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음파 속도 측정에 의한 비파괴 시험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본문내용

향 크기
- 철근 및 강선의 유무 - 콘크리트의 함수비
(4) 콘크리트 내부의 큰 공극이나 공동의 탐지
콘크리트 내부에 큰 공동이 있을 경우, 변환기들 사이를 전파하는 펄스의 전파시간을 측정하여 그 공동을 탐지할 수 있다. 이때 두 변환기들 사이 일직선 상에 공동이 놓여지도록, 변환기들을 정렬해야 한다. 이러한 공동의 크기와 위치는, 변환기들 사이 그리고 공동 주위로 가장 짧은 경로를 따라 펄스들이 통과하는 것으로 가정하여, 추정할 수 있다. 만약 공동이 균일한 밀도의 콘크리트로 둘러 쌓인 잘 정의된 경계를 가지고 있다면, 이러한 추정 값들은 더 신뢰성이 있을 것이다. 공동의 투영면적이 변환기의 직경보다 더 작을 경우 공동은 탐지되지 않는다.
(5) 콘크리트 표면에 있는 균열 깊이 추정
콘크리트 표면에 나타난 균열의 깊이는, 두 가지 다른 변환기 정렬 방법에 대해 균열을 가로지르는 전파 시간들을 측정하여, 추정할 수 있다. 거리는 두 가지(x1,x2)가 선택되는데 x2=2x1 이다. 이들에 대한 전파시간들 (T1, T2)이 측정된다. 이때 균열 깊이(C)는,
균열면은 콘크리트 표면에 직교하며, 균열 근처에 있는 콘크리트는 상당히 균일한 성질을 가진 것으로 가정하여 식을 유도할 수 있다.
※ 복합법(조합법)에 의한 압축강도 추정
(1) 일반사항
1) 복합법이란 비파괴검사 방법중 2가지 이상의 결과를 이용, 상호보완하여 콘크리트의 품질상태를 추정하는 방식으로서, 가장 일반적인 방법으로는 반발경도법과 초음파탐사법을 이용한 조합법이 있다.
2) 복합법을 현장구조물에 적용하는데는 콘크리트 강도추정을 위한 각 비파괴 시험법들이 그러하듯이 콘크리트 배합조건, 사용이력 및 현장상태, 사용자의 전문성 등에 따라 압축강도와의 상관관계에 많은 영향을 미치므로 한계가 있다.
3) 일본건축확회의 \"콘크리트 강도추정을 위한 비파괴 시험방법 매뉴얼\"에 의하면 복합법에 의한 압축강도의 추정은 100㎏/㎠ 이상 600㎏/㎠ 이하의 콘크리트에 대해서만 적용하며, 재령이 3개월 이상인 콘크리트에서의 반발도(R)는 실측치의 0.9배로 하고 초음파속도(Vp)는 직접법에 의한 측정값만을 사용하도록 하고 있으므로 표면법에 의한 Vp를 사용할 경우에는 보완하여 사용하여야 한다.
(2) 강도추정방법
지금까지 제안되어 온 실험식 중 대표적인 것은 다음과 같다.
1) RILEM CNDT소위원회 공동실험결과 제안식
F\'c = 8.2Ro + 269 Vp -1094
2) RILEM식
log10 Fc = 0.3794Vp + 0.01149Ro + 0.4332
F\'c = 0.85 Fc
여기서, F\'c : 콘크리크 강도
- Ro : Schmidt Hammer에의한 보정 반발강도
- Vp : 초음파 전달속도(Km/sec)
- 복합법 중 가장 일반적인 방법인 반발경도법과 초음파탐사법을 이용한 조합법으로 분석 한 결과를 각측정분과 평균강도를 도출한다. 따라서, 설계기준 강도와 비교하여 전체적 으로 시설물의 강도에 문제 여부를 판단되며, 각 시설물별 추정 압축강도를 표를 사용 정리하면 파악이 쉽다.
  • 가격9,66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12.10.23
  • 저작시기2008.4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74711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