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혈 관리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 수혈 (Transfusion)

‣ 수혈 시 준비물품

‣ 수혈 준비 사항

‣ 혈액의 종류

‣ 자가 수혈

‣ 방사선 조사 혈액제제

■ 수혈관리의 일반지침 및 수혈사고 예방원칙

1) 혈액의 가온

2) 혈액 주입시간

3) 정맥주입용액의 동시사

4) 혈액필터의 사용

3. 혈액요청과 수령, 반납, 폐기

1) 요청과 수령

2) 반납

3) 혈액 폐기

4. 수혈부작용

1) 급성용혈성 수혈부작용

2) 지연성 용혈성 수혈부작용

3) 비면역성 용혈성 수혈부작용

4) 발열성 비용혈성 수혈부작용

5) 급성 폐손상

6) 비면역성 발열성 수혈부작용

7) 혈장단백에 대한 부작용

8) 비면역성, 비용혈성 수혈부작용

9) 동종면역

5. 수혈간호

Ⅱ. 성분수혈

1. 성분수혈의 필요성

2. Apheresis 방법

3. 성분헌혈이 일반헌혈과 다른점

본문내용

et chamber 내 filter능력이 떨어짐으로 2pints
마다 set를 교환하는 것이 좋다.10) blood 주입시 주입 line으로 medication 하지 않는다.11) 적혈구는 보통 1pint를 2시간정도로 주입하고 혈소판은 혈액성분의 파괴를 방
지하기 위해 빠른 시간 내에 주입한다.(5~15분/bag or 10cc/min)12) 수혈시작과 끝을 낼 때에는 수혈혈액 출고전표에 시간과 환자상태를 기록하고
수혈 bag에 부착된 스티커는 수혈혈액출고전표 뒷면에다 붙인다.13) 수혈후 빈 bag은 set와 함께 적출물통에다 버린다.14) I/O check 시 섭취량에 혈액의 주입된 용량을 기록한다.Ⅱ. 성분수혈1. 성분수혈의 필요성① 성분별로 분류되어져서 수혈함으로 환자의 순환계 부담을 경감시킨다.② 성분들이 농축된 상태이므로 높은 치료효과가 있다.③ 불필요한 성분을 함께 수혈함으로써 올 수 있는 부작용을 방지할 수 있다.
④ 혈청바이러스 간염의 발생을 감소시킬 수가 있다.
⑤ 1pint의 전혈로써 성분요법을 하면 여러 환자에게 사용됨으로 경제적이다.
2. Apheresis 방법
① 성분헌혈예정자는 성분헌혈실에서 헌혈에 필요한 혈액검사를 받는다.
② 수혈이 필요할 때 병동에서 성분헌혈실(T. 3409)로 예약한다.
③ 성분헌혈실에서는 검사결과와 제반사항을 재확인 한 후 모든 상태가 되면 성분
헌혈을 시작한다.
④ 혈액성분 채집기를 이용하여 혈액을 원심분리법으로 혈장, 혈소판, 백혈구, 적
혈구의 층으로 각각 분리하여 이들 중 혈소판 성분만을 채취하게 된다. 채집용량은 약 200ml~250ml 이며 나머지 혈액성분은 헌혈자에게 모두 자동으로 되돌아 간다.
3. 성분헌혈이 일반헌혈과 다른점
① 헌혈자 1인으로부터 일반헌혈 6명에 해당되는 혈소판을 얻
을 수 있으므로 매우 효율적인 헌혈방법 이다. 헌혈후에도
혈액구성성분은 정상범위이며 혈소판은 3~4일 후면 원상복
구 되므로 재헌혈을 원할 경우에는 72시간이 경과 후 다시
성분헌혈을 할 수 있다. 따라서 다량수혈에 따른 환자의 감
염률 및 혈소판 항체의 발생률을 최소화 시킬 수 있는 장점
이 있다.
② 헌혈자의 혈액손실은 주로 혈장과 혈소판이며 그 양은 불
과 100g 수준이므로 헌혈에 의한 빈혈이나 저혈압 등은 발생되지 않는다.
③ Platelet Apheresis 유효기간 실온에서 continuous agitation 하에서 5일간 유
효하다.

키워드

  • 가격1,8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12.05.15
  • 저작시기2011.1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74624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