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실험 제목
2. 배경 이론
3. 실험 결과
4. 고찰 및 논의
5. 참고 문헌
추가 과제
2. 배경 이론
3. 실험 결과
4. 고찰 및 논의
5. 참고 문헌
추가 과제
본문내용
980, p 6380.
<5>, <6> M.J. Waring , "Complex formation between ethidium bromide and nucleic acids.", Journal of Molecular Biology 13 , 1965, (1): p 269282.
<7> Albert A-C, Spirito F Figueroa-Bossi N, Bossi L Rahmouni AR, "Hyper-negative template DNA supercoiling during transcription of the tetracycline-resistance gene in topA mutants is largely constrained in vivo", Nucl Acids Res 24, 1996, (15): pp. 30933099.
<8> http://en.wikipedia.org/wiki/Nick_(DNA)
<9> http://biochemistry.yonsei.ac.kr/biochem_molecular/gene_cloning_11.php
<11> Tord A. Hjalt Brad A. Amendt Jeffrey C. Murray, "Regulates Procollagen Lysyl Hydroxylase (PLOD) Gene Expression: Implications for the Pathology of Rieger Syndrome", The Journal of Cell Biology, Vol. 152, No. 3, 2001.02.05, pp. 545-552 .
<12> 녹취 자료, 녹취 대상; 이서우, 녹취 시각 2011.05.15 오후 10:26, 녹취한 사람; 우현준
추가 과제
다음은 우리가 사용한 pGEX-4T-1 vector의 restriction map이다. <13> 여기서 ssbp1가 삽입된 plasmid라고 생각하고 더블컷(EcoR I와 Pst I를 처리해준다)을 했을 때 나오는 밴드를 아래의 format에 그려보겠다. EcoR I이 처리되면 삽입되어 있던 ssbp1이 잘려 나오고, pGEX-4T-1 vector의 EcoR I 절단 자리가 잘린 상태로 유지된다. 그리고 Pst I이 처리되면 Pst 1의 절단 자리가 잘린다. 따라서 총 두 자리가 잘리게 되는데 ssbp1에도 Pst I의 인식 부위가 있는지 확인해야 한다. 하지만 찾아보면 없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렇다면 ssbp1의 크기가 447bp이므로 500bp 근처에 선이 있을 것이고, Pst 1 인식부위와 EcoR I 인식부위를 기점으로 pGEX-4T-1 vector는 두 개의 조각으로 나눠질 것이다. <14> Vector의 크기는 4900bp이므로 983bp와 3917bp로 나뉜다. 그리고 이 결과를 제시된 format에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과제 참고문헌
<13> http://www.biovisualtech.com/bvplasmid/pGEX-4T-1.htm
<14> http://www.ncbi.nlm.nih.gov/gene?term=ssbp1
<5>, <6> M.J. Waring , "Complex formation between ethidium bromide and nucleic acids.", Journal of Molecular Biology 13 , 1965, (1): p 269282.
<7> Albert A-C, Spirito F Figueroa-Bossi N, Bossi L Rahmouni AR, "Hyper-negative template DNA supercoiling during transcription of the tetracycline-resistance gene in topA mutants is largely constrained in vivo", Nucl Acids Res 24, 1996, (15): pp. 30933099.
<8> http://en.wikipedia.org/wiki/Nick_(DNA)
<9> http://biochemistry.yonsei.ac.kr/biochem_molecular/gene_cloning_11.php
<11> Tord A. Hjalt Brad A. Amendt Jeffrey C. Murray, "Regulates Procollagen Lysyl Hydroxylase (PLOD) Gene Expression: Implications for the Pathology of Rieger Syndrome", The Journal of Cell Biology, Vol. 152, No. 3, 2001.02.05, pp. 545-552 .
<12> 녹취 자료, 녹취 대상; 이서우, 녹취 시각 2011.05.15 오후 10:26, 녹취한 사람; 우현준
추가 과제
다음은 우리가 사용한 pGEX-4T-1 vector의 restriction map이다. <13> 여기서 ssbp1가 삽입된 plasmid라고 생각하고 더블컷(EcoR I와 Pst I를 처리해준다)을 했을 때 나오는 밴드를 아래의 format에 그려보겠다. EcoR I이 처리되면 삽입되어 있던 ssbp1이 잘려 나오고, pGEX-4T-1 vector의 EcoR I 절단 자리가 잘린 상태로 유지된다. 그리고 Pst I이 처리되면 Pst 1의 절단 자리가 잘린다. 따라서 총 두 자리가 잘리게 되는데 ssbp1에도 Pst I의 인식 부위가 있는지 확인해야 한다. 하지만 찾아보면 없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렇다면 ssbp1의 크기가 447bp이므로 500bp 근처에 선이 있을 것이고, Pst 1 인식부위와 EcoR I 인식부위를 기점으로 pGEX-4T-1 vector는 두 개의 조각으로 나눠질 것이다. <14> Vector의 크기는 4900bp이므로 983bp와 3917bp로 나뉜다. 그리고 이 결과를 제시된 format에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과제 참고문헌
<13> http://www.biovisualtech.com/bvplasmid/pGEX-4T-1.htm
<14> http://www.ncbi.nlm.nih.gov/gene?term=ssbp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