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들어가면서
Ⅰ. 기상환경이 가축에 미치는 영향
1. 가축과 기상
1) 가축과 기상환경 요인
2) 축사기후의 조절 목적
2. 환경온도
1) 생리적 적온 및 온도 한계
2) 고온환경에서의 생체반응
3) 저온환경에서의 생체반응
3. 상대습도
1) 축산과 상대습도
2) 상대습도와 체온과의 관계
3) 상대습도가 가축에 미치는 영향
4) 온도와 상대습도의 균형
4. 바람
5. 복사
Ⅱ. 가축의 고온피해대책
1. 축사관리요령
2. 일교차의 활용
3. 바람의 활용
4. 물의 분무와 공급
✿ 수인성 전염병이란?
Ⅲ. 축사의 기상환경 조절
1. 축사의 열 흐름
2. 환기
3. 단열
Ⅳ. 가축위생 관리 기술
1. 여름철에 많이 발생하는 질병
2. 질병 발생원인
3. 예방대책
4. 가축질병별 관리 기술
1) 소 기립 불능증 예방대책
2) 열사병 예방대책
3) 곰팡이 중독 예방대책
[출처]
Ⅰ. 기상환경이 가축에 미치는 영향
1. 가축과 기상
1) 가축과 기상환경 요인
2) 축사기후의 조절 목적
2. 환경온도
1) 생리적 적온 및 온도 한계
2) 고온환경에서의 생체반응
3) 저온환경에서의 생체반응
3. 상대습도
1) 축산과 상대습도
2) 상대습도와 체온과의 관계
3) 상대습도가 가축에 미치는 영향
4) 온도와 상대습도의 균형
4. 바람
5. 복사
Ⅱ. 가축의 고온피해대책
1. 축사관리요령
2. 일교차의 활용
3. 바람의 활용
4. 물의 분무와 공급
✿ 수인성 전염병이란?
Ⅲ. 축사의 기상환경 조절
1. 축사의 열 흐름
2. 환기
3. 단열
Ⅳ. 가축위생 관리 기술
1. 여름철에 많이 발생하는 질병
2. 질병 발생원인
3. 예방대책
4. 가축질병별 관리 기술
1) 소 기립 불능증 예방대책
2) 열사병 예방대책
3) 곰팡이 중독 예방대책
[출처]
본문내용
이 필요하다.
- 예방법
수계 경피전염병의 예방에는 오염습윤지에서 작업할 때의 고무장화 ·고무장갑에 대한 소극적 취급(파손 등) 외에도 근본적 조치로 분뇨의 안전처리도 요망
[출처] 수인성전염병 [水因性傳染病, waterborne infection ] | 네이버 백과사전
Ⅲ. 축사의 기상환경 조절
- 축사 내의 복사열 온도 습도 및 공기의 흐름 등은 가축의 체온조절이나 섭취사료의 에너지대사와 밀접한 관계가 있다.
- 온습도지수(=불쾌지수): 사람마다 더위와 습도에 불쾌감을 느끼는 정도가 다르고 ‘불쾌지수 발표가 불쾌감을 더욱 조장한다’ 는 의견도 있어 ‘온습도 지수’라는 명칭으로 부름.
온습도지수= 0.72(건구온도+습구온도)+40.6
[출처] http://blog.naver.com/working60?Redirect=Log&logNo=30113595386
온습도지수가 75 이상일 경우에는 젖분비량이 현저하게 저하된다.
온습도지수 75는 기온이 25℃, 상대습도 80%에 상당한 것이다.
- 축사 내의 저온한계는 가축과는 관계없이 오히려 사람의 작업능률이나 동결방지 등 관리에 있어서의 편의에 따라 결정된다.
추울 때 바람이 강하게 불면 가축의 방열이 현저하게 증가하므로 겨울에는 축사내의 방풍대책이 필요하다.
1. 축사의 열 흐름
- 여름철 대낮의 축사에서는 가축의 몸으로부터의 느낌열과 숨은열의 발산, 그리고 지붕으로부터의 느낌열 공금에 의하여 축사 내의 온도와 습도가 상당히 높아진다.
- 환기를 하지 않으면 적합한 환경이 유지되지 않는다. 환기에 의한 조절을 효과적으로 하기 위해서는 지붕이나 벽면을 단열 처리하여 외부로부터 침입하는 더운 열의 공급을 방지할 필요가 있다.
- 겨울철 밤: 가축의 몸으로부터 공급되는 열에 의하여 축사내의 기온이 유지.
2. 환기
- 환기는 축사 내의 고온방지, 신선한 공기의 공급에 의한 위생환경의 유지, 과다한 수분의 제거, 유해가스나 공기 중의 미생물의 제거들의 기능이 있으므로 축사의 환경조절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 환기 방법
자연환기방법: 창이나 열려진 입구에 의한 것.
하우스 축사 → 천정을 뚫어서 자연환기 유 도
<하우스 축사>
강제환기방법 : 환풍시설을 이용한 것.
- 여름에 적합한 환기법
자연환기방법 강제환기방법
- 겨울에는 환기를 축사 내 기온을 고려하여 조절해야 함.
찬 곳에서 환기량이 많으면 축사 안의 기온이 떨어진다.
- 환기량이 지나치게 적으면 축사 내에서 이슬 맺힘 현상이 나타난다.
- 필요한 환기랑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벽면의 단열을 잘 하여 열손실을 방지하는 것이 중요하다.
3. 단열
- 단열 : 지붕이나 벽면을 통한 열의 출입을 방지하는 것.
- 더운 지방 : 지붕이나 벽면을 통하여 들어오는 일사에 의한 열의 침입을 방지하여 축사 내 가축이 복사열을 받지 않도록 주의해야한다.
- 추운 지방 : 축사 내의 보온을 강화하여 축사 내에서의 이슬 맺힘 현상을 방지하고 환기에 의한 공기의 신선도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단열의 목적이다.
- 여름철 낮 : 단열성이 낮은 지붕의 내면온도는 축사 안의 기온보다 20℃정도 더 높아진다.
- 겨울철 밤 : 단열성이 낮은 지붕이나 벽면의 온도가 축사 안의 기온보다 낮아지기 쉽기 때문에 이슬이 잘 맺힌다.
- 건축자재 : 목재는 일반적으로 단열성이 크지만 시멘트, 석판, 금속 등은 낮다.
완전한 단열을 위해서는 전용 단열자재를 사용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Ⅳ. 가축위생 관리 기술
1. 여름철에 많이 발생하는 질병
- 소: 아까바네별, 유행열, 이바라기병, 설사병, 일사병, 폐렴 등
- 돼지: 콜레라, 오제스키병, 단독, 일본뇌염, 열사병 등
- 닭: 뉴캣슬병, 콕시듐병, 가금티푸스, 류코사이토준병 등
2. 질병 발생원인
-고온다습으로 인하여 가축은 허약해지는 반면, 병원균의 활동이 왕성해 짐.
- 여름철에는 모기 등 흡혈곤충이 많이 발생하여 전염병 감염 확산
- 장마등 빗물에 의해 병원균이 확산
- 더위로 인해 양축농가의 축사소독, 예방접종 등이 소홀
3. 예방대책
- 축사를 항상 청결히 하고 정기적으로 소독
- 파리, 모기 구제를 위해 잔효성 살충제를 뿌려주거나 방충망을 설치
- 가축별 방역프로그램에 따라 예방접종실시
- 가축의 체온, 똥 등을 수시로 관찰하여 이상 유무를 판정,
- 전염병 발생 시 방역당국에 신고하여 방역관의 지시에 따라 조치
4. 가축질병별 관리 기술
1) 소 기립 불능증 예방대책
여름철 기립 불능증 발생원인 및 증상
고온, 다습, 열악한 사육환경에 따른 스트레스
비타민, 미량광물질 등 영양 불균형
기립불능 증세를 유발하는 질병의 감염 등이 원인임.
대사기능 장애에 의한 신경이상증상 발현
연령, 성별에 관계없이 갑작스런 다리마비로 2~3일이 지나도 일어서지 못함
기립 불능증 발견 시 대처요령
갑작스런 다리마비 등 증세를 보이면 개업수의사 진료요청.
전염성 질병에 대한 시 군청, 농업기술센터에 신고(전용전화 1588-4060)
2) 열사병 예방대책
발생원인 및 증상
한낮에 방목으로 직사광선에 오랜 시간 노출
축사 내 통풍불량 및 밀사에 의한 체온발산 장애로 체열 축척
입을 벌리고 혀를 내민 상태로 숨을 빠르게 쉬는 증상이 나타남
신속한 치료가 되지 않는 경우 수 시간 내 폐사
예방요령
축사지붕주위로 태양광차단 그늘막을 넓게 설치
축사 내 통풍이 잘 되도록 환풍기 설치 가동
치료 및 방역요령
환축을 시원한 곳으로 이동시켜 안정시키고 찬물을 뿌려줌
증상에 따라 수액, 해열제, 강심제, 영양제 투여
3) 곰팡이 중독 예방대책
발생원인 및 증상
고온, 다습한 기후에서 병원성 곰팡이균이 사료 내 빠른 증식
곰팡이가 분비한 곰팡이 독에 의해 신경마비, 간 중독, 신장해 등 유발
예방요령
곰팡이가 피거나 오래된 사료 급여금지 및 바람이 잘 통하고 건조한 곳에 보관
물통에 낀 이끼 등을 청소하고 깨끗한 물로 자주 갈아줌
치료 및 방역요령
치료는 증상에 따라 대증요법실시
축사 청소와 소독을 정기적으로 실시
[출처] http://blog.daum.net/sm0812/6985570 고온기 가축사양관리
- 예방법
수계 경피전염병의 예방에는 오염습윤지에서 작업할 때의 고무장화 ·고무장갑에 대한 소극적 취급(파손 등) 외에도 근본적 조치로 분뇨의 안전처리도 요망
[출처] 수인성전염병 [水因性傳染病, waterborne infection ] | 네이버 백과사전
Ⅲ. 축사의 기상환경 조절
- 축사 내의 복사열 온도 습도 및 공기의 흐름 등은 가축의 체온조절이나 섭취사료의 에너지대사와 밀접한 관계가 있다.
- 온습도지수(=불쾌지수): 사람마다 더위와 습도에 불쾌감을 느끼는 정도가 다르고 ‘불쾌지수 발표가 불쾌감을 더욱 조장한다’ 는 의견도 있어 ‘온습도 지수’라는 명칭으로 부름.
온습도지수= 0.72(건구온도+습구온도)+40.6
[출처] http://blog.naver.com/working60?Redirect=Log&logNo=30113595386
온습도지수가 75 이상일 경우에는 젖분비량이 현저하게 저하된다.
온습도지수 75는 기온이 25℃, 상대습도 80%에 상당한 것이다.
- 축사 내의 저온한계는 가축과는 관계없이 오히려 사람의 작업능률이나 동결방지 등 관리에 있어서의 편의에 따라 결정된다.
추울 때 바람이 강하게 불면 가축의 방열이 현저하게 증가하므로 겨울에는 축사내의 방풍대책이 필요하다.
1. 축사의 열 흐름
- 여름철 대낮의 축사에서는 가축의 몸으로부터의 느낌열과 숨은열의 발산, 그리고 지붕으로부터의 느낌열 공금에 의하여 축사 내의 온도와 습도가 상당히 높아진다.
- 환기를 하지 않으면 적합한 환경이 유지되지 않는다. 환기에 의한 조절을 효과적으로 하기 위해서는 지붕이나 벽면을 단열 처리하여 외부로부터 침입하는 더운 열의 공급을 방지할 필요가 있다.
- 겨울철 밤: 가축의 몸으로부터 공급되는 열에 의하여 축사내의 기온이 유지.
2. 환기
- 환기는 축사 내의 고온방지, 신선한 공기의 공급에 의한 위생환경의 유지, 과다한 수분의 제거, 유해가스나 공기 중의 미생물의 제거들의 기능이 있으므로 축사의 환경조절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 환기 방법
자연환기방법: 창이나 열려진 입구에 의한 것.
하우스 축사 → 천정을 뚫어서 자연환기 유 도
<하우스 축사>
강제환기방법 : 환풍시설을 이용한 것.
- 여름에 적합한 환기법
자연환기방법 강제환기방법
- 겨울에는 환기를 축사 내 기온을 고려하여 조절해야 함.
찬 곳에서 환기량이 많으면 축사 안의 기온이 떨어진다.
- 환기량이 지나치게 적으면 축사 내에서 이슬 맺힘 현상이 나타난다.
- 필요한 환기랑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벽면의 단열을 잘 하여 열손실을 방지하는 것이 중요하다.
3. 단열
- 단열 : 지붕이나 벽면을 통한 열의 출입을 방지하는 것.
- 더운 지방 : 지붕이나 벽면을 통하여 들어오는 일사에 의한 열의 침입을 방지하여 축사 내 가축이 복사열을 받지 않도록 주의해야한다.
- 추운 지방 : 축사 내의 보온을 강화하여 축사 내에서의 이슬 맺힘 현상을 방지하고 환기에 의한 공기의 신선도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단열의 목적이다.
- 여름철 낮 : 단열성이 낮은 지붕의 내면온도는 축사 안의 기온보다 20℃정도 더 높아진다.
- 겨울철 밤 : 단열성이 낮은 지붕이나 벽면의 온도가 축사 안의 기온보다 낮아지기 쉽기 때문에 이슬이 잘 맺힌다.
- 건축자재 : 목재는 일반적으로 단열성이 크지만 시멘트, 석판, 금속 등은 낮다.
완전한 단열을 위해서는 전용 단열자재를 사용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Ⅳ. 가축위생 관리 기술
1. 여름철에 많이 발생하는 질병
- 소: 아까바네별, 유행열, 이바라기병, 설사병, 일사병, 폐렴 등
- 돼지: 콜레라, 오제스키병, 단독, 일본뇌염, 열사병 등
- 닭: 뉴캣슬병, 콕시듐병, 가금티푸스, 류코사이토준병 등
2. 질병 발생원인
-고온다습으로 인하여 가축은 허약해지는 반면, 병원균의 활동이 왕성해 짐.
- 여름철에는 모기 등 흡혈곤충이 많이 발생하여 전염병 감염 확산
- 장마등 빗물에 의해 병원균이 확산
- 더위로 인해 양축농가의 축사소독, 예방접종 등이 소홀
3. 예방대책
- 축사를 항상 청결히 하고 정기적으로 소독
- 파리, 모기 구제를 위해 잔효성 살충제를 뿌려주거나 방충망을 설치
- 가축별 방역프로그램에 따라 예방접종실시
- 가축의 체온, 똥 등을 수시로 관찰하여 이상 유무를 판정,
- 전염병 발생 시 방역당국에 신고하여 방역관의 지시에 따라 조치
4. 가축질병별 관리 기술
1) 소 기립 불능증 예방대책
여름철 기립 불능증 발생원인 및 증상
고온, 다습, 열악한 사육환경에 따른 스트레스
비타민, 미량광물질 등 영양 불균형
기립불능 증세를 유발하는 질병의 감염 등이 원인임.
대사기능 장애에 의한 신경이상증상 발현
연령, 성별에 관계없이 갑작스런 다리마비로 2~3일이 지나도 일어서지 못함
기립 불능증 발견 시 대처요령
갑작스런 다리마비 등 증세를 보이면 개업수의사 진료요청.
전염성 질병에 대한 시 군청, 농업기술센터에 신고(전용전화 1588-4060)
2) 열사병 예방대책
발생원인 및 증상
한낮에 방목으로 직사광선에 오랜 시간 노출
축사 내 통풍불량 및 밀사에 의한 체온발산 장애로 체열 축척
입을 벌리고 혀를 내민 상태로 숨을 빠르게 쉬는 증상이 나타남
신속한 치료가 되지 않는 경우 수 시간 내 폐사
예방요령
축사지붕주위로 태양광차단 그늘막을 넓게 설치
축사 내 통풍이 잘 되도록 환풍기 설치 가동
치료 및 방역요령
환축을 시원한 곳으로 이동시켜 안정시키고 찬물을 뿌려줌
증상에 따라 수액, 해열제, 강심제, 영양제 투여
3) 곰팡이 중독 예방대책
발생원인 및 증상
고온, 다습한 기후에서 병원성 곰팡이균이 사료 내 빠른 증식
곰팡이가 분비한 곰팡이 독에 의해 신경마비, 간 중독, 신장해 등 유발
예방요령
곰팡이가 피거나 오래된 사료 급여금지 및 바람이 잘 통하고 건조한 곳에 보관
물통에 낀 이끼 등을 청소하고 깨끗한 물로 자주 갈아줌
치료 및 방역요령
치료는 증상에 따라 대증요법실시
축사 청소와 소독을 정기적으로 실시
[출처] http://blog.daum.net/sm0812/6985570 고온기 가축사양관리
추천자료
동물과 환경
우리나라 기상재해와 그 대책강구
환경재해
건물생체기후도
환경영향평가와 국제환경협약
[기상현상][기상][기단][전선][기온역전][꽃샘추위][황사][장마]기상현상과 기단 및 전선, 기...
지구환경변화에 따른 산림보호의 중요성에 대하여
산불이 생태계에 미친 영향, 산불의 복구와 예방
기상(기후)에 의한 식물의 피해
[주요 지구환경문제] 지구온난화, 오존층파괴, 생물다양성의 파괴, 산성비 피해, 지구환경 보...
[생명과 환경] 지구온난화로 인한 기후변화와 극복 {지구온난화와 기후변화, 기후변화 현상과...
생명과환경2017 - 영화 투모로우를 보고 기후변화의 최악의 결과에 대해 논하시오.
[공공데이터] 공공데이터의 유형, 활용사례 및 활성화 방안 분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