피터스와 허스트의 생애와 사상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피터스(R. S. Peters)의 생애와 사상

I . 피터스의 생애

Ⅱ . 피터스의 사상

Ⅱ . 피터스의 사상

2. 교육론

1) 입문(入聞)으로서의 교육

2) 기준(基準)으로서의 교육

3) 교육활동의 정당화

4) 현대적 자유교육론의 체계 수립

5) 교육 윤리학의 체계화

허스트(P. H. Hirst)의 생애와 사상

Ⅰ. 허스트의 생애

Ⅱ. 허스트의 이론

1.허스트의 초기 이론 <지식의 형식 이론>

2.허스트의 후기 이론 <사회적 실천>

Ⅲ. 허스트와 피터스의 교육 사상 비교

※참고문헌※

본문내용

형식: 경험을 의미 있게 구조화 해주는 개념 체계.
허스트의 분류에 따르면, 지식의 형식에는 수학, 자연과학, 인간과학, 역사, 종교, 문학과 예술, 도덕적 지식 등이 포함된다.
-지식의 형식 특징: ①고유한 핵심적 개념 포함 ②논리적 구조
③경험에 의해 증명 가능한 표현, 진술 ④검증 위한 기술, 기능
⇒자유 교육이라는 말로 압축되는 허스트의 전기 이론은 지식의 형식에 입문되는
데에 전념하는 것이 인간으로서 자유로운 삶을 영위하는 근본적 방안이라 주장한다.
2.허스트의 후기 이론 <사회적 실천>
-합리주의와 공리주의 비판
①합리주의 비판: 이성을 삶의 원천으로 삼는다.(→사회는 이성에 비해 부차적 지위로 전 락, 지나친 개인주의적 경향)
필요, 욕구를 존중하지 않는다.(→삶에서 빼놓을 수 없는 것인데 이성을 앞세워 금기시, 인간의 총체적 삶 왜곡)
②공리주의 비판: 이성의 역할을 과소평가
⇒이 둘 모두 개인주의적 입장을 신봉하여 이를 극복하기 위해 사회적 맥락으로 시선을 돌려야하는데, 곧 사회적 질서에 따라 필요. 욕구를 충족하는 것이 올바 른 삶이라 주장한다.
-사회적 실천: ①전통으로 구축, 발달되어 온 행위 양식
②필요, 욕구 충족 위해 노력하여 관례로 확립되어 이어진 행위 양식
-사회적 실천 분류: ①기본적 실천(환경에 적응하는데 공통적으로 필요)
②선택적 실천(개인의 합리적 삶 추구 위해 이용 가능한 광범위한 실천)
③발달된 실천( 두 가지 항목에 대한 비판적 반성)
-입문해야 할 사회적 실천의 종류:①물질적, 심리적, 사회적 욕구 및 능력과 관계를 맺고 있 는 것
②복잡하고 정교한 욕구 및 흥미와 관계된 것
③선택적인 것
⇒교육이란 사회적 실천에 입문시키고 나아가 선한 삶을 살아가도록 돕는 것이다.
Ⅲ. 허스트와 피터스의 교육 사상 비교
-공통점: 좋은 삶은 합리성을 추구하는 삶이다.
교육의 목적은 합리적 마음을 개발하는데 있다.
-차이점: 피터스는 교육과 자유교육의 개념을 동일한 것으로, 허스트는 둘의 개념을 동일하 지 않은 것으로 보았다.
※참고문헌※
이병승 저 『現代社會와 敎育思想』 공주대학교 교육학과. 2011
신득렬 저 『현대교육철학』학지사. 2003
목영해 저 『현대교육사상』문음사. 2009
박채형 저 허스트 전.후기의 교육과정 이론: 교과와 삶의 관련
유재봉 저 허스트의 실천적 이성과 교육
유재봉 저 피터스와 허스트 교육 사상 비교
한기철 저 허스트 교육 이론의 재조명
  • 가격1,8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12.05.18
  • 저작시기2012.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74755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