배지로 바꾸는 등의 사례를 알 수 있게 되었다.
4. 참고문헌
전체적인 자료는 ‘통계청’( http://www.nso.go.kr/ )을 통해서 얻었고, 상세하게는 쌀 생산량과 재배면적에 대한 자료는 ‘국가통계포털’ ( http://www.kosis.kr/ )으로 검색을 ‘통해서농업통계정보‘ 를 통해서 얻을 수 있었고 여름 일조량에 관한자료는 e-나라지표( http://www.index.go.kr/egams/default.jsp)
를 통하여 얻을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