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계설계] 형상분석 실험 결과 보고서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실험 목적

2. 실험 내용

3. 실험 장치 및 방법

4. 실험결과

5. 결론

6. 토의

- 참고문헌

본문내용

이 있을 시에는 주철이 물질의 재료로 가장 적합함을 확인 할 수 있었다.
밀도(비중) 값
황 동
8.4
주 철
7.25
알루미늄
2.8
이 리 듐
22.5
니 켈
8.85
표2. 분동의 주 재료 및 물성 값()
6. 토의
이번실험은 금속의 재료를 추측하기 위해 3D 스캐너로 2kg 질량의 분동을 촬영하여, UG를 이용 분동의 각 부분 지름과 높이를 측정하여 부피를 계산하고 밀도를 계산하는 실험 이였다.
금속의 재료를 Guess하는 과정에서 금속표를 보니 아연이나 주석 등 밀도가 비슷한 것들이 많아서 재료를 확신하는데 어려움이 있었고, 생각보다 3D스캐닝 결과가 깨끗하지 못하여 정확한 분동의 치수측정이 어려워서 3D 스캐닝 결과를 UG NX6.0으로 모델링 하는 과정에서 분동의 부피 계산에 오차가 있으리라고 본다. 특히 분동의 윗부분 헤드부분을 일반 원기둥으로 잡았는데 실제는 약간 옆면이 둥근 형태의 구 모양이었다. 하지만 충분한 3D스캐닝 값이 없어서 일반화 시켜 적용하였다. 따라서 그 오차 때문에 재료를 Guess하는데 있어서 오차가 발생했을 것으로 생각된다. 난생 처음 3D 스캐너를 접하게 되어서 매우 신기했다. 초록색의 빛을 쏘아서 빠른 시간에 많은 결과를 얻었으며, 어떠한 원인이 작용했는지는 모르겠지만 스캔의 결과가 깨끗하게 나오지 않았다. 3D스캐너는 레이저를 쏘아서 물체에 닿았다가 반사되어 돌아오는 레이저를 잡아서 거리에 따라 물체를 미세한 point로 그리는 방식으로 생각하는데 실험당시 컴퓨터 모니터로부터의 빛, 실험실 밖에서 새어 들어오는 빛에 의해 3D 스캔과정에 noise가 발생했을 가능성과 분동의 모서리 부분이 면과 면의 수직으로 이루어져 있지 않고, 둥그스름하게 이루어져 있어서 3D 스캐너의 레이저가 분동의 앞부분에는 잘 반사하나 옆 부분으로 갈수록 다른 곳으로 반사하면서 옆으로 갈수록 스캐닝 값이 없었던 것 같다. 또한 위치를 바꾸어 한번이나 두 번 정도 더 스캐닝을 하였다면 조금 더 자세한 데이터를 얻을 수 있었을 것이다.
- 참고문헌
네이버 백과사전
http://100.naver.com/100.nhn?docid=129307
금속의 물성표
http://cafe.naver.com/techmecha.cafe?iframe_url=/ArticleRead.nhn%3Farticleid=844
http://en.wikipedia.org/wiki/List_of_elements_by_density

키워드

  • 가격1,8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12.05.17
  • 저작시기2012.4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74727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