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장 연관과 고등생물의 염색체지도 작성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최초의 염색체 지도
1] 연관, 재조합 및 교차
2] 염색체 지도 작성
3] 세포 유전학적 지도 작성
4] 사람의 연관 분석.
5] 재조합과 진화

본문내용

가 어려워 더딘 진행 -> 현재는 DNA의 분자적 Marker를 이용하여 거리를 측정한다,
2)체세포 기법
-다른종의 세포와 융합하여 만든 체세포를 특정배양액에 배양하여 특정 유전자의 존재에 대한 사람 염색체를 각각 검정하는 방법
①원리 : 특정배지를 만들어 세포 융합된 세포를(사람과 설치류세포의 융합)그 배지에 넣는다. 특정배지에서 살 수 있도록 하는 효소를 만드는 유전자를 가진 염색체는 살아남을 것이고 다른 염색체는 사라질 것 이다.
이를 이용하여 몇 번 염색체에 어떤 유전자가 있는지를 나타 낼 수있다.
이 특정 배지에 쓰인 물질을 유전적 선택 표지 (selectable genetic marker)라고 한다,
Ex) HAT 배지를 이용한 실험
HAT:하이폭산틴+아미높테린+티미딘 의 화합물 -->이 배지에서는 티미딘키나아제 (TK+)나 하이폭산틴 포스포리보실 전이효소를 만들지 못하면 사망한다.
이 배지에 사람의 유전자와 쥐의 유전자를 세포 융합하여 배양한다
사람: TK+, HPRT- + 쥐 TK-, HPRT+ 의 융합이 HAT배지에 살면 사람의 TK+가 남는다. 이 결과 세포안에서 사람의 17번 염색체만 있는것을 발견
--> 그리하여 TK유전자는 17번 염색체에 있음을 암.
여기서 TK+와 HPRT+는 selectabl genetic marker로 쓰임.
5]재조합과 진화
-재조합의 역할 : 유성생식의 필연적 양상. 생존과 생식력을 원래의 종보다 증대시킴 . 유익한 조합을 통해 널리 퍼지게 되고 그 종의 구성의 일반적 형태가 된다.
1)재조합의 진화적 중요성
①재조합은 종류가 다른 유전자의 유익한 대립유전자를 동일 생물체의 내에 모으게 할 수 있다.
2)역위에 대한 재조합 억제
※역위란 ? 하나의 염색체 분절이 떨어져 180도 회전하여 다시 그 염색체에 결합. 즉 염색체내 유전자간의 순서를 변화
①역위에 의한 교차의 억제 : 역위중 교차가 일어난다면
- 1 번의 교차 : 2동원체와 무 동원체인 이수체가 되어 다음세대에 살 수 없다.
- 2 번의 교차 : 다음 세대에 나타날 수 있다.
이 두가를 이용하여 역위내에서 이중교차가 일어나지 않는 한 구조적으로 이형접합체는 재조합이 억제될 것이다 는 것을 알 수 있다.
②균형 염색체 : 변화가 일어난 염색체가 역위를 거쳐도 그대로 유지될 수 있다. (역위가 일어난 염색체들 대부분은 우성 돌연변이를 가진다)
------> DNA Marker 로 이용 가능하다.

키워드

  • 가격4,2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12.10.22
  • 저작시기2012.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74783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